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돌출 구조물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ine Structural Study of Pollen Wall Development at Late Stage of Microsporogenesis in Panax ginseng (인삼의 화분벽 발달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 Jeong, Byung-Kap
    • Applied Microscopy
    • /
    • v.35 no.4
    • /
    • pp.74-83
    • /
    • 2005
  • The ontogeny of pollen wall in Panax ginseng was studied with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rom early tetrad stage until pollen maturity. Initial indication of exine development is undulation of plasma membrane for the preparation of bacular mound. The first recognizable structure of the pollen wall is the cellulosic primexine which is formed outside of the plasma membrane while microspore tetrads are still surrounded by callose wall. As development proceeds, foot-layer and baculum differentiation, callose dissolution and exine formation were progressed. During this process, sporopollenin is deposited into the exine, and then endexine development was followed. The intine, innermost pollen wall layer, is developing form hypertrophic Golgi vesicles. The thickness of exine is very even on all along the pollen wall, but intine thickness of apertural region is thicker than that of nonapertural region. Mature pollen of ginseng is $20{\mu}m$ in size, tricolpate and shows fine reticulate sculpturing.

Examination of Allowable Displacement by Structural Analysis of IPM Bridge (토압분리형 교량의 구조해석을 통한 허용 변위량 검토)

  • Kim, Hong-Bae;Han, Heui-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4
    • /
    • pp.534-544
    • /
    • 2019
  • Because the pile-bent of IPM Bridge is projected from the soil surface, excessive displacement of abutment can be induced. According to design guide of IPM Bridge, the shape of the bridges us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maximum applicable 120.0m span, 30-degree for skew angle, and 10.0m for the protruded pile-bent height. The maximum displacement by the maximum span application condition of the IPM Bridge was calculated using this bridge model, and the safety of a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IPM Bridge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allowable displacement presented by Bozozuk.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IPM Bridge was calculated to be larger in the winter shrinkage condition than in the summer expansion condition,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were more affected by the length of a bridge than by the skew angle.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was not affected by the skew angle and length. As the span increases,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creases significantl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t 120.0m span length was found to exceed the allowable displacement proposed by Bozozuk. However, the moment generated in the pile-bent did not exceed the plastic moment.

Ultrastrutures of Some Selected Digestive Organs of Two Korean Freshwater Snails (한국산 담수 복족류 2종의 소화기관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 정계헌;이훈섭;박종안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9 no.1
    • /
    • pp.1-16
    • /
    • 1993
  • 한국의 담수에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으면서 역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두 종의 복족류 즉 쇠우렁이(Parafossarulus manchouricus)와 물달팽이(Radix auricularia coreana)의 소화기관 중에서 식도, 소화선 및 장에 대한 미세구조 관찰을 시도하였다. 이 부위들은 간흡충(간디스토마)과간질(소간디스토마)의 유생들이 그들의 생활사 중 거쳐가는 곳으로 알려진 소화관들이어서 이후 흡충류의 유충들이 위의 소화관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된 것이었다. 관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식도의 상피조직은 두 종류에서 공히 원주세포와 원주섬모세포 및 점액분비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식도강상피 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흡수와 소화가 이루어 지고 있음은 특이한 현상이라 하겠다. 소화선은 두 종에서 공히 복분지 관상선으로서 그 상피는 micovilli를 선강 또는 도관에 연한 유리표면에 가지고 있어 brush boredr을 이루고 있는 원주세포과 원주섬모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세포들의 내부 구조로 보아 소화세포와 배석세포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장의 상피는 원주세포와 원주섬모세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도 장강에 연한 유리표면에는 brush border를 이루고 있었다. 흡수와 분비기능이 활발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관찰한 두 복족류의 소화관은 모든 부위에서 세포의 유리표면에 microvilli를 가지고 있어 물질의 흡수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었고, 이들 세포 중에는 때로 밀집한 cilia를 가지고 있어 소화관 내의 액체물질이나 이에 내포된 미세입자들의 유동을 도와주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근육질의 두꺼운 벽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강은 돌출부위에 의해 4부분으로 갈라져 있었다. 내강에 연한 상피는 원주세포로 되어 있었다. 상음경(epiphallus)의 벽은 근섬유 다발은 벽의 외곽으로 갈수록 밀도가 높아졌다. 상부에 내강과 연결되는 함입구조(groove)를 가지며, 내강에 연한 상피는 섬모가 없는 원주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음경(penis)은 근섬유가 산재된 두꺼운 벽을 가졌으며 상음경보다 굵은 원통형이었다. 내강은 많은 돌출부에 의해 복잡하게 나뉘어 있으며 상피세포는 원주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섬모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강 내의 분비물과 세포의 형태로 보아 내강상피세포는 분비기능을 가진 것으로 사료된다.술적 문제가 적절히 해결되는 경우 비활성 가스 제너레이터는 민수용으로는 대형 빌딩, 산림, 유조선 등의 화재에 매우 적절히 사용되어 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군사작전 중 및 공군 기지의 화재 그리고 지하벙커에 설치되어 있는 고급 첨단 군사 장비 등의 화재 뿐 아니라 대간첩작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가 작으며, 본 연소관에 충전된 RDX/AP계 추진제의 경우 추진제의 습기투과에 의한 추진제 물성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7%), 혈액투석, 식도부분절제술 및 위루술·위회장문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각 1례(2.9%)씩이었다. 13) 심각한 합병증은 9례(26.5%)에서 보였는데 그중 식도협착증이 6례(17.6%), 급성신부전증 1례(2.9%), 종격동기흉과 폐염이 병발한 경우와 폐염이 각

  • PDF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연안어선 개발에 관한 연구

  • 고재용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17
    • /
    • pp.24-43
    • /
    • 2005
  • 최근 우리나라 어선어업은 한중일 어업협정, 연안 어업자원 감소 및 연안오염 등 사회적, 환경적 변화가 급변하고 있어 이들을 고려한 어선 선형개발이 필요로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어선 중 연안지역에서 조업하는 5톤 미만의 소형어선은 전체 어선 중 $65\%$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선박의 크기가 작고 부가가치가 낮은 관계로 지금까지 전문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한편, 서$\cdot$남해 연안에서 작업 및 항해하는 연안어선들의 해양사고 발생율은 전체사고의 $69.6\%$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체 어선 안전사고 중 부유폐어망, 로프 등이 추진기에 감긴 사고는 전체 사고의 $10.4\%$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추진기 손상에 의한 어선 사고와 연관하여 추진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물분사 추진기(Water-Jet), 펌프제트(Pump-Jet)장치들이 있으나 이들은 고가 수입품으로서 영세한 어민들의 소형어선에 장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폐그물, 로프 등 해상 부유물에 의한 추진기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추진장치를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펠러 부착 추진장치는 기존 선미를 수정하여 추진기를 선체 안쪽으로 배치하며 돌출되는 부분은 덕트로 보호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진기는 워터제트 추진기와는 달리 가격이 싸고 그물이나 부유물에 걸리지 않고 고장 시 신속한 대응이 쉬워 소형 연안어선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그물, 부유물, 갯벌이 많은 국내의 서$\cdot$남해 연안에서 작업 및 항해 시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연안어선의 선형개발`을 최종목표로 수행하였으며, 연구개발 내용은 기존 소형 연안어선의 분류 및 특성 조사 연구, 프로펠러 보호터널형 선미 선형 개발, 기존 선형 및 보호터널형 선형의 모형시험, 개발선의 구조강도 특성, 프로펠러 설계 및 단독시험, 보호터널 부착 추진기의 효율 검증 및 개발 대상 어선의 조선공학적 제 계산, 설계도작성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요소 기술로서는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선형의 모형시험을 통하여 선미선형을 개발하며 FRP판부재의 구조강도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4톤급 연안어선의 시제선을 건조하고 시운전을 통하여 주요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ype of Tunnel Entrance and Exit (고속도로 터널 입·출구부 유형과 주변 환경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에 관한 연구)

  • Lee, Sang-Cheol;Choi, Song-Hyun;Kim, Dong-Pil;Song, Jae-Tak;Oh, Hy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6
    • /
    • pp.161-17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evaluate and grade the existing highway tunnels to increase landscape and natural statistics keeping the structural safety about tunnel gates area and induce the ones that will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by drawing the improvements and restoring the techniques as an environment-friendly. To examine the types of tunnel gate area, total 54 tunnels were investigated by selecting Gyeongbu Expressway, Yeongdong Expressway, and Jungang Expressway. Tunnel entrances and exit ports were classified as a Wall-closed type and Protruding type, which is based on tunnel gate type. Vegetation Landscape types were classified as Multilayer-Same as the surrounding landscape_(MS), Multilayer-Difference of surrounding landscape_(MD), Single layer-Same as the surrounding landscape_(SS), Single layer-Difference of surrounding landscape_(SD), and a Desolate type which based on vegetation layers and environment-friendly.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was identified based on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revegetation potential of the tunnel. The factors includ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lope height and slope gradient were selected. Revegetation potential was identified as a growth potential. This factor was used in the step to classify vegetation recovery potential of a tunnel. The result, which investigated the types of tunnel entrances and exit parts has found that the most typical in 33 places was a Wall closed type with 61.1% of the total ones. The case of vegetation landscape types was created but different from the ones surrounding it with 85.2% of the total ones. It is judged that the currently constructed vegetation of tunnel entrance and exit parts had put convenience on the safety and management before landscape consideration. In addition, tunnel entrance and exit parts with excellent potential for vegetation recovery were all Protruding type.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slope stability can easily obtain growth. Therefore, entrance and exist of the highway tunnels, which will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should reflect location and the result of the natural and ecological survey in design by performing it in advance and their types, which minimize the damage area range, should be applied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suitably. In addition, the ecologically healthy tunnel construction should be done by introducing active vegetation recovery techniques based on its safety.

Surface roughness crushing effect on shear behavior using PFC (PFC를 이용한 평면 파쇄가 전단 거동에 미치는 효과)

  • Kim, Eun-Kyung;Jeong, Da-Woon;Lee, Seok-W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4 no.4
    • /
    • pp.321-336
    • /
    • 2012
  • The shear behavior at the particle/surface interface such as rock joint can determine the mechanical behavior of whole structure. Therefore,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governing its behavior and accurately estimation of the interface strength is essential. In this paper, PFC, a numerical analysis program of discre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urface roughness crushing on interface strength. The surface roughness was characterized by smooth, intermediate, and rough surface, respectively. Particle shape was classified into one ball model of circular shape and 3 ball model of triangular shape. The surface shape was modelled by wall model of non-crushing surface and ball model of crushing surface.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bonding strength of ball model decreases, lower interface strength is induced. After the surface roughness crushing was occurred, the interface strength tended to converge and higher bonding strength induced lower surface roughness crushing. Higher friction angle was induced in wall model and higher surface roughness induced the higher friction angle. From these findings, it is verified that the surface roughness and surface roughness crushing effect on the particle/surface interface shear behavior.

Support-generation Method Using the 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for DLP 3D Printer (DLP 3D 프린터를 위한 형태학적 영상처리를 이용한 서포터 생성 방법)

  • Lee, Seung-Mok;Kim, Young-Hyung;Eem, Jae-Kw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5 no.12
    • /
    • pp.165-171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support-generation using 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instead of geometric calculations. The geometric computational cost is dependent on the shape, but our method is independent on the shape. For obtaining the external support area for extrusion shape, we represents morphological operations between two sliced layer images and shows results of each operation stages. Internal support area is evaluated from erosion and opening operations with the sliced-layer image. In these support areas, the supporter image is generated using the designed support structures. Also, we made a DLP printer and the STL model included supporter-structure is printed by the DLP printer. We confirmed the necessity of support-generation method with the support structures individually dependent on materials by looking at the printed results.

Design Methodology on Steel-type Breakwater II. Pile Design Procedure (철재형 이안제 설계기법 연구 II. 하부기초 설계 단계)

  • Kwon, Oh-Kyun;Oh, Se-Boong;Kweon, Hyuck-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219-228
    • /
    • 2011
  • In this paper, the design procedure of substructure of the steel-type breakwater was described and the actual foundation design was performed for the test bed. The site investigation was executed at the Osan-port area, in Uljin, Gyeongbuk, where the steeltype detached breakwater is constructed. The foundation mainly depends on the lateral load and uplift force due to the wave force. Since the superstructure is stuck out about 9.0m from the ocean bed, the foundation must resist on the lateral force and bending moment. After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e foundation type of this structure was determined by the steel pipe pile(${\varphi}711{\times}t12mm$). On the stability of pile foundation, the safety factors of the pile on the compressive, lateral and uplift forces were grater than the minimum factor of safety. The displacements of pile under the working load were evaluated as the values below the permissible ones. Based on the subgrade reaction method,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of subgrade reaction and displacement for the lateral and the vertical directions in the layers. The structural analyses along with the foundation were perfomed and the effect of pile foundations were compared quantitatively.

The Effect of Obstacles in a Compartment on Personnel Injury Caused by Blast (격실 내 장애물이 폭압에 의한 인원 피해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J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6 no.3
    • /
    • pp.1-11
    • /
    • 2017
  • Blast injuries in a compartment are investigated, and the effects of obstacles on blast injury are particularly analyzed by comparing injuries in the compartments with or without protruding obstacles inside. Even if blast pressure profile tends to be complicated in a confined space unlike in open field, it can be obtain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by using some empirical fast running models for simple confined spaces. However, a finite element method should be employed to obtain blast pressure profiles in a case with obstacles in confined spaces, because the obstacles heavily disturb blast waves. On the other hand, Axelsson SDOF(Single degree of freedom) model and ASII(Adjusted severity of injury index) injury level are employed to estimate blast injury in compartments, because the usual pressure-impulse injury criterion based on the ideal Friedlander waves in open the field cannot be applied to personnel in a confined space due to complexity of blast waves inside. In cases with obstacles, chest wall velocity was reduced by 26 to 76 percent(%) and the personnel injury in the compartment caused by blast was also reduced.

Stability Test of Riprap Based Flexible Revetment Method by Real-scale Hydraulic Experiment (사석기반 연성호안공법의 실규모 수리 안정성 실험)

  • Kim, Sung Jung;Kim, My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50-250
    • /
    • 2022
  • 호안은 유수로부터 제방과 하안을 보호하는 구조물로 태풍 또는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로부터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호안공법은 강성호안과 연성호안으로 구분되는데 호안재료로써의 기준과 설치 및 유지상태 기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는 호안공법의 재료의 연결성에 따라 강성호안과 연성호안을 구분짓는다고 언급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석재를 사용하고 재료와 기반재의 체결을 통해 연결성을 확보하고 굴요성을 갖게 하는 연성호안공법에 대해 실규모 실험을 계획하였다. 수리 안정성 검토를 위한 실규모 실험은 안동 하천실험센터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로는 8°의 경사를 갖는 급경사수로에서 수행하였으며, 수로의 제원은 폭 3m, 길이 30m 의 직사각형 형태의 직선수로로 이루어져 있다. 시험체는 실규모로 제작되며 실험수로 내 2m × 10m 의 제원을 갖는 공간에 제작된 호안공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실험수로에 설치하였다. 수리 안정성 실험은 실험대상유량을 단계별로 나누어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시험체의 이탈, 파괴 등의 큰 변화가 발생(미국 재료시험학회 연결형 콘크리트 블록 시험방법, ASTM D 7277)하였을 경우 실험을 종료하도록 계획하였다. 수리량 측정항목은 유속, 수위 등이 있으며, 호안공 의 물리적 변화는 3D스캐너를 이용하여 설치 전·후 변위를 검토하였다. 총 3회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조건에 따라 일부 시험체에서 돌출 또는 침하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으나 호안의 손상이나 이탈, 연성기반재의 찢어짐 등 안정정을 저해하는 호안공 시험체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결과 실험수로에서 발생가능한 최대유량인 4.6cms 조건에서 본 호안공법은 약 337.7N/m2 의 소류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