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안정성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35초

최대공산 추정법을 이용한 항공기 동안정성 비행시험 (Dynamic Stability Flight Test for Small Aircraft using Modifie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 이상종;박정호;장재원;박일경;김근택;성기정
    • 항공우주기술
    • /
    • 제9권2호
    • /
    • pp.105-11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소형항공기의 종축 및 횡방향축 동안정성 비행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 정리하였다. 대상 항공기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한 4인승 선미익형 항공기인 반디 실용화 1호기이며, 탑재 센서 및 실시간 텔레메트리시스템을 통해 비행시험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대상 항공기의 동안정성 비행시험은 대상 항공기 운동모델의 공력 미계수를 추정하여 고유주파수 및 댐핑 등의 비행성을 판별하여 동안정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며, 본 비행시험에서는 chirp, 3211 및 doublet 조종입력을 사용하여 비행데이터를 확보한 후 최대공산 추정기법 (MMLE)을 적용하여 공력 미계수를 추정하였다.

인간동력 항공기 TORUK MAKTO I 세로 안정성 및 승강타 제어연구 (Study of Longitudinal Stability and Elevator Control of a Human Powered Aircraft, TORUK MAKTO I)

  • 박주희;김연수;한철희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16
    • /
    • 2015
  • 인간동력 항공기 TORUK MAKTO I에 대하여 양력선이론 및 XFOIL을 사용하여 도출한 공력계수 및 미계수 값과 CATIA를 사용한 관성모멘트 추정 값을 사용하여 지면효과 및 주익과 무게중심 사이의 수직거리 변화가 인간동력 항공기의 세로 정안정성에 미치는 영향과 수평미익(스테빌레이터) 변위각제어에 따른 세로 동안정성 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면효과가 정적여유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공력중심과 무게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세로 정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컸으며, 수직거리 증가는 세로 정안정성을 증가시켰다. 수평미익 변위각 제어에 따른 세로 동안정성 해석 결과 장주기 진동특성과 감쇄특성이 매우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항공기의 동특성을 고려한 세로 동안정성 해석 및 측풍에 의한 가로 및 방향 안정성 해석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구속모형시험을 이용한 잠수함의 동유체력 계수 추정 및 동안정성 평가 (Estimation of Hydrodynamic Derivatives and Dynamic Stability for Submarine Using Captive Model Test)

  • 정재훈;옥지훈;이치승;이제명;이승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3-178
    • /
    • 2015
  • 최근 국내외적으로 수중 유도무기체계 개발로 다양한 형태의 수중운동체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특히 수중운동체 중 하나인 잠수함은 한국의 특수한 상황에서 최적의 선형설계를 위한 신뢰도 높은 조종성 평가 기술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정확한 동유체력 계수의 추정 또한 중요한 연구 분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잠수함 모형을 대상으로 구속모형시험인 VPMM (Vertical Planar Motion Mechanism) 시험을 실시하여 정밀도 높은 동유체력 계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추정된 연직면 운동에 대한 선형 (Linear) 동유체력 계수 (Hydrodynamic derivatives)들을 이용하여 동안정성 (Dynamic Stability)을 판별하였다. 그 결과, 이론추정치와의 비교를 통해 동유체력 계수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잠수함의 연직면 동안정성도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무한수심으로 정의되는 심도 6.0의 깊은 수심으로 갈수록 주기에 따른 변화가 작아지며, 이론추정치에 근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연직면 동안정성 판별에 있어서는, 0보다 큰 양(+)의 값을 가짐으로서 연직면 운동에 대한 동안정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ta형 무인잠수정의 동안정성 향상을 위한 부가물의 설계 변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Appendage Design for Improvement of Dynamic Stability of Manta-type Unmanned Undersea Vehicle)

  • 배준영;손경호;권형기;이승건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4권3호
    • /
    • pp.323-331
    • /
    • 2007
  • Proposed Manta-type Unmanned Undersea Vehicle(UUV) turned out to have the tendency of dynamic instability in vertical plane, and moreover to have that of so strong dynamic stability in horizontal plane as to cause another problem in turning motion due to negative value of sway damping lever. The authors discussed the changes in appendage design for improvement of dynamic stability of UUV in vertical and horizontal planes. As a result, the dynamic stability in vertical plane was improved by increasing the area of horizontal stern planes. and the dynamic stability in horizontal plane was also improved by removal of lower vertical plate and by adjusting the area and position of upper vertical plate simultaneously.

Manta형 무인잠수정의 조종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체력미계수의 민감도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dynamic derivatives acting on Manoeuvring Motion of Manta-type Unmanned Undersea Vehicle)

  • 배준영;손경호;권형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2권)
    • /
    • pp.45-50
    • /
    • 2006
  • 본 연구는 Manta형 무인잠수정(Manta-type Unmanned Undersea Vehicle)의 동안정성을 검토한 후에 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6자유도 수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각의 유체력미계수가 UUV의 6자유도 운동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민감도 해석(Sensitivity Analysis)을 위한 방법은 간접법(Indirect Method)을 사용하였다. 수학모델 및 유체력미계수의 추정은 손경호 등(2006)의 결과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UUV의 조종운동 모델에서 각각의 유체력미계수가 가지는 상대적 중요도를 알 수 있었다.

  • PDF

단일 캠 구동기구의 동 안정성 해석 (Dynamic Stability Analysis of a Single Cam Drive Mechanism)

  • 김홍보;전혁수;이종원;박윤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26-533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단일 캠 구동기구의 안정성 해석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제시 되고, 수치실험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우선 단일 캠 구동기구를 묘사하는 비선형 방 정식이 유도되고, 동안정성에 관여하는 변수들이 무차원화되어 도입된다. 유도된 방 정식은 캠 축의 입력각에 대하여 선형화되고, 선형화된 방정식에 조화균형법(harmonic balance method)을 적용하여 동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한국형 기동헬기 계기비행 인증절차 및 비행시험 결과 (Instrument Flight Certification Process and Flight Test Results of Korean Utility Helicopter)

  • 권혁준;박종후;박재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3-18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기동헬기의 계기비행 인증절차 및 주요 비행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한국형 기동헬기의 계기비행 인증을 위해 장착된 계기 및 장비의 적합성을 검토하였으며, 지상 및 비행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아울러 항공기가 충분한 종축, 횡축 및 방향축에 대한 정안정성 및 동안정성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FAR-29 Appendix B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안정성은 주로 조종입력에 대한 항공기의 속도 및 자세 변화를 통해 판단하였으며, 동안정성은 장주기 및 단주기 입력 후 항공기 거동이 얼마나 빨리 수렴하는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조종사의 임무부하 평가는 IMC 모사 비행시험을 통해 이뤄졌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가 정상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비행조종, 엔진 및 계기 등에 고장이 발생한 상황에 대한 임무부하 평가결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IMC 모사 비행시험이 완료된 이후에는 실제 IMC 환경에서 항공관제에 맞춰 실제 계기비행시험을 실시하였다.

People Inside - 정성진 조합장(한국양계축산업협동조합)

  • 장성영
    • 월간양계
    • /
    • 제51권5호
    • /
    • pp.120-123
    • /
    • 2019
  • 지난 3월 13일 제 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를 통해 138개 축협 조합장 중 52개 축협에서 새로운 조합장이 당선됐다. 한국양계축산업협동조합(이하 한국양계농협)에는 제 5대 정성진 조합장이 선출되면서 앞으로 4년의 임기동안 중점 추진사항과 운영계획에 대해 들어보았다.

호흡패턴교정이 요추불안정성자의 흉·복부 사용률에 미치는 효과 (Changes in Thoracoabdominal Usage Rate after Respiratory Pattern Correction 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 기철;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81-587
    • /
    • 2020
  • 많은 요추 불안정성 환자들은 호흡 기능 감소와 호흡 패턴 변화로 인해 몸통 움직임 패턴의 변화를 나타낸다. 본 연구는 요추 불안정성 환자의 호흡 패턴 교정 운동 후 안정 및 노력성 호흡 동안 3개의 흉·복부 둘레 선 (겨드랑이, xiphoid junction, 10번째 갈비뼈)에 대한 사용률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실험군 15명은 호흡 패턴 교정 운동을, 대조군 15명은 요추 안정화 운동을 실시했다. 중재 전, 두군 모두 안정 호흡과 노력성 호흡 동안 3개의 흉·복부 라인 간의 사용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중재 후, 실험군은 안정 호흡 동안에 3 라인간 사용률 차이가 없는(p>.05) 변화를 나타내었고 노력성 호흡 동안에 두 라인 간 사용률의 변화를 나타내었다(p<.05). 호흡 패턴 교정 운동은 호흡 패턴의 회복을 통해 몸통 운동 패턴을 개선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호흡 패턴 교정이 요추 불안정성 환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의 재교육 및 강화 과정에 적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녹색과 적색 양자점 색변환층을 가지는 백색 유기발광 소자의 색안정성 연구

  • 전영표;김기현;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96.1-396.1
    • /
    • 2014
  •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빠른 응답속도, 높은 색재현율 및 높은 색안정성의 특성으로 차세대 친환경 백색 광원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유기발광소자와 양자점을 혼합하여 사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양자점의 높은 색순도와 고효율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녹색 및 적색 양자점을 색변환층으로 이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두 양자점의 혼합 비율에 따라 연색성 및 색안정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에 관련 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색안정성을 가지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청색 유기발광소자 위에 용액 공정으로 녹색 및 적색 빛을 방출하는 CdSe/ZnS 양자점을 포함하는 색변환층을 도포했다. 녹색 및 적색 양자점은 250 nm부터 500 nm의 넓은 광 흡수대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465 nm의 청색 발광소자의 빛을 흡수하여 각각 적색과 녹색 발광을 할 수 있다. 녹색 및 적색 양자점의 혼합 비율에 따른 광발광 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통해 녹색 및 적색 양자점의 최적 혼합 비율이 7:3임을 확인하였다. 최적의 혼합 비율을 사용하여 제작 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전류-전압 측정과 전계발광 측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9 V에서 14 V로 전압이 변화하는 동안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색좌표의 변화는 (0.35, 0.33)에서 (0.35, 0.32)로 높은 색안정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유기발광소자와 양자점을 혼합하여 사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높은 색안정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