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돌공사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도로교량 지지대 저판의 안전도

  • 조윤행;배승하;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13-217
    • /
    • 2003
  • 고가도로 또는 돌로 교량공사는 중요하고 또 소요에 따라 건설공사가 전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들 공사과정에서 발생되는 사고들이 있고 잠재위험성은 상존하고 있다. 상기 원인들에는 상부 콘크리트 스라브판 거푸집 지지대의 시스템, 지지대보강법, 지지대의 기초판, 기초판 저면의 토질상태, 그 위에 보조로 타설버림 콘크리트의 신뢰도 등을 들 수 있겠다.(중략)

  • PDF

A field-replace case for the cutoff of water on a seawall (방조제 차수를 위한 현장대체공법 사례)

  • Kim, Jo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81-182
    • /
    • 2016
  • 방조제 차수공사를 실시하는 현장 지반의 하부에 철재이물질과 돌망태 와이어 등이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상황에서 강널말뚝(sheet pile)을 풍화대까지 항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상부는 철재이물질(돌망태 등)이 없는 심도까지 T-4 및 Vibro Hammer 에 의한 강널말뚝(sheet pile)을 이용하여 차수하고, 철재이물질과 돌망태 와이어 등이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하부 풍화대까지는 그라우팅에 의한 차수를 시도하는 현장차수방법을 시공하여 성공적으로 차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storage performance of gabion weir for the supply of raw water for artificial recharge (대수층함양 원수공급을 위한 돌망태 취수보의 저류성능)

  • Han, Il yeong;Lee, Jae joung;Kim, Gyoo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26
    • /
    • 2020
  • 하천수의 수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취수보 대신 강자갈이나 쇄석을 채움재로 하는 돌망태를 사용하게 되면 토사퇴적으로 인한 건천화나 상, 하류 수생태계 단절과 같은 문제를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갈접촉산화작용에 의한 수질개선과 공사비 절감 효과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돌망태는 투수성이므로 불투수성인 콘크리트 보다 저류측면에서 불리하다. 콘크리트 취수보에서의 흐름은 보 정점의 형상, 보의 폭, 높이, 그리고 월류수심에 좌우되며, 베르누이 방정식과 연속방정식에 의해 방류량 산정식을 유도하고, 유량계수와 같은 실험상수를 결정하여 방류량을 계산한다. 돌망태 취수보의 흐름은 보의 높이, 보의 길이, 보의 상류수심 외에 채움재의 형상, 입경, 배치상태가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콘크리트 취수보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방류량 산정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돌망태 보의 통과류는 실험상수가 포함된 비선형 수두손실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험상수는 비표면적의 크기를 의미하는 채움재의 평균동수반경와 관계되며, 평균동수반경은 채움재 입자의 형상으로 부터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을 통하여 채움재 입자의 형상과 크기에 따른 실험상수와 평균동수반경의 관계를 구하면 비선형 수두손실방정식으로부터 통과류의 방류량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돌망태 취수보가 대수층함양 원수 공급시설물로서 타당한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 취수보의 월류량 계산은 기존의 방류량 산정식을 이용하였으며, 돌망태 취수보는 실험상수와 평균동수반경의 기존관계식을 이용하여 통과류의 방류량을 계산하였다. 이와 같이 계산된 각각의 수심-방류량 관계로 부터 수심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유량조건에서 돌망태 취수보의 상류수심은 콘크리트 취수보보다 작게 계산되었다. 상류수심은 돌망태 채움재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증가하여, 돌망태 취수보는 채움재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저류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돌망태 취수보는 채움재의 입경이 작을수록 콘크리트 취수보의 저류수준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ssessment Manual for Optimization of Structural Scale of Stone and Gabion at the Final Closure of Sea Dike -II. Application at the actual site- (방조제 체절시 사석 및 돌망태의 적정규모 산정을 위한 매뉴얼 개발 -II. 현장적용-)

  • Song, Hyun-Gu;Kim, Jong-Kyu;Hwang, In-C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2
    • /
    • pp.145-153
    • /
    • 2009
  • This research utilized the manual to calculate the structural scale of stone and gabion, which was developed through comparison and verification of the results drawn by hydraulic model experiment and existing empirical formula. Appropriate structural scale of ston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when the critical velocity was exceeded, utilizing the previously expected and recorded data on current velocity per day and per hour during the final closure period for Saemangeum sea dike. Also, the scale of rocks was presented, considering the altercation in water depth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he developed manual offered appropriate rate of mixed use of stone and gabion that suits various flow velocities, which will minimize any loss of stone-gabion and contribute to successful final closure, and proved the utility and application of the manual.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Types for the Management of River Project (하천사업 공사관리를 위한 공종 표준화 방안 연구)

  • Jang, Chorok;Jang, Moon Yup;Song, Juil;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6-486
    • /
    • 2021
  • 국가에서는 수해예방 및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하천사업을 수행한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하천정비 및 재해복구사업 등을 추진 중에 있으나, 체계적인 공사관리와 산출물의 전산화를 위한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 현재 건설사업정보시스템(건설CALS)을 통해 하천공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총 공사비, 참여업체 등 기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공정관리 및 예산정보에 관한 상세한 내역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은 부재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우선적으로 하천사업 공종 표준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을 통해 건설공사의 공종을 확인할 수 있으나 '제2장 하천공사' 내에는 사석, 돌망태, 하천호안공에 관한 정보만을 담고 있다. 하천공사 공종 표준화를 진행하게 될 경우 공종별 공사 세부정보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지며, 현재 하천을 관리 중인 국토교통부, 지방국토관리청 및 지자체 등 하천사업을 수행 중인 기관의 시스템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하천사업 공종표준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 도로대장 전산화 입력지침 등기 수립된 지침 및 기준을 통해 건설토목공사 시의 공종을 조사·분석한 후, 하천공사 준공보고서 및 감리보고서 등 공사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공사에 주로 수행되는 공사들에 관한 종류를 도출하였다. 이후 건설토목공사 공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하천공사에서 주로 수행되는 공종을 도출·표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하천사업 공종의 경우 향후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며, 하천공사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Principles of Stone Elevation Formation for Walls and Wells in the Silla Dynasty from 5th to 7th Centuries (5~7세기 신라시대 성곽과 우물에 대한 석축입면조형원리)

  • Kang, Seong-Bin;Seo, Seong-Hyeok;Jung, Tae-Y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1
    • /
    • pp.47-55
    • /
    • 2023
  •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size, proportion, shape, angle, distribution, etc. of stones in order to identify the principles of facade molding of stonework of the 5th to 7th centuries of the Silla Dynasty. First, the uniformity of the size of the stones of the stone foundations of the Silla Dynasty was low at -0.8 to 4.1. This means that stones of various sizes were used, from small stones to large ston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large stones in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appeared evenly regardless of height. This was common in the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regardless of structural classification such as wells and mountain fortresses. It is thought that the Silla people did not only pursue practicality and efficiency in stone construction, but also considered design elements. Second, the proportional deviation of the stones of the stone walls of the Silla Dynasty was high, ranging from 0.861 to 1.515. This means that the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did not use only long flagstone-shaped stones, but used a mixture of long and short stones. Third, the shape average of the stones of the stonework of the Silla Dynasty was low at 0.45, and the shape deviation was high at the maximum of 0.15. This means that the stones as a whole have irregular shapes, and each stone has a high difference in shape. Fourth, the angle deviation of the stones of the Silla Dynasty was 4.3 to 16.2, and the average angle was 2. This means that the angle of each stone on the stone axis of the Silla Dynasty is tilted to the left and right. Fifth,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tone size, slenderness ratio, shape, and angle in the stone axes of the Silla Dynasty. In the case of stone axes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one size and slendern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one size and shape. It can be said that the ston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relatively standardized, but the Silla Dynasty showed the beauty of moderation by keeping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becoming one with the material.

Practical Use of Environmental(Green) Fabric Form (환경친화형 Fabric Form의 시공사레)

  • 송재헌;최영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67-78
    • /
    • 2001
  • 지금까지의 하천 사면보호공법은 돌망태, 사석, 호안블럭(Con'c Block), 재래형 섬유대공(Ordinary Fabric Form) 등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들 공법은 자연재료인 돌이나 사석 등이 이미 고갈되어 취득이 매우 어렵고, 콘크리트 제품은 인공구조물 일색의 보호공으로서 자연환경에 어울리지 않거나 인력을 이용한 고가의 공사비가 요구되므로 이를 개량하여 본 환경친화형 섬유대공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공법은 홍수나 수해로부터 토사제방의 침식 및 세굴방지는 물론 중간에 자연환경 적인 잔디나 조경식재를 하여 환경친화적 호안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서 침식방지와 환경친화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공법이다.

  • PDF

The Study on Component Analysis of Dust in Stone Works (석재가공 분진의 성분분석 연구)

  • Lim, Nam-Gi;Jung, Yo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1.05a
    • /
    • pp.219-220
    • /
    • 2021
  • As the area where stone is used in buildings increases, the amount of stone processing increases, and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ing process is increasing, but interest in this is insignifica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ust generated in the dry process, the proportion of SiO2 is about 70%, so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risk of pneumoconiosis caused by breathing.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urgent to collect it at the source to prevent damage to worker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 PDF

The Study on Dust, Noise, Vibration Characteristic by Using the Bottom Expansion Hole Method (저면확대면 홀 공법을 적용한 석재가공의 분진, 소음, 진동 특성 연구)

  • Lim, Nam-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1.05a
    • /
    • pp.65-66
    • /
    • 2021
  • Due to the inexperience of stone work and field workmanship, and the preference of simple construction, various problems such as unauthorized cutting of the touch and epoxy bonding are occurring. Therefore, the existing T-type hole construction method was developed to fundamentally control these attempts.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control panel method, vibration and noise were reduced by 2dB and 10dB, indicating an excellent effect. Particularly, dust was about 1/102~1/61 in individual values, and the average value was 1/80 (12.5%).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expected to be great.

  • PDF

한국의 간척 기술

  • 윤오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0a
    • /
    • pp.46-68
    • /
    • 1995
  • 근 반세기 동안에 세계에서 간척 사업이 가장 활발하였던 곳은 화란의 북해안과 우리 나라의 서남해안이다. 이는 한반도의 서해안을 말하는 것으로 북한까지 포함된 것을 말한다. 그간 우리 나라는 간척 사업에 의해 농지의 외연적인 확대로 쌀의 지급율을 높이는 데 일익을 담당한 것도 사실이다 우리 나라의 서해안은 간만의 차가 커서 \circled1간척지가 잘 발달되어 간척 적지가 많고, \circled2지구 내의 배수 방식이 외국에서처럼 기계 배수가 아니고 자연 배수가 가능하여 유지 관리비가 적게 든다. 그러나 \circled3 방조제. 축조시 불가피하게 강력한 조류속이 발생하지만 이에 견별 수 있는 자연 석재를 비롯하여 축제 재료의 구득이 용이하고, 돌망태 공법을 개발하여 공사가 용이하고 공사비도 저렴하다. 또한 태풍이나 해일에 의해 해면이 상승하는 기상조도 일본이나 화란의 3.5m인데 비해 우리 나라는 1.5m정도로 이들 나라에 비하여 같은 조건에서도 둑마루 높이가 2.0m정도가 낮아져 공사비도 저렴하고 외측 피복공 공사도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서남 해안의 해안선은 굴곡이 심하고 연안에는 섬들이 산재하여 있어, 매립 면적당 방조제의 길이가 짧고, 공사의 단계별 추진이 용이하다. 간석지의 토질도 비교적 단단하여 방조제의 축조나 토지 이용에 적합하는 등, 자연적인 간척 여건은 세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천혜의 입지 조건을갖추고 있다. 그동안 우리 나라의 간척 기술은 8 . 15 광복 이후, 소규모 간척 사업을 시행하다가 60년대에 이르러 국가 경제 개발의 일환으로 추진된 동진강 간척사업을 필두로, 70년대에는 남양, 아산, 삽교천 방조제 공사를 시행하면서 우리 나라 여건에 부합되는 방조제 구조와 공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였고, 80년대에는 영산강, 대호, 금강, 90년 초에는 영암방조제 공사들을 무리없이 성공시켰고, 독자적인 기술 개발이 촉진되어 1994년 1월에는 세계 간척사상 유출입 조석량이 가장 큰(9억m$^3$로 그간 우리나라 및 화란에서 시행하였던 큰 규모는 약 3~억 m$^3$ 내외임) 시화 방조제 끝막이 공사를 우리 나라가 개발한 구조와 공법으로 성공시켰으며, 이에 힘입어 유출입 조석량이 18억m$^3$인 새만금 간척 공사를 독자적인 우리 기술에 의해 계획대로 시행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그간 우리 나라의 간척 기술개발 사항은 물론, 간척 사업 .전반적인 사항을 요약하였고, 세계 각국의 간척 사업과도 비교하여 우리나라 간척 사업에 대한 현주소를 여기에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