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굴분포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Structural Feature of Caves in Korea (한국 동굴의 구조적 특성)

  • 홍시환;정민채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5 no.46
    • /
    • pp.33-47
    • /
    • 1996
  • 동굴이 휴양명소로 자리잡아 감에 따라 동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때에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동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 분포한 동굴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중 대표적인 석회동굴과 화산동굴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는 260개 이상의 동굴이 분포하고 있는데,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방에 75% 이상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것은 이들 지역이 우리나라의 지체구조사 옥천지향사에 해당하는 곳이어서 석회석이 발달한 때문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동굴은 성인상으로 분류하면 석회동굴 ·화산동굴 ·해식동굴 ·저리굴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석회동굴이 가장 많고, 화산동굴은 제주도에 주로 분포한다. 셋째, 동굴지형면에서 석회동굴은 이차 생성물의 성장으로 인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반면에, 제주도의 화산동굴은 규모면에서 세계적이라는 것이 특징이고, 몇몇 동굴에서는 해안가 패사류의 퇴적으로 인해 석화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이차 생성물이 발달된 곳도 있다. 마지막으로 동굴생물적 측면에서는 동굴의 깊이가 클수록 진동굴성 동물이 비교적 많이 발견된다. 또한 본토의 석회동굴과 제주도의 화산동굴 내에 분포하는 동굴생물은 다소 그 종류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제주도의 화산동굴에는 그곳에만 독특하게 사는 동굴생물들이 발견되어 종의 이름에 ‘제주도...’ 라고 명명하는 것이 특징이다.

  • PDF

The Character of Tourism Cave in Kyongbuk (경북지역 동굴의 관광적 특성)

  • 유영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4
    • /
    • pp.9-20
    • /
    • 1998
  • 자연광물자원의 채광으로 조성되거나 자연적으로 생겨난 동굴은 사람들이 평소에 경험할 수 없는 신비한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동굴의 수는 260개소에 달한다. 그 중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굴이 12개소, 지방기념물로 지정된 동굴이 29개소이며, 나머지 219개소의 동굴은 미지정 상태로 남아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을 사례로 하여 동굴의 관광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경북지역에는 천연기넘물 1개소, 지방기념물 2개소, 특수동굴 2개소, 기타동굴 13개소 등 18개소의 동굴이 분포하고 있다. 18개소의 동굴중 개방 동굴은 울진에 있는 성류굴이 유일하며, 동굴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문경에 절반에 해당하는 동굴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것은 문경이 다른 지역과 달리 석회암과 무연탄이 많이 분포하여 예전부터 시멘트공장과 연탄공장이 발달한 것에서 그 연유를 찾을 수 있다. 봉화에 4개소가 있으며, 울진에 2개소, 경주, 영주, 안동 등에 각각 1개소씩 분포하고 있다.

  • PDF

동북아시아 관광동굴의 유형별 분포 특성

  • Hong, Chung-Ryeol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7-54
    • /
    • 2005
  • 관광동굴은 대표적인 자연적관광자원으로서 다른 관광자원과의 차별화된 특성으로 매우 높은 자원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특히 동북아시아 관광시장의 성장과 관광객 선호도를 고려하여 볼 때 동굴에 대한 개발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 동북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는 관광동굴을 조사하고 유형별, 국가별, 지역별 분포특성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동굴은 총 116개이며 유형별로는 석회동굴이 가장 많다. 둘째, 국가별 분포를 살펴보면 중국, 일본, 한국 순이며 유형별로는 중국, 한국, 북한은 석회동굴이 많고 일본, 타이완, 홍콩은 해식동굴이 많은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내륙의 석회동굴과 제주도의 화산동굴, 해안가의 해식동굴의 관광자원으로 개발되어 있는데 그 외에도 다수의 자연동글이 분포하고 있어 관광개발가능성은 매우 높은 편이다. 관광동굴에 대한 보다 차별화된 개발전략은 내국인관광객 뿐만 아니라 방한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훌륭한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에만 의존한 제한점이 있으며 향후 구체적인 통계 데이터와 국가별 관광객형태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동굴관광 활성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북한의 카르스트지형과 동굴분포와 상관성 연구

  • 홍시환;오종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7
    • /
    • pp.13-32
    • /
    • 1994
  • 우리나라에는 반도부 지역에 석회암 지층이 널리 분포되고 있다. 석회암 지층에 동굴이 발달한다. 즉, 북한지역에서는 중앙 서부지구에 남한지역에서는 중앙 동부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석회암 지역의 지표면에서는 이른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게 되는데 바로 이 카르스트지형의 지층에서 석회동굴이 발달하고 있다. 이제 북한지역의 석회동굴 분포를 이해하기 위하여 북한의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동굴분포가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필자가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의 연구기금으로 연구한 "북한의 지형연구" 중의 일부를 발췌한 논문이다.(중략)

  • PDF

성류굴의 특성과 지물분포에 관한 연구

  • 홍현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30
    • /
    • pp.22-42
    • /
    • 1992
  • 성류굴은 우리나라 동해안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 155 호의 관광개발동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먼저 알려진 석회동굴이고, 또한 가장 화려하고 웅장한 동굴로 이름났다. 더구나 이 동굴에 얽힌 많은 애화와 전설도 남겨져 있기도 하며, 찾아드는 관광객이 많기로도 우리나라에서 으뜸가는 동굴이다. 이 동굴의 지형학적인 측면에서의 특성은 물론 지형지물의 분포에 대한 조사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보다 세밀하.게 이 지형학적 특성과 분포에 대한 조사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중략)

  • PDF

동굴 환경에 따른 동물의 분포상에 관한 연구 - 백용동굴을 중심으로 -

  • 남궁준;김승태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30
    • /
    • pp.43-59
    • /
    • 1992
  • 동굴의 환경에 따라 동굴내부의 동물상은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백용동굴을 중심으로 하여 환경에 따른 동물의 분포상태 및 동굴동물을 구분하였다 본 동굴의 동물상에 대하여는 과거에 남궁 준(1977.6, 1983.7), 남궁 준·백 남극(1979.12). 김 득수(1977.7, 1975.5), 남궁 준ㆍ조 규송(1989.8) 등에 의해 조사된 바 있고, 그 결과는 한국동굴보존협회의 "종합학술조사보고서(1979.12)", 한국자연보존협회 강원도 지부의 "강원도의 희귀자원 조사보고서 제4집(1987)", 강원도 평창군의 "백룡동굴 학술조사보고서(1989.12)"등을 통하여 모두 8강 24과 26속 28종의 동굴동물의 목록과 분포생태 등이 발표된 바 있다.(중략)

  • PDF

양당리굴 생물의 분포 및 서식지 특성

  • 김병우;오영주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1-38
    • /
    • 2002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굴,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임, 1985).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굴, 대이굴, 환선굴 등 충청북도와 강원도일대에 분포하는 동굴의 생물상이 조사되었다. (중략)

  • PDF

동굴생물의 생태적 특성과 분포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94-95
    • /
    • 1994
  • $\bigcirc$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 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bigcirc$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릉굴, 대이굴, 환선굴 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

An Ecological Property and Distribution of Cave in Cheju Island (제주도의 동굴생물의 생태적 특성과 분포)

  • 김병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1
    • /
    • pp.19-26
    • /
    • 1997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즉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굴, 대이굴, 판선굴 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