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 교통

Search Result 1,88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patial Pattern of An Optimal Transportation Pricing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 of a local solution- (도시공간상에서 교통시설에 대한 최적가격(요금) 구조에 관한 연구 -부분 최적해의 결과-)

  • 정성용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65-88
    • /
    • 1994
  • 교통수요와 공급은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교통수요는 교통시설 서비 스수준 및 교통시설의 이용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교통시설 공급비용과 서비스수준은 교통수요에 영향을 준다. 또한, 교통수요와 공급간의 상호작용은 도시공간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교통시스템의 공간적 구조 및 도시의 공간적 특성은 공급, 가격 및 수요를 통합한 교통균형모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 개발된 교통균형모형에서는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및 교통체증의 도시공간상 변화가능성을 적절하 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상에서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변화패턴 을 반영한 수 도시공간상에서의 교통시설의 최적 서비스 수준, 교통수단별 최적요금체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단핵도시구조를 지닌 도시공간상에서의 최적버스요금은 통행거리에 따라 할증되는 체계를 가져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승용차에 대한 통행혼잡세 부과는 소득역분 배적인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버스의 요금구조나 서비스 수준이 최적수 준에서 제공된다면 통행혼잡세는 소득역분배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and Manage Urban Freeways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

  • 김태형;장명순;이광훈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1
    • /
    • pp.165-186
    • /
    • 1998
  • 선진 외국의 대도시에서는 도시고속도로의 원할한 교통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통류 관리기법을 도입.시행하고 있으며, 운영전략의 개발과 교통류 관리기법의 평가를 위한 다양한 모델을 개발.적용하고 있다. 서울시 도시고속도로의 경우에는 외국 도시고속도로의 교통류와 상이한 특성이 많아 기존에 개발된 모델의 적용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현재가지 실제교통류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어 적용되는 모델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교통류 관리기법을 선정하고, 각 기법별로 교통류 소통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국내 실정에 맞는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예측 모델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고속도로를 대상을 교통류의 현상을 잘 표현하며,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관리를 위한 기법의 개발 및 평가가 가능한 시뮬레이션 모델(KUFRE:Korean Urban Freeway Simulation Model)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

Analysis of Transportation Safety Policies among 81 Cities in Korea (도시별 교통안전정책의 시행효과 분석)

  • Kim, Chang-Kyun;Kim, Dong-Gun;Park, Yong-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3 s.74
    • /
    • pp.27-39
    • /
    • 2004
  • The previous studies on analyzing the effects of traffic safety policies are very limited. Implementing traffic safety policies in view of their own urban traffic characteristics would be fairly desirable to handle properly the traffic safety problems.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ffic accidents and traffic safety policies have been researched by classifying the eighty one cities in Korea into four groups in terms of the size of the city population. Statistical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for traffic accidents data and traffic safety policies, respectively. In order to mear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ffic policies in the real world, regression models have been developed by handling the accident data and policy data.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data, the traffic policies have showed different effec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ities. While budget investment policies had provided enormous influences to reduce traffic accidents in the big cities more than a half million polulation, traffic enforcement and traffic education have been so efficient to control traffic accident problems in the smaller cities less than a half million poluation.

지방도시의 도시철도 건설확충을 위한 접근방향

  • 이창운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3 no.4
    • /
    • pp.36-48
    • /
    • 2000
  • 자동차 위주의 노면 교통수단은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의 도시 교통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결국 경쟁력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개발이 오늘날 심화되고 있는 도시 교통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해법으로 판명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새로운 기술개발이 접목되고 있는 도시철도는 대기오염이 없고 에너지 절약효과가 있는 환경친화적 도시 교통수단이며. 이른바 '지속가능한(Sustainable) 도시발전에 적합한 도시 교통수단으로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하겠다. (중략)

  • PDF

A SEQUENTIAL LAND USE / TRANSPORTATION MODEL WITH EXTERNALITIES : LINKING THE DYNAMIC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URBAN SPATIAL STRUCTURE (도시토지이용과 교통에 관한 연속적 모형 : 지역경제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 접근)

  • 서종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2
    • /
    • pp.19-42
    • /
    • 1995
  • 1980년대 후기부터 교통정책의 우선 목표는 지역경제성장 자체가 교통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관리 중시의 정책은 다시 토지이용 정책으로 변화를 초래하엿다. 오늘날 대도시는 개개 졍제활동 주체들의 동적인 경제 행태에근거하여 분산구조를 띠고 있다. 이러한 동적인 경제행태에 미치는 요소들은 교통체계와 토지이용과 상호연관성의 연구에 필수적인 지가, 인구분포, 통행행태등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단핵도시 모형은 대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동적인 과정을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의 변천과정을-도심 및 부심의 출현·소멸현상-설명함으로써 도시교통정책 필수적인 입지와 통행패턴에 대한 새로운 동태적 이론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경제 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관계를 통합하는 토지이용과 교통의 연속 모형을 개발·응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교통량에 따른 교통비용, 도시공간구조로 인한 외부효과들, 경제활동주체들의 비동질성, 이주비용, 그리고 집적 이익등이 매기마다 내생적으로 결정되어 대도시의 공간구조 변화를 설명한다. 경제 호라동주체들간의 ? 호물리적 교류는 소득 증대에 의하여 경제구조가 변함에 따라 새로이 결정된다. 가상적 도시와 자료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비동질적인 경제주체들의 불균형적 성장이 장기적으로 도시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기본적인 경제행위에 따라 장기동태적인 과정을 통하여나타나는 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통비용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실용성을 검정하였다.

  • PDF

A Spatial Analysis of Transit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for Developing Transit Oriented Urban Environments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의 개편을 위한 역세권 도시공간구조 분석)

  • Park, Se-Hoon;Sohn, Dong-Wook;Lee, Jin-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1D
    • /
    • pp.111-120
    • /
    • 2009
  • Restructuring urban land use patterns from the motor-oriented to transit-oriented ones is a contemporary trend in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It is expected that transforming urban land use patterns to be transit and walking friendly would resolve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heavy energy consumptions, air pollutions, and traffic congestions. Korean cities have much potentials for developing transit-oriented urban environments in terms of its density and civil service levels, but the level of transit usage levels and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cities are not good enough for supporting such tran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rban transit center areas and identify the problems to be solved to create transit-oriented urban environments. Case studies of four urban transit center area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transit center areas and identify their problems. Development density, land use diversity, walk-ability and transit connectivity were the primary feature of interests.

교통 환경의 문제와 정비 방향(도시 내 교통을 중심으로)

  • 서사범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3 no.3
    • /
    • pp.22-38
    • /
    • 2000
  • 아시아 지역을 비롯한 세계의 신흥 대도시에서 급격한 경제 성장에 따른 도시로의 인구 집중이나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대기오염이나 교통 체증ㆍ교통 사고 등의 교통환경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인간의 생활환경까지 파괴되어 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자동차 교통의 생활 환경면에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하여 지적함과 동시에 외국 등에서의 대책 사례 등을 소개하여 앞으로의 도시 교통에 대한 본연의 모습을 고려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1, 2].(중략)

  • PDF

Development of Urban Freeway Traffic Simulation Model (URFSIM-1 :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 강정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85-103
    • /
    • 1997
  • 국내 도시교통에서 도시고속도로가 차지하는 비중은 급증하고 있으나 이의 효율적 인 운영은 아직 초보수준인 실정이다. 도시고속도로의 운영전략이나 기하구조 설계대안을 개발·분석·평가하는데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나 외국에서 개발된 모형 을 국내에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현실에 적합 한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속 교통류 모 형의 개발, 모수추정 방법의 제시, 컴퓨터 코딩, 모형평가의 세부작업이 수행되었다. URFSIM-1은 각 구간에서 통행목적지별 차량 수를 추적할 수 있는 통행수요모형 기능에 구 간내 이동을 동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거시적 교통류 모형을 결합한 것을 기본 교통류 모형 으로 채택하고 있다. 비선형 최소 자승법에 의해 교통류 모형 모수와 O-D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유고상황을 가상한 정성분석과 미국 도시고속도로에서 수집 한 현장자료를 이용한 모형의 평가를 시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