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돈육

Search Result 76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발효 머루주박을 급여한 돈육의 품질특성

  • Jeong, In-Cheol;Hyeon, Jae-Seok;Gang, Se-Ju;Mun, Y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27-130
    • /
    • 2004
  • 본 연구는 발효시킨 머루주박을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급여한 돈육의 품질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급여돈육과 대조돈육이 비슷하였으나, 지방함량은 급여돈육이 높았고, 콜레스테롤 함량은 급여돈육이 2.19 mg/100g으로 대조돈육의 61.13 mg/100g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휘발성 염기질소와 pH는 두개의 시료가 비슷하였으나, TBARS 값은 급여돈육이 대조돈육보다 낮았다. 육색의 경우 급여돈육의 적색도 및 황색도가 대조돈육보다 높았으며, 지방색의 경우 명도와 황색도는 두 개의 시료가 차이가 없었으나 적색도는 급여돈육이 높았다.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고, 포화지방산은 stearic acid,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급여돈육의 EPA, DHA 함량이 대조돈육보다 높았다. 그리고 대조돈육의 점착성, 응집성, 저작성, 전단력가가 급여돈육보다 높았으며, 보수력은 급여돈육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급여돈육의 맛(p<0.001), 향기(p<0.01), 풍미(p<0.001), 다즙성(p<0.01) 및 전체적인 기호성(p<0.01)이 대조돈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 PDF

방사선 조사가 신선 돈육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이윤진;이경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9-79
    • /
    • 2003
  • 돈육은 상업적 조사가 허용되어 있는 대표적 식품으로 FDA는 신선육과 냉동육의 최대조사량을 각각 4.5 kGy, 7 kGy로 규정하고 있다. 돈육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수분이 이온화되어 생성된 자유 라디칼이 돈육성분과 반응하게 되어 돈육의 외관, 텍스쳐 등에 변화를 일으킨다. 돈육의 색깔, 냄새 등은 신선 돈육의 구매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특성으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육류의 품질 특성 변화는 조사 돈육의 소비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중략)

  • PDF

지방함량에 따른 재래종 및 개량종 세절돈육의 지방산 조성과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 Ju, Myeong-Gyu;Kim, Dong-Uk;Kim, Hye-Jeong;Choe, Yeom-Sun;Lee, S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6-159
    • /
    • 2004
  • 재래돈육과 개량돈육의 지방함량을 달리한 patty를 만들어 저온저장 중 지방산 조성과 지질산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지방산 조성비율을 보면 포화지방산(SFA)은 재래돈육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다가불포화지방산(PUFA)은 재래돈육이 더 높았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MUFA)은 개량돈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BARS, FOX는 지방함량이 높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재래돈육이 개량돈육에 비해 TBARS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따라서 재래돈육이 개량돈육에 비해 지방산화가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 PDF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 ; EM)에 의한 돈육 보존의 효과

  • Han, Seu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31-134
    • /
    • 2004
  • EM이 돼지 사양에서 육질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양실험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양한 돼지와 EM 축산사료첨가제와 EM 활성액을 정기적으로 급이하여 사양한 EM Pork를 도축한 후 각각의 돈육을 $4^{\circ}C$ 냉장온도와 $-18^{\circ}C$ 냉동온도에서 저장하였다. 그후 일반 돈육과 EM Pork의 일반성분 및 육질의 보존성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단백질 변성에 관한 실험결과 일반 돈육을 5일간 냉동저장한 것은 3.72 mg%를 보였고 EM Pork는 3.2 mg%를 나타내 일반 돈육보다 15% 정도 단백질 변성을 지연시켰다. 또한, 일반 돈육을 5일간 냉장저장한 것은 4.9 mg%를 나타냈으나 EM Pork는 3.19 mg%를 나타내 일반 돈육보다 35% 단백질 변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냉동 및 냉장 처리한 일반 돈육의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21.41%와 19.73%인데 비해 냉동 및 냉장 처리한 EM Pork는 각각 22.21%와 21.41%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단백질 변성과 관련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EM Pork육은 일반 돈육에 비해 단백질 변성 억제 효과가 15${\sim}$35% 정도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cuum Packaged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Red Pepper and Soybean Paste Seasoning during Storage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으로 발효한 진공포장 돈육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 특성)

  • Jin, S.K.;Kim, I.S.;Hah, K.H.;Lyou, H.J.;Park, K.H.;Lee, J.R.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7 no.5
    • /
    • pp.825-836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red pepper paste and soybean paste. The ham of pork were cut to cube (7 × 10 × 2 cm3) and Korea traditional seasonings such as soy sauce (T1), red pepper paste (T2), soybean paste (T3) were seasoned by the proportions of meat to seasonings (1:1), respectively. The pH of fermented pork with soybean paste seaso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ose for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seasoning at 1 and 28 days of storage, but were significantly lower at 14 days of storage. The water-holding capacity of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seaso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ose for fermented pork with red pepper and soybean paste seasoning at 28 days of storage. The surface meat L* values of fermented pork with soybean paste seaso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ose for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seasoning, but a* and b* values of fermented pork with red pepper paste seasoning significantly higher.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of fermented pork with soybean paste seasoning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for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seasoning at 1 and 28 days of storage. The shear force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of fermented pork with soybean paste seasoning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for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seasoning. The total plate counts of fermented pork with soybean paste seaso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ose for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seasoning at 14 days of storage, but were significantly lower at 28 days of storage. The Escherichia coli of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and soybean paste seasoning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for fermented pork with red pepper paste seasoning at 1 day of storage. The Lactobacilli spp. of fermented pork with red pepper paste seasoning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for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and soybean paste seasoning.

라이신 수준이 재래흑돼지 냉동육의 저온저장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Gang, Seon-Mun;Kim, Yong-Seon;Gang, Chang-Gi;Chae, Byeong-Jo;Lee, S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250-254
    • /
    • 2005
  • 본 연구는 육성기, 비육기 사료내 라이신 수준이 재래흑돼지 냉동육의 저온저장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드립감량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낮았으며(p<0.05), TBARS는 저장 7일에 저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으며(p<0.05), 저장기간 동안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돈육간에 차이가 없었다. L 값은 저장5일부터 재래흑돼지육이 저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고(p<0.05), a 값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b 값은 재래흑돼지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다(p<0.05). 포화지방산은 저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가장 높았으나(p<0.05), 불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가장 낮았다(p<0.05). 단가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저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보수력, 육색이 우수하였으며, 저라이신 수준의 사료를 급여시 재래흑돼지육의 포화지방산은 증가하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 PDF

Effect of Glycolysis Rate in Porcine Muscle Postmortem on Gel Property of Pork Surimi (돼지 근육의 사후 해당속도가 돈육 수리미의 젤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ang Guen-Ho;Yang Han-Sul;Jeong Jin-Yeon;Joo Seon-Tea;Park Gu-Boo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5 no.4
    • /
    • pp.423-429
    • /
    • 2005
  • Properties of pant surimi derived from porcine longissimus muscle were investigated Rapid glycolysis of muscle reduced yield $\%$ of water-washed pork and moisture $\%$ of pent surimi because of ie lower ultimate pH. Gel Hardnes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pork surimi from rapid glycolysis muscle, but springiness was higher (p<0.05) in pork surimi from normal glycolysis muscle. SDS-PAGE pattern showed denaturation of sarcoplasmic proteins onto myofibrillar proteins in rapid glycolysis muscle, resulted in dark color and hard texture of pork surimi. Color and texture of gels were related with water-holding capacity of muscle proteins and moisture $\%$ in gel matrix. Results imply that glycolysis rate of porcine muscle at postmortem could affect gel properties of pork surimi, and muscle with rapid glycolysis muscle could produce a hard texture of pork surimi and dark color.

브랜드돈육 생산의 꿈, 그 실현의 조건

  • Kim, Yeong-Hwa
    • Feed Journal
    • /
    • v.4 no.1 s.29
    • /
    • pp.118-125
    • /
    • 2006
  • 국내 돼지 사육두수는 '04년 초 PMWS (이유후전신소모성증후군), PED (유행성설사병) 등 질병발생, 작년 여름 폭염 피해 및 분뇨처리 문제 등으로 2005년 9월말 8,993천두 수준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감소한 추세이다. 돼지고기 생산도 소비자의 구매 요구에 따라야 하는데, 국민소득 증대와 안전돈육에 대한 관심고조로 브랜드 개념이 돈육 시장에서도 거론되는 추세이다. 이런 시대적 요청에 따라 정부에서도 브랜드돈육 생산자 경영체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05년에는 농림부와 농협중앙회가 주관한 제3회 우수 축산물 브랜드 경진대화를 개최한 바 있고, 2004년에는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이 한우 9개소, 돼지 10개소를 우수 축산물 브랜드 생산업체로 인증하였다. 금후에도 브랜드 인증과 관련된 사업은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할 전망이므로 양돈 생산농가와 업체 등 경영체에서는 브랜드 돈육 생산에 관한 노력을 꾸준히 실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브랜드 돈육 생산은 종돈, 사료, 사양기술 등을 통일하고, 돼지고기의 품질을 높이며, 돈육을 소비자의 식탁까지 안전하게 유통시키고, 브랜드관리에 최선을 다하는 체계화된 일련의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시점에서 우수 축산물 브랜드 현황 및 조성 방안에 대하여 살펴볼까 한다.

  • PDF

지방함량에 따른 재래종 및 개량종 세절돈육의 육색과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 Ju, Myeong-Gyu;Gang, Seon-Mun;Choe, Yeom-Sun;Lee, S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2-155
    • /
    • 2004
  • 재래돈육과 개량돈육의 지방함량을 달리한 patty를 만들어 저온저장 중 육색과 조직감을 비교분석하였다. 육색은 재래돈육이 명도($L^{\ast}$)는 유의적으로 낮고, 적색도($a^{\ast}$)는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조직감은 재래돈육이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resilience이 높게 나타나 육질이 쫄깃하고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라이신 수준에 따른 재래종 흑돼지육과 개량종 돈육의 해동후 저온저장중 품질비교

  • Lee, Seong-Gi;Gang, Seon-Mun;Kim, Yong-Seon;Gang, Chang-Gi;Chae, Byeo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245-249
    • /
    • 2005
  • 본 연구는 육성기, 비육기 사료내 라이신 수준에 따른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돈육의 해동후 저온저장중 품질비교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pH는 저장 5일에 고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으며(p<0.05), 드립감량은 저장 5일까지 고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저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 7일에 고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다(p<0.05). Hunter L 값은 저장 2일부터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낮았고(p<0.05), a 및 b 값은 저장 5,7일까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다(p<0.05). 신선육의 육색, 종합적 기호도는 고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가장 높았으며(p<0.05), 가열육의 맛, 풍미, 조직감, 종합적 기호도는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라이신 수준의 사료를 급여시 재래흑돼지육의 보수력, 육색, 관능적 기호도는 향상되었으나 저온저장중 지방산화는 촉진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