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굴관리정보시스템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유비쿼터스 동굴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biquitous Cave Systems)

  • 오종우
    • 동굴
    • /
    • 제90호
    • /
    • pp.35-5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굴환경의 황폐화에 대한 지속가능한 동굴의 연구, 관광 및 보존을 위하여 첨단정보화 기술인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차원의 동굴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첫째, 동굴에 대한 법제도나 조례 등으로 강력한 관리방안이 제시되거나 휴식년제 도입 등으로 행정적인 방안이 있으며, 둘째, 최첨단 정보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동굴의 관리로 지하동굴 자원의 청정환경을 도모하는 방법이 있다. 유비쿼터스 동굴의 구축에는 첨단 자동정보시스템 인 감지시스템(USN), 모니터링시스템(RFID/UFID), 무선통신시스템(WiBro/WiFi), 공간정보시스템(GIS), 항공레이저시스템(LiDAR), 저열 조명시스템(ELD) 및 통합관리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동굴 구현에 필요한 첨단화 정보기술분야의 산업적인 융합에 의한 차세대 동굴살리기 명품솔류션 구현을 통하여 공간정보기반의 유비쿼터스 동굴관리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u-cave모델은 정책의 적용에 따라 동굴의 자연관리, 생태관리, 시설관리, 관광관리, 문화관리 및 소득창출 등의 시너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동굴의 자연환경보존 기반의 수단으로서 기여 될 수 있다.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동굴관광자원의 관리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Show Cave for Sustainable Tourism)

  • 홍충렬;김원진
    • 동굴
    • /
    • 제64호
    • /
    • pp.27-36
    • /
    • 2004
  • 자연동굴은 생태환경교육의 장이며 주요한 관광자원으로 이용가치가 매우 크다. 그러나 현재 개방된 관광동굴의 경우 관리보존상의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관광동굴의 관리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안적인 동굴관리체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검토결과 대부분의 관광동굴이 '천연동굴 관리보존지침' 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거나 체계적인 관리운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굴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동굴관리자의 근무환경 개선, 관광객에 대한 교육, 동굴관련 문화재보호법의 개정, 동굴관리자에 대한 전문가 교육이 요구되었다. 향후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동굴관리 및 보존을 위해서는 동굴관리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행정기관, 동굴관리자, 관광객의 상호협력적인 관리체계와 동굴내외부의 환경변화에 대한 세부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동굴관리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최근 디지털 측량기법을 이용한 3차원 동굴측량 (3D Cave Survey Using a New Digital Survey Technique)

  • 이강원
    • 동굴
    • /
    • 제93호
    • /
    • pp.33-41
    • /
    • 2009
  • 국내 동굴의 경우, 학술연구 및 관광사업을 목적으로 동굴에 대한 학술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동굴조사의 기초작업이라 할 수 있는 동굴내부의 정밀한 측량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동굴내부에 대해 정밀한 측량을 실시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하는 것은 동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동굴의 변화과정을 추정하는데 효율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최신의 디지털 측량기법들을 복합적으로 실시하는 3차원 동굴측량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CMIS 구축을 위한 제주지역 조직 구성 (Organization of KSS Jeju-district for CMIS Construction)

  • 소대화;배두안;김용철
    • 동굴
    • /
    • 제72호
    • /
    • pp.75-79
    • /
    • 2006
  • 학회 조직의 구성과 운영에서 민주적이고 자율적 방식을 선택하고 있음은 물론이며, 조직의모체로써 본부를 두고 필요에 따라서 국내외 지역에 지부 또는 지회를 두어 설립목적의 학술활동을 수행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동굴의 지역적 분포 특성과 동굴마다의 고유한 특징을 고려할 때, 동굴학회의 특성상 각 지역 지부의 필요성은 절대적이라고 하여도 지나침이 없으며, 따라서 이에 대하여 우리 학회가 추구하는 동굴의 효율적 관리와 보존 방안으로 동굴관리정보시스템(CMIS) 구축을 위한 노력 경주와 그 기반형성의 지역 조직구성을 공고히 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세계적인 화산동굴 유산을 지니고 있는 제주지역 조직구성이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강조하며, 그 추진을 희망하여 요청한다.

CMIS 구축을 위한 경기지역 조직 구성 (Organization of KSS Kyounggi-district for CMIS Construction)

  • 소대화;신대봉;김화복;송무헌
    • 동굴
    • /
    • 제72호
    • /
    • pp.59-63
    • /
    • 2006
  • 학회 조직의 구성과 운영에서 민주적이고 자율적 방식을 선택하고 있음은 물론이며 조직의 모체로써 본부를 두고 필요에 따라서 국내외 지역에 지부 또는 지회를 두어 설립목적의 학술활동을 수행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동굴의 지역적 분포 특성과 동굴마다의 고유한 특징을 고려할 때, 동굴학회의 특성상 각 지역 지부의 필요성은 절대적이라고 하여도 지나침이 없으며, 따라서 이에 대하여 우리 학회가 추구하는 동굴의 효율적 관리와 보존 방안으로 동굴관리정보시스템(CMIS) 구축을 위한 노력 경주와 그 기반형성의 지역 조직구성을 공고히 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중의 하나이므로, 먼저 경기지역 조직구성이 선봉에서 이루어지도록 강조하며, 그 추진을 희망하여 요청한다.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의 국내적용 가능성 예비 평가 (Preliminary Evaluation of Domestic Applicability of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 이종열;이민수;최희주;김경수;조동건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1-505
    • /
    • 2018
  • 현재 기준개념으로 개발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는 심층 동굴 처분기술에 대한 대안으로서 지질학적 조건이 더 안정적인 지하 3~5 km의 심도에 사용후핵연료를 포함한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는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예비 평가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심부시추공 처분개념의 기술적 적용성 분석에 필요한 국내 기반암 분포특성 및 심부시추공 처분부지 적합성 평가 기술 분석과 대구경 심부시추기술을 평가하였다.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 설계 기준 및 요건에 적합한 심부시추공 처분용기 및 밀봉시스템 개념을 설정하여 예비 기준 심부시추공 처분 개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예비 기준 처분시스템에 대하여 열적 안정성 및 그래픽 처분환경에서의 처분공정 모사 등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이들을 종합하여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의 국내 적용성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의 예비평가를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은 처분심도와 단순한 방법으로 인하여 안전성 및 경제적 타당성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지만, 불확실성을 줄이고 인허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 기술에 대한 현장실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결과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공학적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에 관심을 갖는 방사성폐기물 관리 이해당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