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집합주거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 Examination on the Improvement of Urbanity and Neighborship through the Provision of Collective Housing based on Small and Medium-sized Blocks (중·소블록 기반 집합주택 보급을 통한 도시성과 근린성 제고(提高) 방안의 고찰)

  • Lim, Jae He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495-502
    • /
    • 2023
  • If traditional Korean villages or residential districts have formed a community on the ground of coexisting with nature, there is a different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in which many European cities have created residences for multi households on the basis of roads and blocks in fortresses. Along with the modernization of society together with large-scale housing supply, the urban landscape of series of large apartment complexes has become universal views of our urban structure; thus, the viewpoint that small and medium-sized block-based collective housing, which are more common urban structures in European cities can be linked to the improvement of urbanity and neighborship is examined. Through the proces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collective housing supply based on small and medium-sized blocks as an alternative method other than complex-type apartments based on superblock, I would like to make meaningful in terms of how we can change the fundamental mutual relationship with our lifestyle and the tangible change of collective housing types which has large impact on our lives.

The Deployment of Dutch Collective Housing Types and Case Study of Contemporary Perimeter Block Housing (네덜란드 집합주택유형의 전개와 현대 블록형 집합주택 사례 연구)

  • Lim, Jae He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5
    • /
    • pp.525-534
    • /
    • 2022
  • The supply of housing can be understood through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rbanization phenomenon.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many cities have implemented systems and policies for housing supply due to population concentration in cities, poor housing quality, and lack of housing. In the case of the Netherlands, the Housing Act was enacted in 1901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uring the period when the population was concentrated in the city, and various efforts were made to expand the housing supply. Through this process, we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collective housing types in the Netherlands and analyze the application stages of contemporary residential housing planning in Rotterdam and Amsterdam.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experience of Western society, we examine how to view the problem of multi-family housing types in our society, where the proportion of apartm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odel Development from Traditional Han-ok to Urban Clustering Housing Model in Korean Context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 가능성 연구)

  • Shon, Seung-Kwang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9 no.3
    • /
    • pp.71-81
    • /
    • 2008
  • A traditional Korean housing is a typical type which is contained life style, spatial organization and scape element of people who lived in Korea. In the hanok, people want to be live not only in human environment and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modem urban housing as a high density. This article deals as follows: First, Hanok as urban housing would be composed in a housing lot, linear type layout, devide building, and cluster type. Second, Housing unit and configuration of Multi family housing can be used single story, second story, second story + single story, multi story and Hanok roofing. Thirds, structure of the building are traditional wooden, combined one of steel and wood or concrete and wood, and the building system in exterior and interior can be seperated into another system. Forth, Image of multi story Hanok A last, consistency of Hanok is not a repeat of an origin but application and creative aptitude of the origin, and multi family housing application of Hanok can be a trial creative.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09-(완)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3 s.431
    • /
    • pp.62-75
    • /
    • 2005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4)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0 s.426
    • /
    • pp.65-71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5)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1 s.427
    • /
    • pp.100-108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1)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7 s.423
    • /
    • pp.86-92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Donald I. Grinberg)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6)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2 s.428
    • /
    • pp.82-92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07)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 s.429
    • /
    • pp.72-80
    • /
    • 2005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