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확장강도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patial Relations of the Urban Expansion Intensity and Flooded Buildings (도시확장강도와 건물침수의 공간적 관계성)

  • Kang, Sang Jun;Kwon, Tae J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4
    • /
    • pp.759-764
    • /
    • 2017
  • The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e spatial relations between flooded buildings and urban expansion phenomena by employing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and hotspot analysis methods for the case of Gangneung. Two major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flooding susceptible areas are found in the regions where the highly intense development occur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o called pseudo-urbanization. Second, less flooded buildings exist in old towns whe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the lack of urban infrastructure services. This study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highly intense development and pseudo-urbanization with a relatively short time period relate to flooded building event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leads to another issue that new developments might be increasing the flooding vulnerability worse than before, particularly, to the adjacent old town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it is desirable to have further related case studies in the near future.

Flooding Risk under Climate Change of Fast Growing Cities in Vietnam (베트남 급성장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홍수재해 위험성 분석)

  • Kim, So Yoon;Lee, Byoung Jae;Lee, Jongs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3 no.2
    • /
    • pp.1-9
    • /
    • 2020
  • Vietnamese cities have a high risk of flooding under climate change due to thei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ituation, the urban area is expanding with rapid growth of urban population. However, the risk of flooding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impermeable areas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This study analyzed the urban expansion trend at the national level in Vietnam for the past 10 years (2007-2017) by using the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Also, this study selected Hue City as a region with a larg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a rapid expansion and found the possibility of flooding in the urban expansion area. The result showed that cities have been expanded around major cities in the Red River Delta, Mekong Delta, and coastal areas. In the case of Hue City, the area with fast expansion rate has a higher expected flood area. It implies that the risk of flood disasters may increase if the urabn expansion is carried out without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It is expected that Korean urban disaster prevention policies such as urban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will be helpful in establishing urban plans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the fast growing regions such as Vietnam.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rainfall pattern and runoff response in Andong-dam catchment (안동댐유역의 강우패턴과 유출반응의 관계 분석)

  • Kim, Nam Won;Shin, M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1-361
    • /
    • 2018
  • 강우패턴이 유출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수문연구에서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며 댐유역에 대해 기상 및 유출자료를 사용하여 이를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이수기에 필요한 수자원을 예측 및 확보하는 것은 중요하다. 강우패턴이 유출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댐유역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많은 유출관측지점의 자료를 사용해야 하지만 상류의 소유역들은 대부분 미계측유역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공간확장 방법을 사용하여 미계측유역의 유출자료를 생성하고 이 자료들을 분석함으로써 강우패턴이 유출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먼저 안동댐유역내 관측유역인 안동댐, 도산, 소천유역을 대상으로 1989년부터 2009년까지의 기간 중 20개의 사상에 대하여 분포형 모형인 GRM 모형의 적용성을 조사하였으며 전반적으로 0.5 Nash-Sutcliffe 계수 이상의 타당한 모형효율성 결과를 얻었다. 그 후 자료공간확장 방법을 사용하여 안동댐 상류에 위치한 47개의 미계측 소유역들의 유출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세 관측유역을 포함한 총 50개 유역의 유출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총 50개 유역의 평균강우량 시계열 자료를 생성하고 이동평균방법을 사용하여 이 평균강우량 자료를 강우강도-지속시간 곡선으로 변환하였다. 강우패턴과 유출반응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합리식의 유출계수와 강우강도비율을 사용하였으며 유출계수와 강우강도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유역별 도달시간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강우강도비율은 강우강도지속시간 곡선을 사용하여 첨두강우강도를 도달시간에 해당하는 평균강우강도로 나눠준 값이다. 그리고 이 유출계수와 강우강도비율을 유역면적에 대해 도시함으로써 그 경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개 사상은 유출계수, 강우강도비율과 유역면적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타당한 네 가지의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 네 가지 타입은 강우의 이동 및 분포와 상관이 있었는데 첫번째 타입은 안동댐 유역전체에 강우가 거의 등분포하는 경우, 두 번째는 강우가 유역의 상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세 번째는 강우가 유역의 하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리고 네 번째는 강우가 유역에 무작위로 분포하는 경우였다. 이것은 어떠한 사상에 대해서도 유출계수와 강우강도비율을 유역면적에 대해 도시함으로써 강우패턴과 유출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 네 가지 타입에 대한 강우사상들의 비율은 각각 65%, 20%, 10%, 그리고 5% 였다. 이 타입별 강우사상의 비율은 향후 강우-유출관계에 의한 수자원 예측 및 확보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According to Urban Expansion Pattern and Morphological Features - Focused on Seoul and Daegu - (도시의 공간 확장 및 형태적 특징에 따른 산림녹지의 변화 분석 - 서울, 대구를 중심으로 -)

  • Ryu, Jieun;Hwang, Jinhoo;Lee, Junhee;Chung, Hye-In;Lee, Kyung-il;Choi, Yu-Young;Zhu, Yongyan;Sung, Min-Jun;Jang, Raeik;Sung, Hyun-Chan;Jeon, Seongwoo;Kang, Jin-Y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3 no.5_3
    • /
    • pp.835-854
    • /
    • 2017
  • Government regulations and policies are important means of restraining the indiscreet expansion of urban areas. According to the standards from those means, it is clear that the fluctuation of forest green proportion encroached by the increase of urban space is obvious. In this study, we interpreted the changes of urban areas as well as the green ones owing to the urban expansion by the decades from 1996, with focusing on the cities of Seoul and Daegu highly developed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expans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land cover using not only satellite imageries (1996, 2006, 2016). but also the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UEII) and GUIDOS program. Ultimately,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rate of forests due to urban expansions annually analyzed based on areas of forest elevation, slope, and the area of single forest patch. In Seoul, the expansion begun from urban space to suburban areas was comparatively rapid, which led the forest fragmentation and the gradual decline of the single patch. However, when it comes to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slope above a certain standard, by the development regulations, there was little decrease in area by anthropogenic developments. The city of Daegu has increased at a slow speed since 1996 in urban and suburban areas, whereas green forests have greatly increased through green forest conservation campaigns. In this way, as to the government policies and regulations, the quantitative and morphological expansion of cities owing to development could be controlled and forest spaces could be preserved as well. Therefore, regulations and policies by the government should be appropriately utilized for sustainable citi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ellular Automata based urban inundation model CA-Urban : City of Portland case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CA-Urban 모형의 개발 및 침수해석 평가: Portland 도심 적용 사례)

  • Songhee Lee;Hyeonjin Choi;Hyuna Woo;Seong Jin Noh;Sang 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4-334
    • /
    • 2023
  • 도시침수는 사회 기반시설에 파괴적인 영향을 끼치고, 재산 및 인명 피해의 원인이 되므로, 고해상도 고정확도 예측 정보를 활용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 강도의 증가, 도시의 확장 및 고밀화 등 토지피복 변화, 홍수방어시설의 노후화 등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도시침수의 정확한 재현 및 예측은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천수 방정식(Shallow Water Equations)을 기반으로 하는 물리과정 모형은 신뢰도 높은 예측 결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Courant-Friedrichs-Lewy 조건 등의 제약으로 인해 대규모 도시 지역의 고해상도 실시간 예측에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연산 규칙의 중첩을 통해 복잡계 물리 시스템을 모의하는 셀룰러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CA) 기술에 기반한 도시침수 해석 모형인 CA-Urban을 개발하고, 미국 Oregon 주 북서쪽에 위치한 Portland시의 도심지역에 대해 침수해석의 적용성을 평가한다. 세부적으로는, 기존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침수해석알고리즘의 수치 진동(Oscillation) 문제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안정성 향상 방법인 셀 간 최대유량 제한, 가중치 적용 기법, 모형의 계산 효율성 향상을 위한 최적 적응 시간 단계 기법(Adaptive time step)의 적용 결과를 소개한다. 또한, 침투 및 증발산 등 물순환 요소 해석 모듈의 개발 성과 및 방향에 대해서 토의한다.

  • PDF

Revisiting Suburban Developments: Urban Evolution and Its Implication to Planning (교외개발의 재조명: 도시의 진화와 계획으로의 함의)

  • Kang, Sangj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3
    • /
    • pp.161-172
    • /
    • 2022
  •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urban evolution characteristics through suburban development cases considered as a contemporary urban issue. Methods are (1)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UEII) for the 9 cities in the Korea (1980-2010) & 49 cities in the US, (2) Morphological Spatial Pattern Analysis(MSPA) and Entropy for the developed areas in the Chicago Metro (2019). Results are (1) a suburban development could be understood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region might be appeared to be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its sub-cities. Implications are (1) Suburban expansion can be understood as a functionally well served urban change phenomenon and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functions of sub-level cities, (2) the urban evolutionary perspective makes a difference from the developmental growth perspective. The extensive empirical studies will be beneficial for better understating of urban evolution.

Basic study on the change in the flow patterns by considering shapes of city districts (시가지 형상에 따른 흐름 변화 기초 연구)

  • Rhee, Dong Sop;Seong, Ho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2-222
    • /
    • 2020
  • 급격한 기후변화와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도시지역의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중 45%가 극한 강우 또는 홍수로 인한 재해로 확인되었으며,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도시화 추세로 인해 도시지역의 홍수피해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UNISDR, 2016). 기후변화 및 도시화로 인한 도시지역의 홍수피해가 증가하면서 시가지 건물 배치 및 도로망과 같은 복잡한 지역특성이 침수에 주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도시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할 경우 복잡한 도로망은 배수로 역할을 하며 건물의 밀집도와 배치는 골목길 등에서 침수심을 증가시켜 안전한 구역이 좁아지는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복잡한 시가지를 특성화하여 분석 할 수 있도록 이상화된 시가지 모형을 설계하고 제작한 후 유량에 따른 흐름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기초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강도에 따른 유황 변화와 연계할 예정이다. 기초 실험 수행을 위하여 먼저 건물 배치 밀집도를 고려하여 주거구역을 불록화하여 직선형의 이상적인 도시지역의 시가지 모형을 설계한 후 실험 모형을 제작하였다. 하천 범람으로 인한 침수발생을 재현하기 위해 상류 도로망에서 유량이 유입되도록 제작하였으며, 유입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시가지 내부 침수 흐름은 LSPIV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입조건에 따른 시가지 내 침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형적 경사 특성에 의해 시가지 내부에서 흐름이 가속되며, 모형의 사거리 구간에서는 흐름 유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흐름이 합류하는 경우에는 합류 흐름이 유속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합류 이후 유속이 증가하면서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the Surface Urban Heat Island Changes according to NewTowns Development and Correlation with Urban Morphology (신도시 개발에 따른 표면 열섬현상 변화분석 및 도시 형태와의 상관관계)

  • Kyungil L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3
    • /
    • pp.921-932
    • /
    • 2023
  • Land cover change due to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urban expansion can caus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urban heat islands. In particular, New towns are considered an appropriate study site to analyze changes in urban climate due to rapid urbanization in a short period. This study used Landsat satellite image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land cover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wo new towns with different plan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surface urban heat island (SUHI) phenomena.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between urban structural features that may affect the SUHI intens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 the rapid change in land cover as new town development progresses and the direct intensification of the SUHI phenomenon. This study confirms the differences in SUHI caused by different urban plans and suggests the need for three-dimensional urban planning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of storm effects on floods using runoff coefficient (유출계수를 이용한 호우가 홍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Nam Won;Shin, M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5-265
    • /
    • 2016
  • 호우가 홍수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은 수문현상을 이해하고 수공구조물을 설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다. 호우가 홍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독립된 소유역부터 비독립된 대유역까지 홍수량을 계산하고 그 상관성을 이해해야 하지만 상류쪽의 소유역의 경우 관측자료의 부재가 빈번하여 이러한 전반적인 분석이 쉽지 않다. 그리고 소유역과 대유역의 홍수특성을 연관지어 분석하기 위해서는 비교가능한 홍수특성을 추출해야 하며 이러한 일관된 잣대를 사용한 홍수분석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의 자료부재를 보완하기 위해 자료공간확장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하여 안동댐 유역내 총 50개 지점의 홍수 시계열자료를 생성하였다. 자료공간확장 방법으로써, 안동댐유역의 1989년부터 2009년까지의 자료의 질이 좋은 20개의 사상을 추출하였고 안동댐유역 내에 위치한 안동댐, 도산, 소천의 수위관측지점의 관측유량자료에 대해 분포형 모형인 GRM 모형의 매개변수를 시행착오법으로 동시에 보정하여 한 개셋의 최적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이때 모의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Nash-Sutcliffe (NS) 계수를 사용하였으며 20갯 사상의 세군데 관측수위지점에 대해서 모의결과가 전반적으로 0.5 NS 계수 이상으로써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 추정된 매개변수는 47개의 추가적인 관심지점의 유출모의에 사용되었으며 이렇게 모의된 유출시계열 자료는 관측시계열 자료로 가정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공간확장되어 생성된 시계열 자료는 이동평균방법을 사용하여 홍수강도-지속시간 곡선으로 변환되었고 50개 유역의 평균강우량 시계열 자료 또한 같은 밥법을 사용하여 강우강도-지속시간 곡선으로 변환되었다. 50개 유역의 비교가능한 일관된 홍수특성을 추출하기 위해 비유량법의 유출계수를 계산하였다. 유출계수를 계산하기 위해 유역별 도달시간을 계산하였으며 이 도달시간에 해당하는 강우강도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유역별 첨두 홍수강도를 유역별 도달시간에 해당하는 강우강도로 나눠줌으로써 유역별 유출계수를 계산하였고 이 유출계수를 유역면적에 대해 도시함으로써 그 경향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유역면적이 $100km^2$ 이상으로써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유역이 중첩되면서 증가하는 비독립적인 유역들의 경우 유역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계수가 작아지거나 커지는 어떠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유역면적이 $100km^2$ 이하로써 독립적인 소유역의 경우 유역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계수는 무작위로 분포되었다. 이것은 비독립적인 유역의 경우에는 호우가 홍수에 어떠한 일관된 영향을 미치나 각각 독립된 소유역의 경우에는 일관된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지역화방법에 의한 독립된 인근 미계측유역의 유출추정은 그 신뢰성이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Urban Watershed Runoff Analysis Using Urban Runoff Models (도시유출 모형을 이용한 도시화 유역의 유출 해석)

  • Jeong, Dong-Guk;Lee, Beom-Hu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1
    • /
    • pp.75-85
    • /
    • 2003
  • Urban rainfall-runoff procedures are more complex than the agricultural procedures due to the spreading and development of town. And the applications of theses models are more difficult due to the change of real basins. In this study, I applied SWMM and Expert System to get runoff characteristics of an urbanized basin. Noen in Daejeon is selected as a study basin. Real basin data of facilities, rainfall, runoff, and various rainfall intensity equations are used. An Expert System is used to get the parameters of this model.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analyze the reaction tendencies of the urban basin with the time distributions of design rainfall and the urb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