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돌보는 가족원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가 가족의 생활시간에 미친 영향: 삼중차이 방법의 적용 (The Effects of the Expansion of Formal Hom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n Time Allocation of Family in Korea)

  • 이승호;변금선;신유미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227-256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가 노인을 돌보는 가족 구성원의 생활시간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고령화와 가족구조의 변화 등으로 노인에 대한 가족의 돌봄부담이 가중되면서 공적 노인돌봄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2000년대 이후부터 관련 제도가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노인돌봄 부담을 구성원이 직접 노인을 돌보는 부분과 이로 인해 노동이나 가사, 여가 등의 다른 주요 생활에 제약을 받는 부분으로 구분하고,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로 이러한 부담이 감소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생활시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도 확대의 효과는 건강이 취약한 노인을 돌보는 중하위 소득수준의 가구를 처치집단으로 삼아서 비교적 건강한 노인을 돌보는 가구 및 고소득 가구와의 비교를 통해 제도 효과를 추정하는 삼중차이(DDD)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 구성원의 노인돌봄 시간을 감소시켰다. 이는 제도 확대의 목적과 부합하는 결과이지만, 돌봄 시간의 감소 정도가 크지 않았고, 여성 가구원에게만 그러한 효과가 관측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도 드러났다. 또한 노인돌봄 시간이 감소한 여성 가구원의 경우에도, 가사, 노동, 여가, 비노인돌봄 및 개인유지 등의 다른 생활시간 범주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가족의 노인돌봄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공적돌봄의 대체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해 보인다.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Stres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of Home-stay Cancer Patient in a Comminity)

  • 김분한;김태수;김의숙;정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2호
    • /
    • pp.144-151
    • /
    • 2000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재가 암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위하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정도와 이들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사회의 22개동 전역에 걸쳐 거주하는 암환자 가족 중 암환자를 주로 돌보는 사람이었으며, 대상자의 특성과 제변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과 전화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FSS-PC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 및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검정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지지망이 평균 3.24로 간호사 지지(평균 3.03)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3.52로 측정변수들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신체적 불편감)은 평균 2.98로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정도는 평균 2.34로 측정변수들 중 가장 낮아 보통정도 이하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나이가 많을수록 건강문제 경험 정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건강문제 경험 정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환자 가족원들의 가족지지망 정도가 높을수록 간호사지지 정도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높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삶의 질 정도가 낮았다. 그러므로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를 돌보면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스트레스를 덜 인지할 수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PDF

암환자 가족원의 건강정보이해력과 사회적 지지가 돌봄부담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Caregiver Reaction among Family Caregivers for Persons with Cancer)

  • 박상언;김희진;김점남;박혜정;길초롱;이지연;장희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291-304
    • /
    • 2019
  •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이 인식하는 암 관련 건강정보이해력과 사회적 지지가 돌봄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경상남도 J시 G대학교병원에 입원했거나 외래 방문한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 13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8년 7월 17일부터 11월 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후 SPSS/WIN 23.0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이 환자의 배우자이면서(${\beta}=.252$, p=.002) 주관적 건강상태(${\beta}=-.207$ p=.012)와 자가간호 건강정보이해력이 낮을수록(${\beta}=-.411$, p<.001), 환자의 요구도와 선호도(${\beta}=.268$, p=.042) 및 의료인과의 적극적 관계에 대한 건강정보이해력(${\beta}=.247$, p=.037)이 높을수록 돌봄부담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37.9%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5.922, p<.001). 본 연구를 통해 암환자 가족의 돌봄부담에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정보이해력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암환자 가족원의 돌봄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들의 건강정보이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개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가족돌봄 제공자의 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mily Care Providers'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centered on grandparents caring for grandchildren-)

  • 임안나;박영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97-103
    • /
    • 2024
  • 본 연구는 손자녀를 대상으로 가족돌봄을 제공하는 조부모의 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 8차 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본의 영향력이 20.1%로 나타났다. 조부모의 자본 중 가계 총소득과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손자녀에게 가족돌봄을 제공하는 조부모의 가계 총소득이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돌봄시간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손자녀를 돌보는 시간이 길수록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가능성이 증가하는 요즘에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 요인을 시사하며, 가계 총소득, 건강상태와 돌봄시간이 주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입원 노인을 돌보는 가족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ess on the Family Caregivers for the Hospitalized Elderly)

  • 김강미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47-258
    • /
    • 1996
  • This study explored the variables to influence the stress of the family caregivers providing care for the hospitalized elderl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4 family caregivers selected from the caregivers in the in patient departments of two major medical centers in Jeonju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8th to 27th, 1995 using a Liker Scale Questionaire and interview. Data analyses include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 and F-test. Results were following : 1. The mean of this sample is 21.48, and the standard deviation is ${\pm}5.64$ in the perceived stress. The major variables to influence on the stress of caregivere for the hospitalized elderly were the stay (16-24hrs/day) in hospital(F=7.99, p=0.006), no other helpers(t=-2.56, P=.012), percieving severely on illness(F=3.90, P=.0232) perceiving moderately on physical health status(F=6.20, P=.0029). 2. Regarding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the family caregivers, the higher support the group perceived the lower stress(F=3.54, P=.0326).

  • PDF

정신질환자 가족의 오명 (Stigma of Families with Mental Illnesses Patients)

  • 배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13-22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오명 체험을 파악하고 기술하여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정신질환자 가족으로 부모3명, 자녀1명, 형제1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6월부터 2010년 10월 까지였고,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과 참여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Giorgi가 제안한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원 자료에서 발췌된 의미기술은 217개였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추상적이고 통합적인 언어로 묶어 26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여기서 다시 7개의 중심의미를 도출하였다. 7개의 중심의미는 정신질환자 가족의 오명은 "적절하지 못한 대처, 주변인과의 관계상실, 드러낼 수 없는 자신, 주변간의 갈등, 감당할 수 없는 연민, 자신의 무능력, 자신의 책임전가"이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에 대한 오명을 파악함으로써 사회에서 분리되어야 하는 이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효율적 간호중재 개발에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공한다.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소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Ways of Coping and Burnout of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 홍민주;태영숙;노미영
    • 종양간호연구
    • /
    • 제12권1호
    • /
    • pp.92-99
    • /
    • 2012
  • Purpose: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ways of coping and burnout among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207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at one university hospital and one general hospital in Busan, Korea. The instruments included a Stress Scale, a Ways of Coping Scale and a Burnou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PSS WIN 19.0 program. Results: Stres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ge, relation to the patient, education, monthly income, degree of care-giving, financial burde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 In active cop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and religion. Passive cop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In burno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relation to the patient, education, occupational status, monthly income, degree of care-giving, financial burde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 Stress and burnou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active coping.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moting active coping would better support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in managing burnout effectively.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 및 역할 스트레스 (Health Promotion Behavior, Self-Efficacy and the Rol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Who Care for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 장혜숙;이정란;이명실;윤연선;김영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02-41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ealth promotion behavior, self-efficacy and rol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who care for hospitalized cancer patient, The results would be used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for promoting healthy behavior of the family caregivers to the cancer pat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The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care givers religion and type of help from family member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r ag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ime cared for. 2) The level of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and if the subject was employe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intimacy with patient. 3) The level of role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s and relationships with patients. 4)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 PDF

뇌혈관질환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신체증상과 스트레스 (Actual Physical Symptom and Stress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 김희승;박현애;오미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95-704
    • /
    • 1998
  • This study aims for examines the actual physical symptom and stress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condu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1997 which included 65 caregivers of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in 4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e caregiver's stress was measured by Choi (1992)'s instrument and the actual physical symptoms were investiga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number of caregiver's physical symptom was 3.5.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physical symptom in women, those of who have a religious affiliation, those of who perceive their own health status perceived as bad, and those of who perceived their patients disease condition as serious than in their counterparts. Also, the number of caregiver's physical sympto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regivers whose patients have a paralysis sypmtom and the disease onset as accident than in caregivers whose patients have no paralysis symptom and the disease onset as spontaneous. 2. The average of caregiver's stress was 57.9. The caregiver's stress was the highest in between the ages of 50 and 59. There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tress in women, those of who perceived the disease condition of their patients as serious than in their counterparts. 3. The most common caregiver's physical symptom was fatigue(87.7%). This was followed by insomnia(58.5%) and muscle pain(47.7%). 4. Caregiver's physical sypmto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er's str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s activity of daily life. 5. The most important vairable affecting the caregiver's physical symtom was patient's activity of daily life which accounted for 12.7% of the total variance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important vairable affecting the caregiver's stress was the patient disease condition perceived by the caregiver that accounted for 12.1% of the total vari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