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파민 D2 수용체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2초

틱장애와 도파민 D2 수용체 유전자와의 연합 연구 (Association Study between Tic Disorder and Dopamine D2 Receptor Gene Polymorphism in Korean Population)

  • 이소영;조인희;김선미;이민수;정한용
    • 생물정신의학
    • /
    • 제13권4호
    • /
    • pp.299-304
    • /
    • 200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aqI A polymorphism of dopamine receptor D2 gene(DRD2) is associated with Tourette syndrome(T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CMT)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 DRD2 TaqI A RFLP genotyping was carried out with DNA extracted from blood samples of 75 patients with tic disorders(47 with TS and 28 with CMT) and 90 healthy subjects. Genotype and allelic frequencies for the DRD2 gene polymorphisms of the tic disorder group as a whole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parating the TS group, thereafter, the frequency of genotypes and allele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s. Results :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genotype and allele distributions for the DRD2 gene polymorphism in the tic disorder as a whole, TS, and control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 No association was found for DRD2 gene, TS and CMT. The data suggest that DRD2 gene may not be a useful marker for the prediction of the susceptibility of tic disorder.

  • PDF

알코올 중독에서의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 (Polymorphisms of the Dopamine Receptor Genes in Alcoholism)

  • 유승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9권1호
    • /
    • pp.15-24
    • /
    • 2002
  • Even though alcoholism is a multi-factorial psychiatric disorder, it is reasonable to suppose that genetic factors play a substantial role in the manifestation of this disorder. Because alcohol is the reinforcing substance which manifests its effects through activation of the mesolimbic dopaminergic reward pathway of the brain, the gene encoding dopamine receptor subtypes can be a major natural candidate gene. Since 1990, many association studies have identified strong evidence implicating the dopamine D2 receptor(DRD2) gene in alcoholism, specifically TaqI A minor(A1) allele. Association studies have also been conducted on other dopamine receptor(DRD3 & DRD4) polymorphisms but the results have yet to be confirmed. Through a number of other approaches, each dopamine receptor gene has been investigated in association with different phenotypes in alcoholism, but further researches will be needed. In conclusion, studies in the past decade have shown that the TaqI A1 allele of the DRD2 gene is associated with alcoholism in various subject groups. Other dopamine receptor genes have since been added to the list but yet to be identified. Thus, the knowledge of these genes and their functional significance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biological mechanisms of alcoholism. Furthermore, it could lead to more helpful prevention and treatment approaches to alcoholism.

  • PDF

흰쥐 부신에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과 도파민 수용체간의 상관성 (Interrelationship between Dopaminergic Receptors and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Rat Adrenal Gland)

  • 임동윤;윤중근;문백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7-100
    • /
    • 1994
  • 도파민 함유세포가 교감신경절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말초에서 신경전달 물질로써 그의 역할과 작용기전에 대해서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파민 $D_2$-수용체의 선택적인 효능약으로 알려진 apomorphine이 흰쥐 적출 관류 부신에서 카테콜아민(CA)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코자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0{\um}M\;Apomorphine$의 비교적 낮은 농도를 부신정맥내에 20분간 관류 하였을때 5.32mM ACh, 56mM KCl, $100{\mu}M$ DMPP 및 $100{\mu}M$ McN-A-343 등의 투여에 의한 CA 분비작용이 의의 있게 감소되었다. Apomorphine 농도를 $30{\mu}M$로 증가시켜 관류하였을때 상기약물에 의한 CA 분비작용은 더욱 억제되었으며 또한 Bay-K-8644에 의한 $100{\mu}M$의 고농도로 전처치 하였을때, ACh, excess $K^+$, DMPP 및 McN-A-343에 의한 CA분비작용은 현저히 차단되었다. 도파민 $D_2$-수용체 차단제인 metoclopramide $(30{\mu}M)$으로 20분간 관류 하였을때 ACh, DMPP 및 McN-A-343에 의한 CA 분비작용은 유의하게 억제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excess\;{K^+}$에 의한 CA분비작용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metoclopramide $(30{\mu}M)$ 존재하에서 $30{\mu}M$ apomorphine으로 20분간 전처치 하였을때 $excess{K^+}$ 뿐만 아니라 DMPP의 CA 분비작용은 별다른 변화를 받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실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apomorphine은 cholinergic receptor stimulation과 membrane depolarization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여, 이러한 작용은 억제성 도파민 수용체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흰쥐 부신 수질의 chromaffin cell 내로 칼슘의 유입을 억제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기 성인기 한국인에서 도파민 D4 수용체의 유전적 다형성, 기질특성, 음주행동 사이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among the Genetic Polymorphism of Dopamine D4 Receptor, Temperament and Alcohol Drinking Behavior in Young Korean Adults)

  • 남영우;이상익;신철진;손정우;김시경
    • 생물정신의학
    • /
    • 제18권2호
    • /
    • pp.101-108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sociation among DRD4 polymorphism, temperament and alcohol drinking behavior of Koreans in their early adulthood. Method Participants were 172 healthy Korean adults (mean age $28.1{\pm}0.8$). Their temperament was assessed with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and their alcohol drinking behavior were evaluated wit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ing the CAGE and the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K). DRD4 exon III 48 base pair 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s (VNTR) was genotyped by PCR. Result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DRD4 polymorphism and TCI temperament dimension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as well as alcohol drinking behavior scales. However, novelty see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cohol drinking behavior. The higher level of novelty seeking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severity index of drinking (B = -0.225, p < 0.001) and problematic alcohol use on the CAGE and AUDIT-K [Odds Ratio (OR) = 1.111,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1-1.209, p = 0.015, OR = 1.087, 95% CI 1.009-1.170, p = 0.028]. Conclusion In our study,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association of DRD4 polymorphism with temperament and alcohol drinking behavior, novelty seeking affects problematic alcohol use. Results suggest that novelty seeking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blematic alcohol use in young Korean adults.

생쥐 도파민 수용쳬 조절인자 (DRRF) 유전자의 전사조절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Murine Dopamine Receptor Regulating Factor (DRRF) Gene)

  • 김옥수;이영춘;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2005
  • 생쥐의 도파민 수용체 조절인자 (DRRF)유전자는 몇몇 Spl 결합부위를 가지고 TATA가 없는 프로모터로부터 전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성 조절인자들을 밝힌다. $D_2$ 도파민 수용체를 발현하는 NB41A3 세포에서 Spl은 pCAT-DRRF-l153/+17에 포함된 DRRF 프로모터부터 의 전사를 촉진시키지만 DRRF는 전사를 억제시켰다. -1153과 -1122 사이의 31 bp 단편의 결손에 의해 전사활성은 약 $60\%$ 정도 감소하였다. 이 단편은 기능성 AP1 결합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901과 -772사이의 129 bp영역의 결손에 의해 전사활성이 더욱 더 감소하였다. 이 영역은 기능성 AP2 결합부위를 가진다. DRRF_AP1 (bases -1153 to -1121) 탐침을 이용한 gel shift실험에서 특정 벤드가 관찰되었고, 이 벤드는 API 상보성 경쟁자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라졌다. 더욱이, DRRF_AP2 (bases -873 to -846) 탐침을 이용한 gel shift실험에서도 특정 벤드가 관찰되었고, 이 벤드도 AP2상보성 경쟁자에 의해 효과적으로 사라졌다. 본 연구결과로, Spl과 DRRF가 DRRF 프로모터를 효과적으로 조절한다는 사실과, AP1과 AP2 역시 이 유전자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정신분열병에서 도파민 D4 수용체(DRD4) 유전자의 다형성 (Association of Dopamine D4 Receptor(DRD4) Gene Polymorphism with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 이홍석;이민수;한덕정;이헌정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2호
    • /
    • pp.152-158
    • /
    • 2000
  • 정신분열병과 DRD4 다형성이 연관이 없다는 보고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결과로부터 정신분열병과 DRD4가 연관이 없다고 결론 내리는 것은 성급한 것일 수도 있다. 정신분열병의 유전적 취약성은 여러 유전자좌(locus)들이 같이 상호작용(interaction) 또는 공작용(coaction)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저자들은 DRD4 유전자의 exon III 48-염기쌍 다형성 [D4E3]과 exon I 12-염기쌍 다형성[D4E1]의 조합과 정신분열병의 연관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207명의 친척이 아닌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와 191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했다. DRD4 유전자형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의 빈도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두 군간에 다형성에 있어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모든 유전자형의 빈도는 Hardy-Weinberg equilibrium에서 예상되는 분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DRD4 유전자의 다형성을 조합하여, D4E1과 D4E3 다형성의 조합의 분포에 있어 비교하였을 때, $A1A2^*2/4$의 분포에 있어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이러한 소견은 D4E1과 D4E3 다형성의 조합중 하나인 $A1A2^*2/4$이 정신분열병의 취약성에 있어 방어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동적 $[^{11}C]Raclopride$ 뇌 PET의 움직임 보정이 선조체 내인성 도파민 유리 정량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ion Correction for Dynamic $[^{11}C]Raclopride$ Brain PET Data on the Evaluation of Endogenous Dopamine Release in Striatum)

  • 이재성;김유경;조상수;최연성;강은주;이동수;정준기;이명철;김상은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13-420
    • /
    • 2005
  • 목적: 수용체 결합능 정량화를 위해서는 방사성추적자의 동태를 충분히 관찰하기 위해서 보통 뇌 PET 영상을 60-120분 정도 얻어야 한다. 이처럼 장기간 PET 영상을 얻게 되는 경우 보통 피험자의 수의적/불수의적 움직임을 피할 수 없고 이러한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은 재구성된 PET 영상의 공간해상도를 저하시키고 측정된 방사능 농도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동적 영상 정보만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을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피험자의 움직임이 불가항력적인 뇌활성화 도파민 D2 수용체 영상에 적용하여 움직임 보정이 리간드 결합능 및 외부 자극에 의한 도파민 유리(release) 정량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4명의 정상인 자원자에서 비디오 게임에 의한 도파민 유리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으로 순간+연속 주입법을 이용하여 얻은 $[^{11}C]raclopride$ PET 영상을 이용하였으며 실제로 도파민 유리를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프레임들만을 선별해서 영상 정합 기법을 적용하였다. 즉, $[^{11}C]raclopride$을 투여한 후 선조체에서의 리간드의 특이적 결합이 항정상태(steady state)에 최초로 도달하는 과제 수행 전 (30-50 분) 영역과, 비디오 게임 과제에 의해 도파민이 유리된 후 다시 항정상태에 도달하는 70-90분, 비디오 게임을 멈춘 후 다시 항정상태에 도달하는 110-120 분 데이터에만 움직임 보정 기법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각 항정상태 구간은 보통 2-4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므로 먼저 이들 프레임들간의 영상정합을 수행(intra-condition registration)하여 평균 영상을 만들고 이들 평균 영상들을 정합하여 최종적으로 움직임 보정(inter-condition registration)을 하였다. 게임 수행 전후의 도파민유리를 평가하기 위하여 머리 움직임 보정 전후의 게임 과제 수행 전후의 결합능 백분율 변화를 구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결합능 파라미터 영상을 구하고 움직임 보정 전후의 결합능 영상의 화소별 차이를 SPM2를 이용한 t-test(쌍체 검정)로 알아보았다. 결과: 움직임 보정 전후의 영상을 비교하였을 때, 움직임 보정 전 영상에서, 게임 수행시 영상이 게임을 위한 스크린 위치에 따른 시야 변동으로 게임 수행전 영상에 비하여 앞쪽 아래로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대상 피험자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보정 전 영상으로부터 측정된 비디오 게임에 의한 도파민 유리는 putamen에서 29%, caudate head에서 57%, ventral striatum에서 17% 였으나, 보정 후 영상으로부터 구한 도파민 유리는 이들 영역에서 각각 3.9%, 14,1%, 0.6%로 움직임 보정을 하지 않은 경우 선조체 모든 구소물에서 결합능 감소, 즉 게임에 의한 도파민 유리가 과대평가됨을 알 수 있다. SPM 분석결과에서도 움직임을 보정하지 않은 영상을 이용한 경우, 선조체 구조물에서의 결합능 감소와 움직임에 의한 영상강도 저하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어 결합능 차이가 매우 유의하게 평가되었으나 움직임 보정 후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한 경우, 결합능 변화가 선조체 영역에서 국한되어 나타나며 그 유의성이 움직임 보정 전에 비하여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뇌활성화 과제 수행시에 동반되는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에 의하여 도파민 유리가 과대평가되었으며 이는 이 연구에서 제안한 영상정합을 이용한 움직임 보정기법에 의해서 개선되었다.

월남전 참전 재향군인에서 도파민 D2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D2 Dopamine Receptor (DRD2) Gene Polymorphism and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Vietnam Veterans)

  • 이수영;정혜경;김태용;최진희;정문용;소형석;신한상;이시은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2-147
    • /
    • 2008
  • Objective : Evidence from recent studies supports the role of genetic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opamine D2 receptor (DRD2) TaqI A polymorphism and PTSD. The second aim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RD2 TaqI A polymorphism and clinical symptoms in patients with PTSD. Methods : We recruited 189 Vietnam veterans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among whom 99 were PTSD patients and 90 were control subjects. The presence of the DRD2 TaqI A polymorphism was deter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everal standardized research scales were used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PTSD, including the Combat Exposure Scale (CES), Clinician Administered PTSD Scale (CAP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Clinical Global Impression (CGI).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the DRD2 genotype, frequency and prevalence of the A1 allele, or the frequency of heterozygotes between the patients with PTSD and the controls. In the PTSD group, the patients with the A1 allele (A1A1, A1A2) scored higher on the CAPS-total (p=0.044), CAPS-avoidance symptoms (p=0.016) and BDI (p=0.024) than those without the A1 allele (A2A2). Conclusion : We could not find an association between the dopamine D2 receptor (DRD2) TaqI A polymorphism and PTSD. However, the A1 allele of DRD2 seemsto influence avoidance symptoms in patients with PTSD.

  • PDF

항정신분열증 약물인 Risperidone(R 64766)의 산화대사 과정에 관한 연구

  • 신상구;장인진;이경훈;정원석;임동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93-93
    • /
    • 1993
  • 도파민 D 수용체 및 5-HT 수용체 차단기전을 지닌 새로운 항정신분열증 약물인 risperidone은 활성형 대사물로 9-OH risperidone을 체내에서 생성하는 바, 이 대사과정의 유전적 다형성의 여부 즉 hydroxylation 과정에 CYPIID6의 관여 여부를 검토코자 하였다. Metoprolol 100 mg 경구투여로 CYPIID6의 대사능의 표현형을 결정한 12명의 정상 피험자(11명: extensive metabolizer, 1명: poor metabolizer)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험자는 risperidone 1 또는 2 mg 경구투여후 혈중 risperidone 및 9-OH risperidone 농도를 경시적으로 radioimmunoassay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피험자중 6명의 extensive metabolizer는 quinidine 600 mg/day의 용량 투여로 CYPIID6의 활성도를 완전 억제시킨 후 risperidone 1 mg 경구투여에 따른 약동학적 성상을 재검토하여 risperidone hydroxylation에 CYPIID6의 관여 여부를 검토하였다. 1) 1명의 poor metabolizer는 extensive metabolizer에 비해 현저히 긴 risperidone 반감기를 보였다. 2) 12명의 피험자에서 관찰된 metoprolol metabolic ratio는 risperidone 혈장 반감기 및 log(risperidone AUC/9-OH-risperidone AUC)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3) Quinidine 투여는 risperidone의 반감기의 유의한 증가와 9OH risperidone AUC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9-hydroxylation 대사과정이 완전히 억제되지는 않았다.

  • PDF

한국인 병적 도박 환자에서 기질특성과 도파민 D2 수용체 Taq1A 다형성의 연합 연구 (An Association Study of the Dopamine D2 Receptor Taq1A Polymorphism and Temperament in Korean Pathological Gamblers)

  • 권용석;임세원;신영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18권3호
    • /
    • pp.119-125
    • /
    • 2011
  • Objective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dopamine D2 receptor gene (DRD2) is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gambling (PG).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the DRD2 Taq1A polymorphism and the temperament in PG using Cloninger's temperament and characteristic inventory (TCI). Methods 104 PG patients and 114 control subjects were recruited. Tests for DRD2 Taq1A polymorphism were conducted in both PG patients and controls. PG patients were requested to complete the TCI.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the genotype (${\chi}^2$ = 0.77, p = 0.681), allele (${\chi}^2$ = 0.52, p = 0.469), and allele (A1) carrier (${\chi}^2$ = 0.15, p = 0.695) between the PG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 When we compared the TCI profile in the PG patients according to genotyp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m-avoidance (HA, p = 0.033), and self-directedness (SD, p = 0.012) among genotypes. These difference were more evident between A1 allele carriers and non-carriers (HA, p = 0.009 and SD, p = 0.004). Conclusion Present results suggest Taq1A polymorphism may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usceptibility to pathological gambling in our population. However, Taq1A polymorphism might be associated with some temperament in Korean PG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