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선

검색결과 1,170건 처리시간 0.027초

2,5000톤급 삼동선의 저항추진특성 (Power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2,5000 Ton Class Trimaran)

  • 강국진;이춘주;김도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14-2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2,500톤급 삼동형 호위구축함의 선형설계와 저항추진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인다. 보조선체의 형상과 그 설치 위치가 삼동선의 저항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련의 저항시험과 수치계산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삼동선의 추진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실선 크기에서 삼동선과 유사 단동선들의 저항추진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조선체의 길이 방향 위치가 삼동선의 저항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보조선체의 형상과 폭 방향의 위치는 그 영향이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보조선체의 중심이 길이 방향으로 주선체의 선수나 선미 가까운 곳에 설치될 때 삼동선의 저항성능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주선체로부터 생성된 가장 큰 선수파의 파저에 보조선체의 선수가 놓이는 곳이다. 그리고, 삼동선의 저항추진성능은 유사 단동선에 비하여 중속 이상의 구간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사용자 평가를 통한 복합쇼핑몰 동선 계획 연구 (A Study on the Circulation Planning of Multi Shopping Mall with User Evaluation)

  • 김지수;황연숙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55-70
    • /
    • 2016
  • 최근 몰링(Malling)이라는 용어가 대두되며, 복합쇼핑몰은 현대인에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복합쇼핑몰은 판매시설 외에도 엔터테인먼트 시설이나 편의 시설 등 다양한 기능의 시설이 접목되어 있는 공간으로 그 배치나 시설 전반의 동선 계획이 보행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복합쇼핑몰 6곳을 대상으로 복합쇼핑몰의 동선계획에 관련하여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쇼핑몰의 동선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위하여 복합쇼핑몰의 개념을 살펴보고, 복합쇼핑몰의 동선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및 동선의 특성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 복합쇼핑몰의 규모나 동선 형태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층형과 저층형으로 구분하고, 동선 형태는 중심공간과 주동선의 형태에 따라 그물형, 고리형, 순환형, 복합형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비쿼터스형 매장 관리를 위한 RFID기반 쇼핑동선 분석 시스템 (RFID-based Shopping Moving Line Analysis System for Ubiquitous Store Management)

  • 안재명;이종희;이종태;최정옥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6-28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RFID 기술과 지능형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고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각 구역별 유효쇼핑정보를 계산하여 고객의 쇼핑 동선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RFID기반 쇼핑동선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쇼핑 카트와 장바구니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고객의 실시간 위치를 상품 진열대에 설치된 RFID 리더와 안테나를 통해 파악한다. 파악된 고객의 쇼핑 위치와 각 상품군에서 소비한 시간 정보 및 구매정보를 유효 쇼핑시간 계산과 동선 보정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쇼핑동선 정보를 생성한다.

  • PDF

쌍동선을 위한 제어기의 구성 (Controller design for SWATHS)

  • 박찬식;이장규;박성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과학기술대학, 충남; 17-18 Oct. 1986
    • /
    • pp.503-505
    • /
    • 1986
  • 주어진 제어대상 모델에 대하여 제어기를 구성하여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 모델의 불일치, 모델링에서 고려하지 않은 외란(disturbance), 측정잡음등에 의하여 성능이 설계시와 달라진다. 실제적용에서도 성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기는 안정성, 계수변화(parameter variation)에 대한 강인성(robustness), 외란상쇄(disturbance rejection) 및 측정잡음에 둔감함등의 특성을 가져야 한다. 귀환(feedback)을 사용하여 제어기를 구성하는 경우 위의 모든 조건을 만족 시킬 수 없으므로 제어목적에 따라 적당한 조건을 선정하여 중요한 특성을 주로 갖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쌍동선(small waterplane area twin hull ship-SWATHS)에 대하여 PID, LQ, LQG 제어기를 구성하여 안정성, 계수 변화에 대한 강인성, 외란 상쇄 및 측정잡음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쌍동선의 경우 다른 단동선(mono hull ship)에 비하여 접수면(waterplane)이 적으므로 무게증변을 흡수할 수 있는 복원력이 약하여 적은 외력에도 상하동요(heave)와 종동요(pitch)가 심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동요를 줄이는 것이 쌍동선의 제어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형화된 수직축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선체운동의 모델을 구했으며 중첩의 원리(super-position theorem)에 의하여 주파수 응답의 합으로 파도입력을 모델링 하였으며 제어를 위하여 필요한 측정치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에서 제공된다고 가정하였다. 쌍동선의 동요의 원인은 파도, 바람, 조류 등이 있으나 파도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므로 본 논문에서는 파도에 의한 영향만을 고려하였다. 파도는 쌍동선에 외란으로 작용하며 측정할 수 없는 양이므로 PID, LQ 제어에서는 제어모델에 포함되지 않지만 LQG 제어에서는 제어모델에 포함된다. LQG 제어의 경우 제어모델에 파도를 백색잡음으로 가정하고 제어기를 구성한 것 (LQG1)과 2차의 쉐이핑필터(shaping filter)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LQG2)으로 나누었다.

  • PDF

학교시설의 피난동선 최적화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An Architectural Study on Optimum Evacuation Route of School Facilities)

  • 김희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7-183
    • /
    • 2021
  • 본 연구는 현재의 학교시설의 건축계획적 분석을 통하여 향후 학교시설의 계획단계에서 실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피난 및 대피 동선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한다. 건축물의 계획단계에서, 건축물의 기능과 목적에 따라 구분된 평면 및 단면상의 조닝(Zoning)을 하고, 이에 따라 동선이 결정된다. 화재 또는 지진의 발생을 비롯한 재난의 발생 상황에서 효율적인 피난동선의 유무는 학교시설에서 생활하는 모든 이들의 생사와 연결되는 중요한 사항임은 물론이다. 인간의 행동특성을 분석하고 이해한 후, 최적화된 동선계획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피난이 가능할 수 있도록 건축계획 및 설계의 발전 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동선체계 변경 시 유효한 피난계획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An Architectural Study on the Efficient Evacuation Plan for the Change of Circulation System)

  • 김희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61-268
    • /
    • 2022
  •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입구를 통제하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이 되었다. 이 연구는 현재의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으로 인하여 건축물내 동선체계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효과적인 피난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이다. 만일 다중이용시설의 분석을 통하여 건축물의 동선체계의 변화에 대한 사항을 미리 고려하여 건축계획을 한다면 재난의 발생 시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인간의 행동패턴의 특성과 다중이용건축물의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시에 능동적으로 대처가능한 임시적인 동선체계의 변경에 유효한 피난계획의 수립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혼잡관리 모형을 이용한 도시철도 이용객 동선유도시스템 기본설계 (Preliminary Design of a Urban Transit Passenger Guidance System Using Congestion Management Model)

  • 김광모;박희원;김진호;박용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610-3618
    • /
    • 2015
  • 도시철도 차량 및 역사 내 혼잡도가 최고 220%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방향별 동선의 충돌로 인해 보행자의 이동저항이 급속히 증가해 통행시간 증가, 안전사고 발생 등 도시철도 역사의 이용효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 도시철도 이용객의 역사 내 이동속도 및 쾌적성 향상을 위한 혼잡관리 모형을 이용한 도시철도 이용객 동선유도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반복혼잡/비반복혼잡을 고려할 수 있는 혼잡관리 모형을 구성하셨고, 미들웨어시스템, 제어시스템, 동선유도구동시스템으로 구성된 동선유도시스템의 기본설계를 수행하였다. 동선유도시스템은 외부데이터를 알고리즘에서 사용가능한 형태로 변경하는 미들웨어시스템 단계와 실시간 데이터 및 과거 데이터를 통해 혼잡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와, 산정된 혼잡관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LED표시장치, 방향유도 표시기, 이동식 가이드레일 등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의 단계와 제어시스템의 정보를 기반으로 LED표시장치, 방향유도 표시기, 이동식 가이드레일 등의 장치를 실제로 구동하는 동선유도 구동장치 단계와 이용자가 실제로 접하는 LED표시장치, 방향유도 표시기, 이동식 가이드레일 등의 동선유도장치로 이루어진다. 향후 본 기본설계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상세설계를 통해 도시철도 역사의 구조 및 지점에 따른 다양한 동선유도장치의 시작품을 제작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동선유도제어 모듈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차이온질량분석기의 깊이 분포도를 이용한 동선의 열적 확산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rmal Diffusion in the Copper Wire Using SIMS Depth Profiling)

  • 박종진;홍태은;조영진;서영일;문병선;박종찬;박혁규;이정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3-47
    • /
    • 2008
  • 최근에 이차이온질량분석기(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1 2차 용융흔 구별에 관한 연구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동선의 깊이 분포에 따른 $^{12}C^-$, $^{63}Cu^-$, $^{18}O^-$, $^{35}Cl^-$ 이차 이온을 검출하기 위해 Cs+ 일차 이온빔을 사용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과전류에 의한 동선의 열적 확산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VC 절연피복이 덮인 동선이 보다 더 깊이 탄소와 염소가 확산함을 보였으나, 산소는 절연피복이 덮이지 않은 동선이 더 깊이 확산된 것을 보였다.

삼동선 개발의 타당성 연구

  • 조용진;고창두;강국진
    • 선박안전
    • /
    • 제6권
    • /
    • pp.29-3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고속선에 적합한 선형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삼동선의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실선으로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적용 대상선을 2,500톤급 삼동형 함정으로 설정하여 개념설계를 수행한 결과를 보이고자 한다. 함정의 설계조건과 요구사항에 적합하도록 삼동선의 장점을 최대한 반영하여 초기 개념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도출된 삼동선형의 유체역학적인 성능검토를 위해 저항추진, 내항 및 조종성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유사 단동선과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의 가시화를 위하여 최종적으로 3차원 컴퓨터 그래픽 모델링하고, 실선의 1/100 축적모형을 제작하여 설계결과를 표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