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굴환경

Search Result 24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natural environment of Hoe-ok cave in Wonju (원주(原州) 회옥굴(窟)의 자연환경(自然環境)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Byoung-Woo;Park, Jong-Beom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4
    • /
    • pp.10-21
    • /
    • 2008
  • In order to accumulate the basic informations to assess the scientific and natural values of the Hoe-ok Cave located in Mountain Chi-ak, Seong-nam 2 ri, sin-rim myeon, the natural environments in the cave were investigated from November 2004 to June 20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cave was 2.5$^{\circ}C$ in the winter, 5.5$^{\circ}C$ in the spring, 6.8$^{\circ}C$ in the summer. The average humidity in the cave was 82.5% in the winter, 86.0% in the spring, 86.0 in the summer. this results show that the temperature was 10$^{\circ}C$ lower, and the humidity was 4$\sim$10% lower than those in the Go-su Cave. Inside of the Heo-og Cave, the damages from the garbages and smoke stains by the reckless civilians are expanding. It is necessary to execute the research on the geological facts of the cave and the reassessment on its values in the natural history.

A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Water Quility in ManJang Gul (제주도 만장굴의 환경보전과 수질분석)

  • 김경훈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1
    • /
    • pp.15-18
    • /
    • 1997
  • 제주도는 한반도 남방 해상에 해당하는 120$^{\circ}$ 16'~126$^{\circ}$ 57'에 위치하는 화산섬이다. 이 섬의 동북지방에 있는 만장굴은 북제주군 구좌읍 동금녕리에 위치하며 오늘날 화산동굴로는 세계 제5위에 해당하는 8,924m의 화산동굴(용암굴)이다. 실지로 이 만장굴을 중심으로 산위로 또는 산밑해안가로 뻗고 있는 같은 화산 활동시기에 같은 용암류가 형성시킨 많은 동굴들(김녕사굴, 밭굴, 전굴 그밖에 개우샛굴, 덕천굴 등)을 포괄시킨 만장굴 동굴시스템(동굴계)로 따지면 실로 세계 제일가는 협재동굴시스템(11,749m) 다음가는 세계 제2의 화산동굴시스템(13,268m)으로 현재까지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는 동굴군이다.(중략)

  • PDF

노동굴의 환경변화와 보전에 관한 연구

  • 경만호;임병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102-105
    • /
    • 1994
  • 동굴은 관광개발과 동시에 그 환경은 점자 파괴오손 되는 것이 당연하다. 관광개발의 시설때문에 경관의 훼손은 물론이고, 그 밖에 입동객에 의한 이른바 오손공해는 우리들이 잘 아는 바이다. 그리고 조명시설에 의한 광도때문에 나타나는 녹색공해를 비롯한 흑색공해 등은 역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며, 이밖에도 대기질 변화, 건화현상 등에 유래되는 백색공해와 박리작용에 의한 퇴적물 오손 등은 참으로 개발에 따른 환경파괴와 오손현상이라 하겠다.(중략)

  • PDF

노동굴의 환경변화와 보전에 관한 연구

  • 경만호;변태근;임병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5 no.36
    • /
    • pp.72-89
    • /
    • 1993
  • 동굴은 관광개발과 동시에 그 환경은 점차 파괴오손 되는 것이 당연하다. 관광개발의 시설때문에 경관의 훼손은 물론이고, 그 밖에 입동객에 의한 이른바 오손공해는 우리들이 잘 아는 바이다. 그리고 조명시설에 의한 광도때문에 나타나는 녹색공해를 비롯한 흑색공해 등은 역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며, 이밖에도 대기질 변화, 건화현상 등에 유래되는 백색공해와 박리작용에 의한 퇴적물 오손 등은 참으로 개발에 따른 환경파괴와 오손현상이라 하겠다.(중략)

  • PDF

온달굴 지대의 자연지리 환경

  • 정창희;김병우;김추윤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7
    • /
    • pp.38-67
    • /
    • 1994
  • 이 동굴은 위도상으로 보아 북위 37$^{\circ}$03', 동경 128$^{\circ}$29'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적으로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하리에 소재한다. 또한 온달굴은 자연입지면에서 볼때 태백산맥에서 서남쪽으로 뻗고 있는 소백산맥의 주봉인 소백산지(1439m)의 북서면 능선을 하식하고 있는 남한강 수계의 남안에 입지하고 있는데 이른바 온달산성이 있는 성산과 그 줄기 봉인 남산의 땅속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교통 및 관광입지면에서 이 동굴의 위치를 본다면 동굴은 소백산 국립공원에 해당하는 소백산지의 북쪽 서면과 서쪽의 충주호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남한강의 강변의 북쪽 연안에 있다.(중략)

  • PD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Lava Tubes in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용암동굴의 보존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Beom-Hoon;Kim, Tae-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6
    • /
    • pp.609-622
    • /
    • 2007
  • This paper examines the lava tube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in Jeju Island, and then makes the several suggestions for conserving and managing them. The cave entrances should be scientifically and strictly manage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and to preserve the interior ecosystem, of the lava tubes. The land use and vegetation of the ground surface over the lava tubes should be also systematically managed; the destroyed sand dunes must be recovered for the development of speleothem in the lava tubes, and the plants with deep roots must be removed for the prevention of ceiling collapse. The provincial authorities should manage the ground surface over the lava tubes as a public land to remove the factors threatening the stability of the lava tubes. Since the roads crossing the ground surface are likely to cause the collapse of the lava tubes, new roads bypassing the caves need to be constructed, and warning signs should be also installed at the traverse points. A monitoring system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rea over the lava tubes could be effectively established by encouraging residents to participate the conservation program of lava tubes. Since the falling blocks from ceilings have been usually observed in the lava tubes, it is urgent to examine their stability. In particular, the dangerous sections must be continuously monitored for taking a quick measure against the collapse. The air environments of lava tubes need to be scientifically analyzed based upon the long-term observations. The lighting equipments must be improved to minimize the green pollution in the lava tubes open to the public. The numbers of visitors should be also controlled to prevent the destruction and contamination of lava tubes caused by a large number of visitors.

  • PDF

Fake Limestone Cave of Geon-Ji Gul Accompanied with Lava-calcification (용암석회질화가 수반된 위종동 건지굴)

  • Soh, Dea-Wha;Hong, Young-Ja;Soh, Hyun-Jae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7
    • /
    • pp.31-42
    • /
    • 2007
  • 북제주군 협재리 해안가 인근에 소재한 건지굴을 대상으로 화산지역의 용암동굴에서 특이하게 진행되고 있는 응암석회질화(鎔岩石灰質化: lava-calcification)의 위종동(僞鐘洞)에 대하여 동굴내부와 주변상황에 근거한 분석, 고찰을 통하여 석회질화의 원인을 규명하고, 생태와 환경 및 동굴해안접경구와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주위에 흔히 분포되어있는 스코리아에 대해 분석응용을 하였다. 용암(화산)동굴은 생성이후 퇴화한다. 그러나 용암동굴에서 용암석회질화의 위종동 현상이 발생하면 용암의 기공과 균열부분 또는 용암석간의 공극에 석회질 성분이 침투, 고화, 융합되면서 구조적 보강효과의 발생으로 오히려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역할과 같이 견고하게 진행되는 특이현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행성 용암석회질화 현상이 북제주군 협재리에 소재한 건지굴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Environmental save of the Gosu cave and the saving management plan of electronic (고수동굴의 환경보존과 전기의 효율적 관리 방안)

  • Yoon, Jung-M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6
    • /
    • pp.25-30
    • /
    • 2008
  • The black pollution that was able to include green pollution to appear for the intensity of light by an illumination institution is what after all I cannot ignore, and it may be said that chase thing damage by the isolation action that is white pollution done a long story in this outside a certain range by air quality change, dried present situation is really the environmental disruption by development and a damage phenomenon. If I am replaced in winker and I install a sensor light in the outlet by addition and use the electricity illumination that I installed for a tourist in the cave, it is expected that I can be available all the time that it is possible for electricity reduction more than the present and watches tourist passage plan private business Electric illumination in the cave for the environmental save in the cave because it is possible for

A Process Study on Korean Peninsula Karst by Geologic Structures (지질구조(地質構造)에 의한 한반도(韓半島) Karst의 발달과정(發達過程) 연구(硏究))

  • Oh, Jong-Wo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6
    • /
    • pp.1-7
    • /
    • 2008
  • 지질구조는 카르스트의 층위와 구조상의 배열에 있어서 다양한 카르스트의 지형을 결정한다. 카르스트의 발달은 조산 및 조륙운동, 석회암층의 두께, 구성물질의 유형, 단층 및 습곡의 다양성, 주향 및 절리면의 빈도, 기후변화 및 기상환경, 수문 및 유수의 유형, 토지이용 현황 외 환경오염 등에 따라서 차별성을 나타낸다. 특히 지질구조에 따른 카르스트의 발달은 석회암 등이 유수의 작용에 커다란 용해작용의 영향을 받으므로 지질구조의 요인인 단층과 습곡현황과 절리와 균열 등에 의한 카르스트의 발달에 가장 큰 기여를 한다. 지질구조에 의하여 카르스트 지표지형에는 karren과 hum, mogotes, doline와 uvala, towers, springs, 구조적 유역, Closed Systems 등이 형성되고, 지하지형에는 Phreatic 동굴, Vados 동굴, Chambers, Multileveling cavities, Vertical shafts 등이 형성되는 다양성을 가진다. 한반도에서는 습곡구조에 의한 동공의 발달이 탁월하며, 다단계 및 급사면형 동굴의 유형이 다양하게 분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