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cise measurements of cave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is effective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cave and process to estimate the change of basis will be.
국내 동굴의 경우, 학술연구 및 관광사업을 목적으로 동굴에 대한 학술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동굴조사의 기초작업이라 할 수 있는 동굴내부의 정밀한 측량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동굴내부에 대해 정밀한 측량을 실시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하는 것은 동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동굴의 변화과정을 추정하는데 효율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최신의 디지털 측량기법들을 복합적으로 실시하는 3차원 동굴측량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Keywords
digital survey technique; 3D cave survey; G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Reference
1
오규식, 2008, 계획 실무자를 위한 GIS 워크샵, 기문당
2
村山祐司 編, 2008, GISの理論, 朝倉書店
3
Parker Robert Nash Asencio Emily K. 2008, GIS and Spatial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Taylor Franc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