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환경변화

Search Result 1,49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Analysis for Urban Change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GIS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의 변화량 분석)

  • Shin, Ke-Jong;Yu, Young-Geol;Hwang, Eui-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4
    • /
    • pp.73-80
    • /
    • 2005
  • The domestic Remote Sensing field uses mainly Landsat TM image that is used to the monitoring of the wide area.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e land cover change of rural and urban area by time series using satellite images and is proposed the vision for a urban balanced development. It execute an analysis for urban change which is a fundamental data of city planning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spatial analysis technique of GIS and Remote Sensing using satellite data.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in Mt. Kwanak (관악산의 식생구조 특성과 변화 연구)

  • Jang, Jae-Hoon;Han, Bong-Ho;Lee, Kyong-Jae;Choi, Jin-Woo;Noh, Tai-H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7 no.3
    • /
    • pp.344-356
    • /
    • 2013
  •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the 22 year consecutive study (1972~1993) to monitor community dynamics of forest in Mt. Kwanak.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urban forest management in the future by analyzing actual changes in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in Mt. Kwanak caused by urban environmental changes. For the past 39 years (1972~2010), average temperature increased by approximate between 1.1 and $1.7^{\circ}C$ and soil acidification (pH $5.40{\rightarrow}4.50$) and contents of $K^+$ ($0.67{\rightarrow}0.25$) and $Ca^{{+}{+}}$ ($3.20{\rightarrow}0.87$) apparently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analysis importance percentage and DBH class of community types classified based on DCA, the succession stopped at Quercus mongolica for 39 years. In addition, the succession was expected to be held at Q. mongolica or to shift from Pinus densiflora to Q. mongolica and from Q. acutissima to Q. serrata. Size of trees growing in forest of Mt. Kwanak increased but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of trees showed a downward trend for the 39 years and Styrax japonica and Sorbus alnifolia, which are indicator species, increased their dominance continuously. Decrease in contents of $K^+$, $Ca^{{+}{+}}$, and $Mg^{{+}{+}}$ and soil acidification for the past 39 years was found to affect degradation of vegetation structure in Mt. Kwanak.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concentration at Korean rural area. (우리 나라 청정 지역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특성)

  • 차주완;윤용훈;최재천;김정식;방소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20-321
    • /
    • 2000
  • 기상청 기상연구소에서는 기후변화 및 대기질 감시를 위한 충남 안면도(위도36$^{\circ}$.32', 경도 126$^{\circ}$.19')에 지구대기감시관측소를 설치하여 상시적으로 우리나라 청정지역에 대한 대기질을 관측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정대기지역에서 대기질 특성을 관측함으로서 도시 지역과 차이를 밝혀 우리나라 청정지역에서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항상 모니터링하고 또한 도시 기후의 변화를 감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하고자한다. (중략)

  • PDF

Analyzing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vegetation growing season length using Google Earth Engine (Google Earth Engine 기반 도시화에 따른 식생 생장기간 변화)

  • Sohn, Soyoung;Kim, Jihyu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8-198
    • /
    • 2022
  • 최근 도시화에 따른 토지 피복 변화와 열섬현상 등의 원인으로 상승하는 도시의 기온이 식물 계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 내 열섬현상으로 인한 기온 상승과 도시 지역 내 식생 생장기간 변화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식물계절 모니터링에 사용한 개량식생지수(Enhanced Vegetation Index, EVI)는 Google Earth Engine (GEE)에서 제공하는 30 m 해상도의 2000-2021년 NASA-USGS Landsat 위성(TM5, ETM+7, OLI8)의 지표면 반사율(surface reflectance, SR) 자료에서 도출하여 생장기간 산정에 사용하였다. 또한 PRISM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을 각 기상관측지점의 일별 지상 기온 자료에 적용하여 30 m 해상도로 생성한 격자형 지표면 온도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지역 내 도시화 정도(magnitude)를 도심으로부터의 거리와 환경부 토지피복도 및 인구 밀도를 종합하여 특정하였고,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및 도시화 정도와 생장기간 변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비선형 로지스틱 회귀를 사용하여 EVI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수도권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식물계절 개엽일(Start of Season)은 앞당겨지며 낙엽일(End of Season, EOS)은 늦춰져 생장기간(Length of Growing Season, LOS)이 길어짐을 발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the healthy urban water cycle (건전한 도시물순환의 정의에 대한 연구)

  • Kim, Hyeonju;Khatatbeh, Arwa;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6-476
    • /
    • 2021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율 증가는 자연 물순환을 왜곡시켜 표면 유출량 증가, 침투량 감소, 증발량 감소 등을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도시화로 인한 인구밀도 집중은 배출오염물질의 평균 농도와 물 사용량을 증가시켜 인공 물순환의 왜곡을 초래한다. 왜곡된 물순환의 회복을 위해 건전한 도시 물순환의 정의를 정립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물순환과 관련된 문헌조사와 평가 분석 방법을 검토하여, 건전한 도시 물순환을 지속가능성, 공평성, 안전성, 효율성 측면에서 시간, 공간, 이해관계자들이 균형을 이루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과거와 현재 상태, 그리고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 적용 시 어떤 변화가 있으며, 이에 따른 물순환 관리체계가 확보될 수 있는 모습, 공간적 측면에서 물의 수평적·수직적 이동이 치우침이 없는 모습, 수요자 입장에서 가뭄이나 홍수로 인한 재산·인명 피해가 최소화된 모습, 공급자 입장에서 수량·수질 관리체계가 확보된 모습을 각각 지속가능성, 공평성, 안전성, 효율성으로 정의 내렸다. 도시 물순환의 적절한 상태를 제안하기 위해서 도시 물순환의 지표로 증발산율, 지표수유출률, 지하수유출률, 침투율로 선정하였다. 앞서 언급한 네 가지 측면(지속가능성, 안전성, 공평성, 효율성)에서의 모습과 네 개의 지표 상태를 비교하여 균형 잡힌 도시 물순환의 상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정의에 제시된 네 가지 측면에 대한 하위 항목은 WAMIS, KOSTAT 등을 통해 조사하고 국내 주요 도시와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 정책 설립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수문학적 관점에서 건전한 도시화의 방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도시개발 전후 수리지질학적 변화 특성 조사를 위한 시험 유역 설정

  • Seo Min-U;Kim Hyeong-Su;Jang Gwang-Su;Kim Jeo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342-345
    • /
    • 2006
  • 도시로의 인구 유입과 이로 인해 요구되는 도시 개발은 자연에 환경적 및 수리수문학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도시화는 산림이나 농경지와 같은 투수지역을 건물, 도로 등의 불투수지역으로 변화시켜 홍수파의 도달시간이 줄어들고 첨두 유량이 증가하여 수문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 소재 관평천 일대 도시화 진행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도시화 진행 초기부터 도시화 및 불투수층 증가가 인근 소하천 유출량과 시험 유역의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기간에 걸친 모리터링 계획을 수립하고 관측을 시작하였다.

  • PDF

열정! 건설현장을 찾아서 - 철저한 안전관리로 쾌적한 안전도시 춘천 조성, 코오롱글로벌 춘천시 하수관거정비 임대형민자사업현장

  • Yeon, Seul-G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82
    • /
    • pp.16-18
    • /
    • 2013
  • 강원도 춘천시에 최근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우 오수관로를 신설하고 재정비함으로써 하수관거의 기능을 개선하고 하수처리장의 운영효율을 증대시키는 공사가 대대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2015년 1월, 이 사업이 완료되면 춘천시는 방류 수역 수질개선으로 악취가 저감되고 쾌적한 환경이 조성되는 등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효율적인 하수관 유지보수체계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사실상 더욱 살기 좋은 춘천시의 등장이 임박한 것이다. 이런 행복한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는 주인공은 바로 '코오롱글로벌'이다. '코오롱글로벌 춘천시 하수관거정비 임대형민자사업현장'은 춘천시를 전국 제일의 행복도시로 만들겠다는 신념으로 시공에 임하고 있다. 때문에 공사의 품질을 좌우하는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철저한 안전관리를 통해 춘천을 최고의 주거환경을 갖춘 도시로 변화시키고 있는 이곳 현장을 찾아가 봤다.

  • PDF

Urban Resilience of Seoul: Evaluation and Implication (서울시의 도시회복력(urban resilience) 평가와 시사점)

  • Oh, Se-Eun;Nam, Haun-Jung;Shin,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4-355
    • /
    • 2017
  • 사회 정책환경 변화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안전문제가 대두되면서 기존의 시설물 안전 분야 외 다양한 안전이슈가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의 안전을 위협하는 급성 충격뿐만 아니라 도시전반에 걸친 잠재적 위협과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하여 100RC(100 Resilient Cities)에서 제시한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도시를 위협하는 재난 사고 및 도시압박요소, 정책환경요소에 대해 평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서울시의 달라진 도시안전 여건과 정책환경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중장기 정책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dsorption Studies on Carbon Molecular Sieves Prepared From Metal Impregnated Coconut Char (금속담지 야자탄으로 제조된 탄소분자체의 흡착 특성 연구)

  • ;;;;;;S.Vijayalakshm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63-67
    • /
    • 2002
  • 우리나라는 1970 년대부터 급속한 경제발전과 더불어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소비 성향의 변화 및 인구의 도시집중화현상 등으로 도시 쓰레기의 배출의 변화가 나타나서, 배출된 쓰레기의 양은 매년 증가되는 추세이다. 또한 배출된 쓰레기의 80% 이상을 단순 매립에 의존하는 처리방식이므로(환경부,1995), 유기성 폐기물이 혐기 소화되면서 다량의 가스와 침출수를 발생시켜 주변 지역의 자연 및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현실이다.(중략)

  • PDF

Monitor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ir at the Hyuldong-Li landfill in Chunchon-Shi (V) : Annual variation of VOC in 1999 and comparison of analytical column (춘천시 혈동리 쓰레기 매립장 주변 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 1999년 농도 변화와 분리컬럼의 비교)

  • 서영민;박춘옥;정영림;김만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82-283
    • /
    • 2000
  • 급속한 경제 발전과 인구증가, 일회용품의 증가 둥 사회구조가 대량생산, 대량소비 형태로 변화되면서 폐기물의 처리가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었다. 도시 생활폐기물의 대부분이 매립 처리되고 있지만, 환경부에서는 매립처리의 비율을 줄이고 2001년까지 소각처리 비율을 25%로 늘릴 계획이다. 1997년에는 도시 생활 폐기물의 63.9%가 매립 처리되고 7.1%는 소각 처리되었으며, 29.0%가 재활용되었다(환경부, 1998). 한편 1995년부터는 쓰레기 종량제의 도입으로 도시쓰레기의 27%가 줄어들었고 재활용되는 쓰레기의 양이 35% 정도 늘어났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