• Title/Summary/Keyword: 동영상 관리

Search Result 36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sign and Development of e-Learning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e-Learning Contents (이러닝 콘텐츠 개발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원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 Son, Kyung-A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4
    • /
    • pp.73-82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e e-Learning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developing of e-Learning contents. This system is to create and manage multimedia resources like video, audio, and image more easily. We analyzed and redesigned media asset management system that would be used in broadcast, press, and industry. This system has SCORM metadata and is consisted of Windows 2003 server and RDBM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usability and satisfaction for the developed system.

  • PDF

Video Data Classification based on a Video Feature Profile (특성정보 프로파일에 기반한 동영상 데이터 분류)

  • Son Jeong-Sik;Chang Joong-Hyuk;Lee Won-Su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1 s.97
    • /
    • pp.31-42
    • /
    • 2005
  • Generally, conventional video searching or classification methods are based on its meta-data.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present the precise information of a video data by its meta-data. Therefore, a processing method of video data that is based on its meta-data has a limitation to be efficiently applied in application fields. In this paper, for efficient classification of video data, a classification method of video data that is based on its low-level data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data from the given video data by clustering process, and makes the profile of the video data. Subsequently.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file and video data to be classified is computed by a comparing process of the profile and the video data. Based on the similarity. the video data is classified properly.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mparing process, generating and comparing techniques of integrated profile are presented. A comparing technique based on a differentiated weight to improve a result of a comparing Process Is also Presented.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using various video data.

Video Segmentation Method using Improved Adaptive Threshold Algorithm and Post-processing (개선된 적응적 임계값 결정 알고리즘과 후처리 기법을 적용한 동영상 분할 방법)

  • Won, In-Su;Lee, Jun-Woo;Lim, Dae-Kyu;Jeong, Dong-Seo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5
    • /
    • pp.663-673
    • /
    • 2010
  • As a tool used for video maintenance, Video segmentation divides videos in hierarchical and structural manner. This technique can be considered as a core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commonly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indexing, abstraction or retrieval. Conventional video segmentation used adaptive threshold to split video by calculating difference between consecutive frames and threshold value in window with fixed size. In this case, if the time difference between occurrences of cuts is less than the size of a window or there is much difference in neighbor feature, accurate detection is impossible. In this paper, Improved Adaptive threshold algorithm which enables determination of window size according to video format and reacts sensitively on change in neighbor feature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bove. Post-Processing method for decrement in error caused by camera flash and fast movement of large objects is applied. Evaluation result showed that there is 3.7% improvement in performance of detec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In case of application of this method on modified video, the result showed 95.5% of reproducibility.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s more accurated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and having reproducibility even in case of various modification of videos, it is applicable in various area as a video maintenance tool.

Developement of the Video Watermarking Technology for the Audiovisual Contents Management (시청각기록물 관리를 위한 동영상 워터마킹 기술개발)

  • Shin, Dong-Hwan;Kim, Sung-Jin;Nam, Sung-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99-101
    • /
    • 2008
  • 시청각기록물은 기존 문서기록물과 달리 생생한 현장감을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자시청 각기록물은 원본과 똑같은 품질의 사본들이 많이 만들어지게 되어 위변조가 쉽고 불법복제 및 배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록물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로서 DRM과 워터마킹기술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청각기록물 중에서 동영상 시청각 기록물에 적용 가능한 워터마킹 기술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워터마킹 기술은 원본영상신호의 복제신호를 추출하여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을 취했다. 전자시청각 기록물 출처확인 및 무단배포에 따른 저작권 권리 추적을 위한 기술로서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원본 신호에서 추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기 때문에 화질훼손이 적고 압축알고리즘에 강인한 특성을 갖고 있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원본보존을 중요시하는 시청각기록물관리 분야에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An Effective Keyword Extraction Method Based on Web Page Structure Analysis for Video Retrieval in WWW (웹 페이지 구조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동영상 검색용 키워드 추출 방법)

  • Lee, Jong-Won;Choi, Gi-Seok;Jang, Ju-Yeon;Nang, Jong-Ho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5 no.3
    • /
    • pp.103-110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keyword extraction method for the Web videos. The proposed method classifies the Web video pages in one of 4 types. As such, w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Web pages based on the number of videos and the layout of the Web pages. And then we applied the keyword extraction algorithm fit to each page type. The experiment with 1,087 Web pages that have total 2,462 videos showed that the recall of the proposed extraction method is 18% higher than ImagerRover[2]. So,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to build a powerful video search system for WWW.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lgorithm choosing Context-based Image used Multimedia Communication (멀티미디어 통신을 이용한 내용기반 이미지 추출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 안병규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2 no.11
    • /
    • pp.1421-1426
    • /
    • 2001
  • Nowadays, as the quantity of multimedia information increases rapidly, an efficient management for multimedia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is paper, to index and search multimedia contents efficiently, we designed the algorithm searching specific image and saving the extracted image using the semantic information extraction scheme based on contents and it is one of the schemes to indexing and searching of video data. After extracting the RGB information from input image, while all frames of video is inspected sequentially, the specific image is saved through referring to the posi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nts from the collection scheme of RGB range. In case of using the proposed image extraction algorithm, because only saved video is searched instead of the whole the searching time can be reduced.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MPEG2 Non-linear Editor in Client/Server Environment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의 MPEG-2 비선형 편집기의 설계 및 구현)

  • 김소만;송기택;유지욱;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541-543
    • /
    • 2000
  • 최근 들어, 통신 및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더불어 대용량 동영상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압축표준인 MPEG-2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 및 처리를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의 비선형 편집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압축 정보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복호화 과정을 통해 장면전화 검출 및 색인을 수행하는 색인부의 DirectX를 기반으로 한 편집부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압축 정보를 사용하여 빠르게 색인을 수행하고, DirectX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간편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의 편집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성능의 편집 서버를 통해 저사양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도 소프트웨어적으로 MPEG-2 동영상을 효과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The Fast Editing and/or Storing Technique for Large-sized Multimedia Files with Page Sharing on NAND Flash Memory (NAND 플래시 메모리 상에서 페이지 공유를 통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 고속 편집저장 기법)

  • Ko, Seok-Young;Jung, Seung-Wan;Nam, Young-Jin;Seo, Dae-W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576-579
    • /
    • 2008
  • 본 논문은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휴대 장치에서 동영상 파일을 고속으로 편집하고 동시에 필요한 저장 공간 소모를 최소화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동영상 파일 편집 후 저장에 있어서 현재의 NAND 플래시 파일 시스템들은 편집 내용을 빈 공간에 새로 저장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파일일수록 많은 시간과 저장 공간이 소모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동영상 편집 후 파일 간에 중복되는 데이터를 새로 저장하지 않고 공유하도록 하면서 소모되는 시간과 공간을 최소화 한다. 이를 위해 파일 간 공유 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페이지 공유 맵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동영상 고속 편집저장 기법을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In-Streem Video Advertising System for N-Screen (N-스크린 동영상 광고 제공을 위한 시스템 개발)

  • Choi, Yunjin;Kim, Gunhee;Lee, Beom-Goo;Jung, Byunghee;Park, Jung-Soo;Lee, 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11a
    • /
    • pp.193-195
    • /
    • 2013
  • N-스크린 환경에서 방송사들을 포함한 사업자들은 온라인을 통해TV 프로그램을 시청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사업자들은 N-스크린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데, 모바일 이용이 활성화 되면서 N-스크린 광고 시장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기존의 이미지, 베너 형태의 광고 보다 동영상 광고방식이 유리하여 이에 대한 수요가 높은데, N-스크린 환경에서 다양한 화면 사이즈를 가진 기기에 동영상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광고 소재 관리가 필수적이다. 또한 온라인 광고 제공에 관여하는 광고주, 광고 대행사, 플랫폼 사, 매체 사 간에 협업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N-스크린 환경에서 동영상 광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