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기전동기

Search Result 1,05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진동전원과 평골전원으로 운전되는 동기전동기 특성 비교에 관한 이론적 해석

  • 이윤종;백수현
    • 전기의세계
    • /
    • v.28 no.11
    • /
    • pp.14-25
    • /
    • 1979
  • Thyristor inverter로 구동되는 동기전동기의 특성 해석을 직류기로서 취급하기 위하여 등가회로로 유도하였고 브러쉬축및 이에 직교하는 축인 .gamma.축 및 .delta.축의 전압 $v_{\gamma}$, $v_{\delta}$에 평골전원과 맥동전원이 인가될 경우 각각의 동기전동기의 특성변화를 구하였다. 그 결과 맥동전압으로 인한 전자기 권선에 흐르는 고주파전류는 인가전원 주파수에 6배되는 진동토오크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 맥동토오크의 평균치는 정현파 전원 구동시와 거의 동일하게 되나 전동기의 관성 크기에 따라 난조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120 .deg. 유통형 및 180 .deg. 유통형 inverter구동에 따른 동기전동기의 토오크 특성이 각각 타여자 직류전동기 특성및 정출력 특성이 됨을 밝혀내었다.었다.었다.

  • PDF

Maximum Torqu Control Of Salient-Pole Synchronous-Induction Motor For Hybri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계자 권선형 동기전동기의 최대 토크 운전)

  • Yoo, SeongHwan;Song, WooHyun;Kim, JoohnSh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82-83
    • /
    • 2013
  • 친환경 차량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고효율 운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이하 HEV)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HEV에는 효율이 높고 단위 체적당 토크가 큰 고성능 전동기가 적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에 적용되는 특수성으로 인해 고속영역에서의 안정된 출력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회전계자부에 권선을 적용한 계자권선형 동기전동기는 영구자석형 전동기에 비해 효율이 다소 감소하는 단점이 있으나, 공극 자속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저속영역부터 10,000rpm 이상의 고속영역까지 탁월한 가변속 능력을 발휘하는 장점이 있으며, 저용량 HEV에 매우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와는 다르게 d,q축 전류 뿐만 아니라 자속성분 전류까지 제어 대상에 포함되므로 제어계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HEV용 계자 권선형 동기전동기의 단위 전류당 최대토크 제어(MTPA)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전압-전압제한 하에서 이론적으로 발생 가능한 최대토크 능력 커브를 기반으로 실제 시스템에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약계자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Sensorless Control of Variable Flux Permanent Magnetic Synchronous Motor (가변자속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센서리스 제어)

  • Yang, Hyeon-Seok;Lee, Kwang-Woon;Shin, Duck-Shick;Cho, Ju-Hee;Kim, Guen-Ye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582-583
    • /
    • 2012
  • 가변자속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자속의 변화에 따라 전동기의 제정수도 변화하므로, 수학적 모델 기반의 역기전력 추정 센서리스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 제정수 오차로 인해 센서리스 제어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3kW급 가변자속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에 대해서 자속 가변에 따른 전동기 제정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가변자속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에 적합한 센서리스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Control Strategy for Improved Torque Dynamics and Torque Ripple Reduction (동적 특성 개선과 토크 리플 저감을 위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토크 예측 제어 기법)

  • Shin, Yesl;Cho, Yongsoo;Lee, Kyo-Be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88-89
    • /
    • 2013
  • 본 논문은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동적 특성 개선과 토크 리플 저감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인가전압과 토크의 관계를 수학적인 분석을 통해 유효 벡터 인가 시간을 결정하는 기법이다. 결정된 유효벡터 인가 시간과 동기전동기의 토크 오차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지령전압벡터를 계산한다. 계산된 지령전압벡터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빠른 응답성과 우수한 정상상태 특성을 보인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영구자석 동기기 토크 제어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확인한다.

  • PDF

Calculating Method for Power Supply Capacity of 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 considering Leakage Flux (누설자속을 고려한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의 전원용량 산출법)

  • Kim, Yong-Jae;Cho, Kyoung-P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977-978
    • /
    • 2011
  •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는 회전 모터와 달리 사용 용도에 맞추어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회전 모터와 다르게 고정자와 가동자의 길이가 유한장이기 때문에 회전 모터에 비하여 누설 자속이 크다. 따라서, 반송장치용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의 전원용량을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량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의 전원용량의 산출법에 대하여 나타낸다.

  • PDF

Phase Current Restruction Method of Delta-Connected PMSM using DC-Link Shunt Resistor (델타결선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를 고려한 직류단 션트 저항을 이용한 상전류 추정방법)

  • Lee, Sang-Bong;Kim, Jang-M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109-110
    • /
    • 2016
  •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PMSM)의 결선방법에 따라 전동기의 전압과 전류는 그 크기와 위상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결선을 고려한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제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와이 결선과 델타 결선된 전동기의 등가회로를 모델링하고, 델타 결선된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구동 시스템에서 직류단 션트저항을 이용한 3상 전류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Analysis on Parameter Estimation Error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achine(PMSM) Considering Cross Coupling Effect (교차 결합 현상에 의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제정수 추정 오차 분석)

  • Chung, Euihoon;Ha, Jung-I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101-102
    • /
    • 2016
  •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MSM)의 효율적인 구동을 위해 전동기의 제정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전동기 제정수 추정 기법은 전동기의 교차 결합 현상(Cross coupling effect)을 고려하지 않은 전동기 모델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에서 기존의 제정수 추정 기법을 적용할 경우 교차 결합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제정수의 추정 오차를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고속전철 견인용 교류 전동기의 제어 방식

  • 오성철
    • 전기의세계
    • /
    • v.43 no.6
    • /
    • pp.13-18
    • /
    • 1994
  • 본 고에서는 동기 전동기, 유도 전동기 구동방식의 특징을 제어방식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동기 전동기 구동방식의 역행, 제동시의 동작 및 유도 전동기 구동방식의 전동기 구동을 위한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추력 제어방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n Direct Driven IPMSM for Next Generation Locomotive (차세대 전동차용 직접 구동용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특성 고찰)

  • Kim, Min-Seok;Park, Ji-Seong;Kim, Dae-Kwang;Kim, Jung-Chul;Jung,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1 no.4
    • /
    • pp.398-403
    • /
    • 2008
  • The propulsion for locomotive application has changed from the DC motor system to the induction motor system. Although the induction motor system has almost reached the stage of maturity, this system also needs to be changed to the PM motor system for the direct drive without using reduction gear. Thus, the IPMSM (Interior buri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has been adopted to meet the locomotive driving specification. Where the wheel is directly dirven by the traction motor. In this paper, the investigation on IPMSM satisfying driving specifications for the direct drive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advanced FEM.

Optimal Design of Five-Phase Permanent Magnet Assisted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for High Speed Railroad Traction System (고속철도 추진용 5상 영구자석 저감형 동기전동기의 최적설계)

  • Baek, Jeihoon;Kim, Myung Yong;Yi, Kyung-Py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0 no.5
    • /
    • pp.588-594
    • /
    • 2017
  • Permanent magnet assisted synchronous reluctance motors (PMa-SynRM) show higher efficiency and power density compared to conventional induction motors for high speed railroad traction systems. Furthermore, 5-phase PMa-SynRMs have lower torque ripple and higher power density than 3-phase systems. Therefore, the 5-phase PMa-SynRM is suitable for high-speed railway traction systems. In this study, 3kw 3-phase and 5-phase PMa-SynRM models were optimized using lumped parameter model and genetic algorithm,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he optimized models are fine-tun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final models of the 3-phase and 5-phase PMa-SynRMs are fabricated and tested to verify the analysis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