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독립형 태양광 발전 장치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Power Supply System Using PV Systems (독립형 태양광발전장치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구성에 관한 연구)

  • Kim, Sun-Young;Park, Jae-Bum;Shin, Jian;Kim, Sub-Han;Rho, Dae-Seok;Kim, Ha-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708-70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환경오염이 거의 없고, 무한한 에너지 원인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장치를 이용하여, 2차전지 및 IT기술을 기반으로 태양광발전장치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장치를 한국기술대학교의 몽골 해외봉사단에서 직접 설치, 운용하여, 상용전원이 제한적인 개발도상국가 및 후진국에 도입하여 생활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태양광발전 전원공급장치는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 컨트롤러를 통해 2차전지 및 독립형인버터로 전달되어 상용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독립형 태양광발전장치는 대상 부하의 크기를 고려하여 각각의 장비를 선정하였고, 2차전지를 이용하여 주간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발전을 하지 않는 저녁에 사용하므로 단속적인 태양광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하였으며,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데이터 값을 IT기술을 통하여 감시 및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는 상용전원 공급이 제한적인 개발도상국이나 독립적인 전원이 필요한 외진 곳의 수용가에게 전기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 PDF

LED sign board design using photovoltaic system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LED표식장치 설계)

  • Choi, Deok-Hwa;Lee, Hoong-J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653-65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태양전지-LED 시스템을 설계하여 부하 발전 배터리 용량을 산정하고, 상용 예비전력을 도입한 독립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LED 조명부하에 대한 휘도 시뮬레이션 및 균일성 검사를 거친 후, 이를 태양광발전시스템과 함께 설치하였다. 태양전지-LED 시스템에 대하여 설계,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현장 시험을 통해 시스템의 신뢰성과 성능 및 제반 문제점을 확인하고,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LED 표식장치의 다양한 응용을 위한 기초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 PDF

Operating Chracteristic of Power Converter for Photovoltatic System using Instantaneous Controller (순시치 제어기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동작특성)

  • 유권종;김홍성;송진수;정영석;강기환;이병구;최규하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4 no.1
    • /
    • pp.57-65
    • /
    • 1999
  • This paper deals with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SPVS) with charge and discharge controller. Main power source of SPVS are generally solar cell and battery. Therefore SPVS can be classified into variable types in accordance with connection type between battery and solar cell. Mainly used one of them is direct connection type which has advantages such as simple structure and simple controller. However most big drawback of this system is energy loss by voltage disharmony between solar cell and battery. Therefore SPVS with charge and discharge controller which can operate solar cell at maximum power point is suggested and designed with instantaneous controller. And system operating characteristics are verifieded by experiment with a laboratory prototype in this paper.

  • PDF

A Study on Hybrid Control Unit Using a Smart Control (스마트 제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형 제어장치 연구)

  • Kim, Hee-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11
    • /
    • pp.1093-1100
    • /
    • 2016
  •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and stability of the solar - wind power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street lamps using super capacitor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t is aiming to apply the lighting device using LED light source as the load of solar-wind power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independent power source and to develop the street light system device with high output power generation system. Unlike conventional controllers, EDLC, which is used as an auxiliary device for storing the developed power in the battery, can guarantee the high output and long life of the battery.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PV System based on Industry Work (산업체 실무에 기초한 태양광발전시스템 학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Lee,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196-197
    • /
    • 2017
  • 최근 국내 태양광산업은 보급량이 증가하고 있고, 정부 정책에서도 에너지신산업을 추진하는 등 시장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본교에서는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광발전시스템에 대해 건학이념인 실사구시에 입각한 학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다. 산업체 실무에 기초한 태양광발전시스템 학부 교육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콘트롤러(MCU) 교육, DC-DC 컨버터와 DC-AC 인버터 등 전력변환장치 기반의 Solar Explorer Kit 교육, 태양광발전시스템 발전량 산출과 손실분석 등 성능평가를 위한 PVsyst 엔지니어링 교육 내용으로 구성된다. 특히,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된 Solar Explorer Kit 교육 프로그램은 DC-DC 컨버터와 배터리(리튬-폴리머) 충전, 배터리(리튬-폴리머) 방전과 DC LED 부하 접속, 독립형 DC-AC 인버터 출력과 AC 할로겐 램프 부하 접속, 계통연계형 DC-AC 인버터 출력 실습 등에 대해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lone PV system for Street Lamp (가로등용 독립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Piao, Z.G.;Choi, Y.O.;Lee, K.Y.;Baek, H.L.;Cho, G.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128_112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Ni-MH전지를 가로등용 독립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저장장치로 적용하고 충방전제어기를 설계하고 시스템을 구성하여 운전특성을 분석하였다. 태양전지모듈은 170W Sanyo사의 HIP-170N1을 사용하였고 전력저장장치는 Ni-MH 전지를 적용하였으며 부하인 가로등용 램프로는 24V, 45W 삼파장 램프를 사용하여 가로등용 독립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충방전 제어기를 구성하여 Ni-MH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분석하였다. Ni-MH 전지의 충방전 전압은 27V 좌우로 안정적으로 충방전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축전지의 온도 상승도 15시 이후에 최고 $35^{\circ}C$로 나타났다. 이는 Ni-MH전지에 적용한 충전 시스템이 온도에 의하여 충전 말기 전압을 제어하기 때문으로써 축전지의 과충전 현상을 방지하여 축전지의 수명을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Estim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 Configuration in Islanded Micro-Grid By Optimization (최적화를 이용한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신재생 발전원 비율 산정)

  • Ko, Eun-Young;Baek, Ja-Hyun;Cho, Soo-Hwan;Kang, Tae-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19-52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를 적용하여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내에서 신재생 발전원의 설치 비율을 산정한다. 계통과 독립되어 있는 마이크로그리드에서의 발전원을 신재생 에너지원인 풍력 및 태양광, 그리고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만으로 가정하여 마이크로그리드의 부하규모에 맞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원의 비율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Concentrating Photovoltaic System by GPS Solar Tracker (GPS 태양추적장치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발전시스템에 관한 연구)

  • Jeong, Yong-Hwan;Lim, Jung-Yeol
    • Journal of IKEEE
    • /
    • v.15 no.3
    • /
    • pp.211-217
    • /
    • 2011
  • The energy of CPV system is different as the altitude and azimuth of solar. In order to The maximum of solar energy density, the tracking system which does there to make be the module and the solar will be able to maintain a normal line is necessary. This paper proposed for GPS solar tracker of stand-alone 60[W] concentrating photovoltaic system. The position algorithm of solar tracker is through the coordinates transformation calculating the altitude and azimuth of the solar.

Control of MPPT and DC-DC converter for a stand alone solar power system using a single digital controller (단일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MPPT 및 DC-DC컨버터 제어)

  • Jin, Ho-Sang;Kim, Hee-Jun;Ahmad, Jawad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4b
    • /
    • pp.115-117
    • /
    • 2009
  • 본 논문은 단일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하여 독립형 태양광 발진 시스템에 사용되는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전력을 수집하고 필요에 따라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전력을 저장하는 Boost 컨버터가 최대전력점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면서, 이 전압을 부하에 필요한 전압 값으로 변환하는 Buck 컨버터를 동시에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은 에너지를 발생하는 태양전지, 최대전력 점을 추종(MPPT)하도록 하는 Boost 컨버터, 부하에 적합한 준위의 전압을 공급하는 Buck 컨버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안된 방법은 디지털 제어기의 제어변수 값들을 바꿈으로써 전체시스템의 출력특성을 쉽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되는 태양전지 어레이의 종류와 환경조건 변화에 따라 쉽게 제어변수 값들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디지털 제어기로 최대전력점 제어부 및 Buck과 Boost 컨버터의 피드백 제어부를 구성하여 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해지기 때문에 소형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operation method for standalone hybrid power generation (독립형 하이브리드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법 연구)

  • Kim, J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93-49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독립형 하이브리드 발전을 위한 효율적안 운영방법을 제안한다. 별도의 정원이 없는 오지에서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태양광과 풍력 또는 소수력을 활용하여 두 가지 이상의 발전을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발전을 이용한다. 또한 발전된 전원을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를 내장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의 이용은 발전이 발생되는 구간과 발전이 되지 않는 구간으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발전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하나의 발전과 2개의 발전으로 분리하여 하나의 발전만 이루어지는 구간은 일반적인 CC/CV(정전류/전전압) 방식을 이용하여 일반 충전을 수행하고 두 개의 발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간은 CC(전전류) 모드를 최대한 활용하는 급속 충전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2개 이상의 발전을 활용하여 독립적인 기능 수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을 이용한 독립형 장치로서 장소와 환경의 제한이 적어 실용가능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