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굴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Ubiquitous Cave Systems (유비쿼터스 동굴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Jong-Wo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90
    • /
    • pp.35-5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the karst infrastructure systems for the u-cave. IT based u-cave represents spatial information derived fields, such as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cave boundaries,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cave locations and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arst history. These three aspects relate to karst infrastructure systems, cave monitoring center and spatial database implementation. In terms of the IT based u-cave infrastructure implementation systems, the u-cave depends on IT contents and spatial features. uIT contents are strongly related to IT839 strategy due to the national agenda is "u-Korea". Cave should contribute to u-cave construction through the spatial analyses methods including USN, RFID, LiDAR, ELD, and GIS technologies. For these methods various cave functions will guide to u-cave's distribution,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arst. The infrastructure consists of landforms and speleothem facilities, underground related facilities, environmental protection systems, and cave planning. These six units of the cave infrastructures have spatial databases that consist of spatial configuration, such as 4-D in order to draw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imestone and lava caves. IT based u-cave system infrastructure implementation should deal with IT convergence to generate fusion affects.

A necessity of Cav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CMIS의 필요성)

  • 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7
    • /
    • pp.73-75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자연동굴에 대한 학계와 일반인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측면에서 자연동굴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서 이에 자연동굴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차별적인 이용가치에 대하여 검토하고 보다 바람직한 관리와 개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러나 최근 다수의 관광동굴들이 관리 소홀, 관광객의 인식 부족, 행정당국의 정책 부재 등으로 심각한 환경 파괴와 오염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관광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동굴 관련법의 현실적인 법 개정, 동굴관리자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등이 실질적인 동굴관리에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방동굴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하여 동굴관리시스템(CMIS)의 구축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Show Cave for Sustainable Tourism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동굴관광자원의 관리체계에 대한 연구)

  • Hong, Choong-Real;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4
    • /
    • pp.27-36
    • /
    • 2004
  • Caves have the values of learning sites and tourism resources. But show caves are at risk of being ravaged, destroyed, and Pollu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management condition and the problems of the show caves,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 improvement for the cave management. The research of the Cultual Properties Administration revealed many Problems including the management system, safety diagnosis, the demand for comprehensive academic research and so on. An analyzing of the questionnaire about cave manager demanded to reform working conditions, tourist education, an amendment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expert education for cave manager.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construct the mutual cooperation system of a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cave manager and tourist, and the Cav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o manage database of cave environment.

1. 동굴의 개발이용과 환경보전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1.06a
    • /
    • pp.78-85
    • /
    • 1991
  • 최근에 전세계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제주도에는 세계에서 제일가는 단일용암동굴인 빌레못동굴(11.749m)과 용암동굴시스템인 만장굴시스템(13,268m)등 두 세계의 최고기록이 땅 속 깊이 도사리고 있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석회동굴에 있어서도 그 규모에 있어서는 세계적인 것은 못되나 그 특수성에 있어서는 자랑 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그 하나가 동굴 호로 온통 동굴내를 장식하고 있는 선선여량의 호동굴이오, 그러고 기암괴기석으로 이름난 단양고수동굴 등등이다.이와 같은 석회동굴들은 이제곳곳에서 관광동굴로 개발되어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에 이바지 하고 있는 바 이로 인하여 점차 동굴의 자연환경은 파괴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이들 동굴환경의 보전관리는 당면한 과제로 되고 있다.

  • PDF

Pro-environmental Solar-cell Power Source and Electro-luminescent Tape illumination for Cave Management (동굴관리를 위한 친환경 쏠라-셀 전원장치와 면광원 전자발광테이프 동굴조명)

  • Soh, Dae-Wha;Byun, Kil-Ho;Han, Sang-Yup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4
    • /
    • pp.13-26
    • /
    • 2004
  • In this paper, it was studied to investigate and apply the optimal method for well-management of cave with use of solar-cell power source and electro-luminescent tape of illuminating equipment of flat light - lamp for build up the pro-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of the long way cave on the mountain or the others.

Organization of KSS Jeju-district for CMIS Construction (CMIS 구축을 위한 제주지역 조직 구성)

  • Soh, Dea-Wha;Bae, Doo-An;Kim, Yong-Chul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2
    • /
    • pp.75-79
    • /
    • 2006
  • 학회 조직의 구성과 운영에서 민주적이고 자율적 방식을 선택하고 있음은 물론이며, 조직의모체로써 본부를 두고 필요에 따라서 국내외 지역에 지부 또는 지회를 두어 설립목적의 학술활동을 수행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동굴의 지역적 분포 특성과 동굴마다의 고유한 특징을 고려할 때, 동굴학회의 특성상 각 지역 지부의 필요성은 절대적이라고 하여도 지나침이 없으며, 따라서 이에 대하여 우리 학회가 추구하는 동굴의 효율적 관리와 보존 방안으로 동굴관리정보시스템(CMIS) 구축을 위한 노력 경주와 그 기반형성의 지역 조직구성을 공고히 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세계적인 화산동굴 유산을 지니고 있는 제주지역 조직구성이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강조하며, 그 추진을 희망하여 요청한다.

Organization of KSS Kyounggi-district for CMIS Construction (CMIS 구축을 위한 경기지역 조직 구성)

  • Soh, Dea-Wha;Shin, Dae-Bong;Kim, Wha-Bok;Song, Moo-Heo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2
    • /
    • pp.59-63
    • /
    • 2006
  • 학회 조직의 구성과 운영에서 민주적이고 자율적 방식을 선택하고 있음은 물론이며 조직의 모체로써 본부를 두고 필요에 따라서 국내외 지역에 지부 또는 지회를 두어 설립목적의 학술활동을 수행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동굴의 지역적 분포 특성과 동굴마다의 고유한 특징을 고려할 때, 동굴학회의 특성상 각 지역 지부의 필요성은 절대적이라고 하여도 지나침이 없으며, 따라서 이에 대하여 우리 학회가 추구하는 동굴의 효율적 관리와 보존 방안으로 동굴관리정보시스템(CMIS) 구축을 위한 노력 경주와 그 기반형성의 지역 조직구성을 공고히 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중의 하나이므로, 먼저 경기지역 조직구성이 선봉에서 이루어지도록 강조하며, 그 추진을 희망하여 요청한다.

Development of Efficient System for Reserved Seat Control (지정석관리를 위한 효율적 시스템 개발)

  • Oh, Hyun-Sik;Hyun, Jeong-Min;Jeong, Jin-Seung;Lee, Hak-In;Soh, Gyu-Young;Soh, Dea-Wha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7
    • /
    • pp.53-58
    • /
    • 2007
  • From the computer or the library the use of the place about lower the case which gives a damage to the different person occurs with four three anger backs. It became from the hazard which manages the library place efficiently it used the AVR and a RF communication to make a system.

A design of Non-smoking Area Control System (금연구역관리 시스템 개발)

  • Kim, Seong-Gon;Kim, Seung-Yon;Ahn, Yun-Seok;Lee, Ki-Hong;Jeong, In-Kyoung;Soh, Dea-Wha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7
    • /
    • pp.1-7
    • /
    • 2007
  • Nowaday, prohibition of smoking is getting more important issue. So we designed "non-smoking area control system". This system is organized with AVR(ATmega8535), smoke sensor, comparator(LM339) and etc. In non-smoking condition sensor's output voltage is about 5V, and in smoking condition sensor's output voltage is under 5V. So we used comparator(LM339) to devide two conditions. In both conditions AVR(ATmega8535) transmits datas to the computer of administrator. At this time method of communication is RS-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