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심 경계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Validity of Delimitation of City Center by Land Values and the Change in the Land Values of City Center (지가에 의한 도심 경계 설정의 타당성 및 도심의 지가 변화)

  • Park, Jie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3
    • /
    • pp.366-37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to set city center's boundaries in proportion to the highest land value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he original and the new city center. For this purpose, the land values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city of Busan as an example using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in 2000 and 2015.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delimitation city center's boundaries as a percentage of the highest land values depends on the flow of time or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of each city, so a careful approach should be taken. Second, the original city center's land values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areas. However, given that the PLVI was moved to the new city center and new city center's land prices has increased, it is predicted that the new city center's area in Busan will grow further in the future.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the Delimitation of CBD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 Kim, Ho-Yong;Kim, Ji-Sook;Lee, S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4
    • /
    • pp.42-54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suitable for the delimitation of Busan CBD. For this purpose, Getis-Ord $G_i^*$ and both of IDW (Inverse Distance Weight) and FDB(Fixed Distance Band) were applied to delimit the CBD boundary. And then, the results of the CBD boundary were compared and verified with the methodologie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 of IDW accorded with the previous study relating to the delimitation of the boundary of CBD, and the result of FDB wa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residential of a transition zone. As a result of the land use quotient, the mixed land use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was highly specialized in the boundary of FDB.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he effective CBD management.

Boundary, Functions and Internal Structure of CBD in Seoul (서울 도심의 경계, 기능 및 내부구조)

  • Joo, Kyung-Sik;Seo, Mi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1
    • /
    • pp.41-56
    • /
    • 199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mit the boundary of central business district and to describe the internal structure of CBD in Seoul. To delimit the CBD boundary, we used the locational matrices of main CBD functions, which were ofganized through fieldworks. CBD functions are classified into 20 categories. They are retail sales, corporation managements, administration managements, business, and unclassified services, customer(personal)services, and manufacturings. The core area of CBD in Seoul is at Chongro and Chung Gu area that shows the locational consistency comparing to 1970s. Although the boundary is slightly expanded into west, south and east, the extent of horizontal expansion in CBD can be negligible comparing to the remarkable growth of Korean economy after 1970s. The reasons why CBD showed little expansion can be found out from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such as the growth of subcenters, decentralization of central functions,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redevelopment in central area and so on. Internal structure of Seoul's CBD shows 5 specialized functional subdistricts. They are CBD core area, subdistrict of department and office functions, retail sales, customer services and light manufacturings.

  • PDF

A Study on the River Zone Determination Method by River Type Based on 3D DSM Data (3차원 DSM 자료 기반 하천유형별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법 개발)

  • Lim, Dong Hwa;Lee, Choon Ho;Lee, Tae Geun;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2-472
    • /
    • 2021
  • 우리나라는 하천법 제10조, 소하천정비법 제3조에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는 하천의 지정 및 변경고시 시 하천구역을 결정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하천구역 설정 시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이 위치하는 부지 및 제방하심측 토지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나, 제방계획이 없거나 무제부 구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구간의 경우 하천법 제10조 3항에서 5항까지 3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계획하폭에 해당하는 토지, 댐·하구둑·홍수조절지·저류지의 계획홍수위 아래에 해당하는 토지경계, 철도·도로 등 제방의 역할을 하는 선형공작물 하심측 토지경계로 구분하고 있다. 하천구역의 경계설정의 경우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는 하천의 횡단측점 자료의 특성상 정확한 평면상의 경계를 파악하기 어렵고, 철도·도로 등 선형공작물 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설정 시 편입용지의 보상이 상이하고 모호한 기준으로 인해 다량의 민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 위치한 지방하천 대천천을 대상지로 설정하였으며, 계획홍수위를 기반으로 홍수범람예상도를 작성하여 정밀계획홍수위선을 산출하고 이를 지형자료와 중첩하여 계획홍수위 경계를 추출하였다. 또한 무제부 구간 내 드론촬영을 실시하여 대상지 드론영상 기반 3차원 정밀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앞서 산정한 계획홍수위 경계자료와 중첩하여 정밀 하천구역을 설정하였다. 대상지 정밀 하천구역 산정 결과를 기반으로 도심지내 하천과 도시외곽 하천으로 구분하고 다시 도심지내하천은 암거(복개)구간과 개거구간, 도시외곽하천은 유제부와 무제부 구간으로 구분하여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준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천천유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제부 구간 하천구역 결정과정을 기반으로 하천유형별 3차원 하천구역 산정기법을 정립하였다. 향후 해당기법을 실무에 적용하여 하천구역 산정 시 모호한 하천경계부분 또는 토지소유주와 담당부처 간 하천구역 논의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본계획 수립 시 해당 기법 적용을 통해 보다 정확한 하천구역 경계 수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by Using Aerial Photo Images in Urban Area (항공사진 영상을 이용한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 취득)

  • 이현직;김정일;황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1
    • /
    • pp.27-36
    • /
    • 2003
  • Generally, the latest acquisition method of geo-spatial informations in urban area is executed by gener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nd digital ortho image by digital photogrammetry method which is used large scale photo image. However, the biggest problem of this method is coarse accuracy of DEM which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digital photogrammetry workstation system. The coarse accuracy of DEM caused geo-spatial information in urban area to reduce of accuracy. Therefore, this study is purposed to increase of DEM accuracy which is applied to method terrain classification in urban area.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posed method of this study which is increased to accuracy of DEM by classification of terrain is better than accuracy of DEM which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digital photogrammetry workstaion system. And, the edge detection method which is proposed by this study is established to capability of 3D digital mapping in urban area.

Building Identification for 3D Modeling of Urban Area (도심지 3D 모델링을 위한 동일건물 인식)

  • Sohn, Hong-Gyoo;Park, Jung-Hwan;Kim, Ho-S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453-457
    • /
    • 2005
  • 3차원 지형공간정보체계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도심지의 3차원 모델링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단색영상을 용하여 영역기반정합이나 형상기반정합을 실시하던 기존의 3차원 모델링 기법은 오정합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모델링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3D 모델링에 대한 접근법의 하나의 단계로서 컬러영상으로부터 경계정보와 색상정보를 활용하여 동일건물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계정보에 대해서는 보완된 Hausdorff 거리 개념을 사용하였으며, 색상정보에 대해서는 수정된 컬러 인덱싱 기법을 사용하였다 IKONOS영상을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 정보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는 두 가지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인식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Asphalt Road Boundary Extraction Using Shadow Effect Removal (그림자영향 소거를 통한 아스팔트 도로 경계추출에 관한 연구)

  • Yun Kong-Hyu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2 no.2
    • /
    • pp.123-129
    • /
    • 2006
  • High-resolution aerial color image offers great possibilities for geometric and semantic information for spatial data generation. However, shadow casts by buildings and trees in high-density urban areas obscure much of the information in the image giving rise to potentially inaccurate classification and inexact feature extraction. Though many researches have been implemented for solving shadow casts, few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about the extraction of features hindered by shadows from aerial color images in urban areas. This paper presents a asphalt road boundary extraction technique that combines information from aerial color image and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The following steps have been performed to remove shadow effects and to extract road boundary from the image. First, the shadow regions of the aerial color image are precisely located using LEAR DSM (Digital Surface Model) and solar positions. Second, shadow regions assumed as road are corrected by shadow path reconstruction algorithms. After that, asphalt road boundary extraction is implemented by segmentation and edge detection. Finally, asphalt road boundary lines are extracted as vector data by vectorization techniqu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is approach was effective and great potential advantages.

A Study for the Border line Extraction technique of City Spatial Building by LiDAR Data (LiDAR 데이터와 항공사진의 통합을 위한 사각 빌딩의 경계점 설정)

  • Yeon, Sang-Ho;Lee,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27-29
    • /
    • 2007
  • The visual implementation of 3-dimensional national environment is focused by the requirement and importance in the fields such as, national development plan, telecommunication facility deployment plan, railway construction, construction engineering, spatial city development,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The currently used DEM system using contour lines, which embodie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2-D digital maps and facility information has limitation in implementation in reproducing the 3-D spatial city. Moreover, this method often neglects the altitude of the rail way infrastructure which has narrow width and long length. There it is needed to apply laser measurement technique in the spatial target object to obtain accuracy. Currently, the LiDAR data which combines the laser measurement skill and GPS has been introduced to obtain high resolution accuracy in the altitude measurement. In this paper, we first investigate the LiDAR based researches in advanced foreign countries, then we propose data a generation scheme and an algorithm for the optimal manage and synthesis of railway facility system in our 3-D spatial terrain information. For this object, LiDAR based height data transformed to DEM, and the realtime unification of the vector via digital image mapping and raster via exactness evaluation is transformed to make it possible to trace the model of generated 3-dimensional railway model with long distance for 3D tract model generation.

  • PDF

The comparison of CFD result of wind condition around high-rise building in urban area with LIDAR measurement data (도심지 고층빌딩에서 LIDAR측정치와 CFD해석 결과 비교 검증)

  • Yoon, Seong-Wook;Jeon, Wan-Ho;Kim, Hyun-G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81.3-181.3
    • /
    • 2010
  • 최근들어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은 빌딩에 대하여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측정이 어려운 도심지 건물 군을 지나는 바람에 대하여 CFD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고층 빌딩 상공을 지나가는 바람장을 예측 하였으며, 예측 된 결과를 실제 측정치와 비교 검증하였다. 바람장 측정 방법은 마스트를 세워서 측정하는 방법, 풍동 실험실에서 축소된 모형에 대한 실험방법, PIV 측정방법, LIDAR, SODAR측정 방법 등 많은 방법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가장 정확한 측정 방법인 LIDAR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바람장이 측정된 장소는 서울 잠실 롯데 호텔 상공이며, 불어오는 바람은 롯데 월드를 중심으로 주변의 상가 건물들과 아파트 건물들 때문에 불안정하며 고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LIDAR 측정은 일정 기간 동안 이루어 졌다. CFD해석은 임의의 시간대에 대해서 주 풍향에 대해서 해석이 수행되었다. CFD 해석결과는 최종적으로 측정 데이터와 비교 검증이 이루어 졌으며, 두 데이터간의 일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 Prediction of Vehicle Emission in Urban Street Canyons (도심 거리 협곡에서 자동차 대기오염물질의 확산 특성 및 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 박성규;김신도;이희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65-166
    • /
    • 2003
  • 도심 도로변의 대기질은 주변의 고층 건물로 인한 거리 협곡으로 인하여 도시의 대기질에서 가장 빈번하게 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이다. 대부분의 대도시에서 고층 빌딩으로 구성된 도심 거리 협곡(urban street canyon)의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운전자, 보행자, 도로변 작업자, 자동차 승객 등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동차 대기오염물질은 지표면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거리 협곡은 배출원 인근의 대기오염물질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우선적으로, 거리 협곡은 협곡 상공에서 수직적인 혼합을 유도하게 된다. 둘째로, 거리 협곡의 형성은 협곡의 지형적 또는 물리적 경계 내의 오염물질을 정체시키게 되어, 협곡 상공으로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하여 오염물질을 수송하는 것을 지체시키는 경향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