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독성가설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우울과 음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긴장감소가설'과 '독성가설'에 대한 검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 Focusing on 'Tension Reduction Theory' and 'Intoxication Theory'-)

  • 강상경;권태연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253-280
    • /
    • 2008
  • 기존연구들에서 우울과 음주와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변수 중에서 어떤 변수가 선행요인인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비재귀구조방정식모델(non-recursiv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음주와 우울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고 심리사회행동적 변수들이 음주와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06년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조사에 참가한 14,4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주가 우울에 선행한다는 독성가설과 우울이 음주에 선행한다는 긴장감소가설을 검증한 결과, 음주가 우울에 선행한다는 독성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심리사회행동적 변수들의 음주에 대한 영향력의 상당부분이 음주를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에 대한 논의와 차후의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여성의 SNS 이용이 대안 건강 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대안 생리대 사용 의도를 중심으로 (Effects of Women's SNS Uses on Alternativ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Application of Health Belief Model on the Adoption of Alternative Menstrual Products)

  • 김총혜;조재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83-93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들의 SNS 이용이 대안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했다. 특히 최근 많은 주목을 받았던 독성생리대와 대안생리대에 대한 SNS 정보추구가 대안생리대에 대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건강신념모델을 기반으로 가설을 설정했고, 총 11개의 가설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한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경로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SNS를 통해 수집된 독성생리대와 대안생리대에 대한 정보이용은 대안생리대에 대한 지각된 이익과 독성생리대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그리고 지각된 장애는 대안생리대의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lectron Donor와 Electron Acceptor의 농도가 사염화탄소의 생물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Donor and Electron Acceptor on Biodegradation of $CCl_4$)

  • 배우근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대회 프로그램
    • /
    • pp.8-12
    • /
    • 1991
  • 탈질 박테리아를 이용한 사염화탄소의 분해 실험에서 electron donor의 공급이 중단되면 사염화탄소의 제거율이 낮아지고, 반면 electron acceptor의 주입이 중단되면 제거율이 높아졌다. 사염화탄소의 제거시 클로로폼이 생산되어 사염화탄소가 환원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 결과는 사염화탄소가 일종의 electron acceptor로 작용하면서 전자를 얻기 위해 세포 내의 다른 electron acceptor와 경쟁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서도 실험조건하에서 상당량(25∼30%)의 사염화탄소가 제거되었다. Electron acceptor의 공급중단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사염화탄소의 제거와 함께 클로로폼이 형성되므로써 사염화탄소의 환원분해가 호기성 상태에서도 진행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심리사회행동요인을 고려한 우울수준과 음주행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Considering Psychosocial Behavioral Factors)

  • 권태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187-215
    • /
    • 2011
  • 본 연구는 긴장감소가설과 독성가설을 토대로 우울수준이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행위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를 동시에 고려하여 우울수준과 음주행위의 종단적상호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사회행동적 요인들(흡연량,자아존중감,가족관계만족,사회적친분관계만족)이 우울수준과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2,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변수들간의 종단적인 변화 관계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음주행위 초기값이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수준 초기값이 음주행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주행위 초기값이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경로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심리사회행동적 요인들 중에서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만족수준은 우울수준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난 반면, 흡연량과 사회적친분관계만족은 음주행위 초기값과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음주행위와 우울수준 간의 복합적 관계 기제를 밝히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분석결과를 통해 연구의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Bromobenzene의 투여 횟수에 따른 간독성의 차이 (A Study on the Effect of Injection Frequency on the Liver Damage in Rats)

  • 이상희;전태원;윤종국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9-36
    • /
    • 2000
  • 실험동물에 있어서 간조직의 손상 정도에 미치는 xenobiotics의 투여기간에 의한 영향을 검토할 목적으로 hepatotoxin의 일종인 bromobenzene의 투여 횟수에 의한 간손상 정도와 이의 기전을 구명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에 1일 간격으로 bromobenzene (400 mg/kg)을 복강으로 1회, 3회 및 6회 투여한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실험에서 혈청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의 활성 및 체중 당 간 무게는 bromobenzene을 1회 투여 한 1일째에는 대조군과 별다른 변동을 볼 수 없었으나 3회 투여 한 3일째에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이후 6일째 6회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체중 당 간 무게 및 혈청 ALT활성이 3일째 보다 현저히 감소되어 오히려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이와 같이 투여 횟수의 증가에 따른 간손상의 정도가 투여 횟수와 비례하지 않은 것이 어떠한 기전에 의해서 나타나는지를 구명하기 위해 bromobenzene 대사에 관여하는 간조직 중 aniline hydroxyl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과 glutathione (GSH) 함량을 측정한 결과, 이들 대사효소 및 GSH 이용률이 bromobenzene 6회 투여군에서 1회 및 3회 투여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어떤 독성물질이 생체에 계속 폭로 시 어느 시점에서 중독현상이 경감되는 것은 이 독성물질의 대사율을 증가시켜 해독하려는 생리적응현상이 일어 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식물병원균에 대한 몇가지 저급지방산의 항균특성 (Antifungal Properties of Some Short Chain Fatty Acid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 박종성;갑원계개;서촌정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9-95
    • /
    • 1986
  • 쇠비름 즙액에서 얻은 5종의 저급지방산인 isobutyric(C-4), butyric(C-4), isovaleric(C-5), valeric (C-5), caproic(C-6) acids등이 그들 사이에 항균력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시한 25종의 식물병원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생장에 대하여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지방산의 항균력은 포자발아검정이나 균사신장검정에 있어서 공시균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포자발아검정에 공시한 17종의 병원균과 균사신장검정에 공시한 16종의 병원균은 그들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을 제각기 완전히 저해하는 각각의 지방산의 최저저해농도(MIC)에 따라 3군으로 나눌 수 있다. 이밖에도 이 연구의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할 수 있었다. 1) Caproic acid는 공시균의 균사신장보다 포자발아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였으나 약간의 예외는 있었지만 그 밖의 지방산은 이와같은 독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2) 지방산의 사슬이 길수록 항균력도 강하다. 3) n-Butyric acid와 n-Valeric acid는 그들의 이성체보다 항균력이 강하다. 4) 각각의 지방산은 부생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에 대한 것보다 활물기생균이나 몇가지 조건적 기생균의 그것들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여주었다.

  • PDF

이산화염소의 활성산소 유발에 따른 곤충 세포의 아폽토시스 (Influence of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ed by Chlorine Dioxide on Induction of Insect Cell Apoptosis)

  • 김민현;수닐 쿠마르;권혁;김욱;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67-275
    • /
    • 2016
  • 이산화염소는 살충효과를 지니며, 이는 이 물질이 발생시키는 활성산소에 기인된다. 살충효과를 주는 주요 원인으로 이산화염소의 세포독성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산화염소가 유발하는 세포독성이 활성산소에 기인한 아폽토시스 유발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유충에 이산화염소를 주입한 결과 전체혈구수의 뚜렷한 감소를 보였고, 이후 처리 유충은 사망하였다. 아폽토시스 세포치사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TUNEL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nick end translation)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곤충 세포주의 하나인 Sf9 세포에 서로 다른 이산화염소를 처리하고 TUNEL 분석법으로 관찰한 결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아폽토시스 비율이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서로 다른 농도의 이산화염소를 화랑곡나방 유충에 주입하고 혈구 세포를 TUNEL 분석법으로 관찰한 결과 이산화염소는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아폽토시스 유발을 나타냈다. 그러나 항산화제인 비타민 E를 이산화염소와 함께 처리하면 비타민 E의 농도에 비례하여 이산화염소의 아폽토시스 유발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살충률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산화염소에 기인한 세포독성은 활성산소에 기인한 아폽토시스 유발로 이뤄졌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화학적, 대사적 산화반응 중 생성되는 S-oxide를 이용한 O-ethyl S-methyl ethylphosphonothioate (1) 의 독성 기작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possible mode of action of O-ethyl S-methyl ethylphosphonothioate via the formation of S-oxide in chemical and metabolic oxidation systems)

  • 허장현;;한대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7-177
    • /
    • 1991
  • O,S-dialkyl alkylphosphonothioates 계열 유기인제 농약의 체내 작용기작을 이해하기 위하여 model 화합물 (1), O-ethyl S-methyl ethylphosphonothioate [$LD_{50}$(rat, oral) 4.6mg/kg ; $K_i$(bovine erythrocyte acetylcholinesterase) 303 $M^{-1}min^{-1}$]이 선정되었다. 이 유기인계 화합물들은 체내에서 활성화(活性化) 과정을 겪으면서 독성(毒性)을 발현하는 것으로 가설(假說)되어져 왔다. 생체 내 mixed function oxidases에 의한 산화 활성화 과정을 화학적(化學的)으로 재현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유기산화제 즉, meta-chloroperoxybenzoic acid와 monoperoxyphthalic acid가 사용되었고, 대사적(代謝的) 산화를 재현하기 위하여 쥐 간(肝)에서 추출한 microsomal oxidation system을 이용한 in vitro 산화반응이 시도되었다. 산화반응 중간생성물인 S-oxide의 존재가 전구물질(1)의 가설적 산화 반응경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나마 충분히 확인 되어질 수 있었다. 더욱이 ethanol을 이용한 trapping 실험에서 불안정한 산화중간물질인 S-oxide가 강한 phosphorylating agent라는 것이 확인되어, 전구물질 (1)로부터 산화반응을 거치면서 생성된 이 중간물질이 체내 신경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cetylcholinesterase를 phosphorylation하게 되고, 결국 이런 활성화 과정을 통해 이 계열의 화합물들이 독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