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력효율

Search Result 67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Technical Analysis of Heat Phenomena of the Cyclical Synchronization Power and Geometrical Parameters of the Turbocharging System of a Diesel Engine (터보과급 디젤엔진의 싸이클 동력동기화 및 형상변수에 대한 열현상의 기술적 분석)

  • 김시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2 no.3
    • /
    • pp.310-315
    • /
    • 1996
  • 엔진 배기가스의 동력과 유량이 배기행정의 직전 단계에서 관찰되었다. 배기가스 양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터보 과급의 입구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엔진의 흡기, 소기 및 배기과정에서 가스질량과 엔진의 동력, 그리고 터보과급 효과도 감소하였다. 터보 과급장치를 기하학적으로 적절화시킴으로써 싸이클의 동기화 및 동력의 효율이 고려된 열교환 과정의 효율 기준도 제기되었으며 디젤엔진의 연소싸이클을 재수정하는 과정과 터빈의 동역학적 특성도 제시되었다.

  • PDF

Vibr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Boom Sprayer for Upland-use Using Frequency Analysis (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전작용 붐방제기의 진동 특성 분석)

  • 김영주;이중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244-250
    • /
    • 2003
  • 국내에 보급된 방제기는 인력분무기, 동력 분무기, 동력 살분무기, 스피드 스프레이어, 붐방제기 등이 있다. 그 중 동력경운기에 탑재하거나 트랙터에 견인되는 동력분무기를 주축으로 기계화되어 있다. 작은 입경의 분무입자로서 가급적 적정량을 균일하게 뿌릴 때 방제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동력분무기에 의한 액제 살포는 원거리 살포에 따라 분무입자의 입경 분포가 다양하며 대부분 분무입자가 매우 크므로 고른 살포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약액을 1000대 1로 희석하여 흠뻑 적실 정도로 다량 살포를 하여 살포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제 방법은 효율성, 작업능률과 환경의 오염 측면에서 상당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 Research of Electromechanical Actuation System for Launch Vehicle Thrust Vector Control (발사체 추력벡터제어용 전기-기계식 구동장치시스템 특성 연구)

  • Min, Byeong-Joo;Choi, Hyung-Don;Kang, E-So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6 no.2
    • /
    • pp.164-170
    • /
    • 2007
  •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results of electromechanical TVC actuation system is described in the aspect of design, analysis, manufacturing and test. The kinds of prime power for TVC actuation system is classified by the variety of propulsion system of launch vehicle. The electric power by battery is the sole candidate for prime power of TVC actuation system at the view point of feasible domestic infra technologies for the present. The characteristic analysis study is performed between electromechanical and electrohydraulic actuation system with respect to power efficiency, performance and weight efficiency. The electromechanical actuation system has superiority of power and weight efficiency according to less opportunity of power conversion process.

  • PDF

Effect of Orifice Nozzle Design and Input Power on Two-Phase Flow and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2 상 유동 및 물질전달 특성에 미치는 오리피스 노즐형상과 소요동력의 영향)

  • Yang, Hei Che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0 no.4
    • /
    • pp.237-243
    • /
    • 2016
  •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input power as well as the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aeration process in order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an aerobic water treat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orifice nozzle design and input power on the flow and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vertical two-phase flow. The mass ratio, input power, volumetric mass transfer coefficient, and mass transfer efficiency were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data. It was found that as the input power increases the volumetric mass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s, while the mass ratio and mass transfer efficiency decrease. The mass ratio, volumetric mass transfer coefficient, and mass transfer efficiency were higher for the orifice configuration with a smaller orifice nozzle area ratio. An empirical correlation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effect of mass ratio, input power, and Froude number on the volumetric mass transfer coefficient.

Effect of Design Parameters on Shift Quality of Power Shuttle Transmission for Agricultural Tractors (트랙터용 전.후진 파워시프트 변속기의 설계 변수가 변속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이호상;정병학;김경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278-283
    • /
    • 2003
  • 트랙터 작업은 일반적으로 부하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잦은 변속이 요구되며, 견인 또는 다양한 작업기의 구동 등 작업 조건에 따라 적합한 작업 속도를 얻기 위한 많은 변속 단수가 요구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트랙터의 변속기는 큰 견인 부하에서도 정지하지 않고 원하는 속도로 원활하게 변속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트랙터 변속 장치는 작업 능률과 전동 효율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작업 능률이 놀은 유압 변속과 동력 전달 효율이 놀은 기계식 동력 전달을 조합한 파워시프트 변속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략)

  • PDF

Analysis of traction and power requirement for forage harvester (조사료 수확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

  • Hong, Seongha;Kang, Daein;Cho, Yongjin;Lee, Kyou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0-80
    • /
    • 2017
  • 국내에서 대부분 생산되는 사료(사일리지) 수확 작업은 베일 생산 및 비닐 래핑 작업이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사료 수확기는 수집, 롤링, 베일 네트 생성, 래핑, 래핑 종료 및 베일 방출작업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통합형 다목적 조사료수확기의 설계는 3D 디자인 툴 (CATIA V5R18)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기구부 23 파트 어셈블리, 전기제어 어셈블리, 유압요소기술을 통합하여 통합시작기를 제작하였다. 기초 프레임, 오거장치파트, 픽업장치파트, 하부롤러파트, 상부롤러파트, 하부 프레임 및 주행부 파트, 래핑회전파트, 롤러부 구동 동력부, 유압파트, 전기제어파트, 드로우바파트, 체결 및 컨트롤러 파트 등 25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작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Brixius (1987) 제안 모델을 체택하여 분석하였다. 이 Brixius 제안 모델은 견인력 예측에서 토양변수 및 토양강도 특성을 나타내는 원추지수 (Cone Index, CI)를 이용하여 트랙터의 견인력 예측에 사용하였다. 또한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소요 견인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이 운용되는 토양조건과 트랙터의 마력에 따른 소요 견인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3수준의 토양조건 (CI: 356 kPa, 543 kPa, 1,429 kPa)을 적용하였으며, 베일의 개당 최대무게는 최고 수준인 옥수수 기준으로 800 kgf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3수준의 CI 조건은 연구팀에서 선행연구과정 (토양특성에 따른 최적 경운작업 시스템 개발, 2006)에서 분석한 전국 10개 지역의 33개 지점의 경반층 CI지수의 측정범위인 1,050-3,170 kPa에 대해 견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열악한 조건 수준을 적용하였다. 각 작업에 사용된 소요동력은 베일 작업시 (ASABE D497.7, 2011) 그리고 래핑작업시 (Zhortuylov et al., 2013)를 사용하였으며 두 소요마력을 트랙터-조사료 수확기 시스템의 필요 소요마력의 합계로 계산하였다.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최소 소요 동력, 차축 소요 동력과 PTO 소요 동력을 Zoz and Grisso (200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ASAE의 작업속도 및 작업효율을 적용하였는데, 적용된 조사료수확기의 현장 작업효율은 60-86%의 범위이고 일반적으로 70%를 적용하고 이때 작업속도는 2.5-8.0 km/h이며 전형적으로 5.0 km/h를 기준하고 있다. 자주식 (SP; sief-propelled machine) 조사료수확기의 경우 작업속도가 2.5-10.0 km/h의 범위에서 작업효율은 60-85% 범위이다. 적용되는 조사료 수확기의 작업효율인 60-85%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작업효율인 70%를 적용하면 트랙터의 소요동력은 95hp를 적정 작업환경으로 하였다.

  • PDF

Calculation of Motor Power with Convenience Equipment for Pepper and Fruit Vegetable Harvest (고추 및 노지채소 수확작업 편이장치의 구동모터 선정)

  • Kim, Yeongsu;Jang, SukGeun;Kim, JiMan;Choi, Hwon;Oh, Sungkil;Lim, HackKyu;Kim, Tea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1-61
    • /
    • 2017
  • 노지 고추 수확작업은 100%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7~9월에 걸쳐 5~6회의 다수의 작업이 수행되어 노동 강도가 크다. 또한 농촌의 고령화와 노동력 감소로 인하여 수확인력의 부족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고추 및 노지채소 수확작업 편이기기는 동력이 아닌 인력으로 이랑사이를 이동하며 작물을 수확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는 노동 강도를 줄여주는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동력이 수반된 편이장치가 필요하며 또한 적절한 모터 및 제어장치가 요구된다. 적절한 모터를 선정함에 있어서 영향을 주는 인자는 주행저항(RR)이며, 구성요소로는 구름마찰저항(Rr), 공기저항(RА), 등판저항(Rg), 가속저항(Ra)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 주행저항(RR)=구름마찰저항(Rr)+공기저항(RA)+등판저항(Rg)+가속저항(Ra) 구름마찰저항(Rr)=구름마찰저항계수(${\mu}$)${\times}$차량총중량(W) 등판저항(Rg)=차량총중량(W)${\times}Sin{\theta}$ 공기저항(RА), 및 가속저항(Ra)은 1m/s 미만의 속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 동력원에서 최종 구동축으로 전달된 동력은 주행장치를 통하여 지면에 전달되고 이 동력에 의해 작업차의 주행장치에 추진력이 발생하며 주행장치의 추진력이 주행저항 이상이 될 때 작업차는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차의 주행속도를 V(m/s), 전동기의 효율을 ${\mu}_m$, 동력전달효율을 ${\mu}_{TD}$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산출된다. 전동기의 소요출력(P)=주행저항(RR)${\times}$속도(V)/전동기의 효율(${\mu}_m$)${\times}$동력전달효율(${\mu}_{TD}$) 구름마찰계수를 0.3이라고 할 때 포장의 경사도와 작업차의 주행속도 변화에 따른 주행소요 동력을 비교하였다. 주행소요동력은 포장의 경사각과 주행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한다. 고추 및 노지채소 수확작업 편이장치의 작업시 요구되는 주행속도는 일반적으로 0.25m/s, 등반각은 5도이다. 이때 구동 전동기의 출력은 안전율을 고려하여 식에 의해 계산한 결과 1ps으로 산출 되었다. 선정한 구동모터의 감속비는 7.18 : 1, 에너지의 효율은 78 %, 기동토크는14 N/m 이며, 축전지의 경우 구동모터에 기반 하여 구입이 간편하고 상용화 되어있는 연축전지를 사용하여 교체 및 수리가 간단하도록 하였다. 축전지는 12V 18Ah의 축전지 2개를 사용한다.

  • PDF

기술현황분석 - 트랙터용 기계-유압식 무단변속기(DMT) 연구현황

  • Jeong, Dong-Su;Park, Jong-Won;Jeong, Yong-Uk
    • 기계와재료
    • /
    • v.23 no.3
    • /
    • pp.164-172
    • /
    • 2011
  • 기계-유압식 무단변속기인 DMT는 농촌의 고령화의 추세에 맞물려 중 대형 트랙터의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DMT는 기계동력과 유압동력인 두 개의 전달 구조를 조합하고 서로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기동력이 우수하고, 변속충격이 거의 없고, 전달효율이 향상되고 있다. 트랙터용 DMT는 유압동력을 전달하는 HST, 기계동력을 분배 뽀는 합성하는 유성기어 장치, 전진과 후진을 선택하는 전 후진 클러치, 출력축을 정지하는 브레이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DMT의 핵심기술인 HST와 유성기어장치에 대한 내부구조 및 동력전달을 해석하고 시제품의 실험결과를 제시하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DMT의 연구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thermal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under heavy load (시설하우스 중하중용 동력개폐장치 개발)

  • 김승희;이공인;김진영;최덕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372-377
    • /
    • 2003
  • '92년부터 추진한 농업구조개선으로 시설원예 농업은 현대화 대형화되어 환기를 위한 천측창 개폐장치와 보온을 위한 커튼개폐장치의 자동화로 시설원예농업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천측창 동력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설치개소가 많고 빈번한 작동으로 일찍이 동력개폐기 문제점이 지적되었고, 그에 따른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초기의 동력개폐기는 2단 웜기어 감속방식을 사용하여 동력전달효율이 낮아지고 웜기어의 마모로 고장이 잦고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어 감속방식을 유성기어로 전환하여 실용화되면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중략)

  • PDF

전기 . 유압 펌프 시스템의 설계 및 제어에 관한 연구

  • 강종우;황성호;박성환;하석홍;이진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181-184
    • /
    • 1993
  • 일반적으로유압 장치를 사용하여 힘, 속도, 그리고 위치 등을 제어하는 경우 그 제어계의 설계, 제어방식의 선택에있어서는 최종 목표치의 정도, 응답성 등의 제어 성능을 고려함과 동시에 공업적으로는 가격, 동력효율 등이 중요한 설계인자로서 고려 되어 져야한다. 제어 방식응 벨브 제어와 펌프 제어 방식으로 크게 나뉘어 질 수 있으나, 벨브 제어방식에 있어서는 유압 서보벨브를 사용하여 출력 기구를 고정도로 직접 구도하는 것이 많으나 동력손실이 큰 편이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압력 보상형 비례 전자 제어 벨브를 이용하는 것도 있으나, 소출력용으로서만 이용가능할 뿐이다. 이에 비하여 가변 용량형 펌프를 이용한 제어방식은 정도, 응답성은 다소 뒤떨어 지지만 효율이 양호하고 대출력 기구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최근 주목의 대상으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의 효율적인사용이 가능한 전기. 유압 펌프 시스템을 설계하기위하여 먼저 각 신호전달 요소에 대한 동특성 및 정특성 실험을 행하여 시스템의 근사적인 모델링을 행하고 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함으로써 유압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여그 성능을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