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중심성

Search Result 1,46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Efficient Urban Planning by Sharing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지적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효율적 도시계획입안에 관한 연구)

  • 김감래;최원준;임건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509-512
    • /
    • 2003
  • 도시계획정보는 토지의 사회경제적 이용 가능한 잠재성을 보여주는 반면에 지적정보는 주로 법적 측면에서 토지정보를 다루고 있다. 지적정보시스템은 지적분야의 고유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많은 다양한 정보를 다른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이용, 고부가가치의 정보를 생산하거나 의사(정책)결정을 지원하는 다목적시스템으로 진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지적정보와 도시계획정보의 교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두 정보분야의 이질적 요소를 제거하지 않고는 정보공유가 불가능하다. 도시계획과 지적분야의 정보공유를 연구의 중심으로 하여 특히 지적분야의 구성요소를 토지계획분야에서 원하는 정보로 변환, 사용하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Spread Risk Asessment according to the Eaves Conditions and Building Arrangement (건물의 인동거리 및 처마조건에 따른 화재확대 위험성 평가 실험)

  • Shin, Yi-Chul;Koo, In-Hyuk;Hayashi, Yoshihiko;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536-541
    • /
    • 2010
  • 최근 도시화, 산업화 등으로 인하여 인구 및 도시시설이 밀집되어 자연적 재해 및 인위적 재난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오래된 시가지와 고지대주거지를 중심으로 재난에 무방비한 장소들이 존재한다. 이는 급속한 도시화 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도시기반시설이 정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질서한 도시팽창이 이루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도시화재 발생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시화재의 물리적 연소성상 예측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건물간격에 따른 유풍시에 개구분출화염의 성상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U-City Service Demand Research (U-City 서비스 수요조사에 관한 연구)

  • Jo, Yong-Jun;An, Seong-Ju;Chang, Jeong-He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5a
    • /
    • pp.219-222
    • /
    • 2010
  • 최근 도시기능의 효율성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새로운 혁신 도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U-City 건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U-City 구현을 위한 인프라 및 요소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서비스, 공간 등에 대한 연구와 상호 호환 및 연동에 대한 기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도시민의 수요와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서비스 제공과 개념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비스가 중복 개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U-서비스의 과다한 중복생산을 지양하고, U-City에 거주하는 도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시민친화적 서비스를 도출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민의 요구를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항목을 도출하였고, 서비스 제공의 우선순위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U-서비스 도입시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결과의 타당성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Low Impact Development in Urban Flood Prevention Sector (도시홍수방재분야에서의 저영향개발(LID) 도입사례 분석)

  • Hyung, Jin-Sun;Park, Sung-Je;Ryu, S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24-828
    • /
    • 2012
  • 지난 2011년 7월 100년만의 폭우로 인해 서울 도심 및 강남지역 대부분이 침수되어 도시 수재해의 취약성이 드러났으며 토석류의 위험성 또한 부각되었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홍수의 빈발로 인해 예경보시스템이나 수문 관리 수준의 방안으로는 강수량의 시간적 공간적 양적 변화에 대비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ID을 이용한 선진국의 빗물관리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도시홍수방재분야에 LID개념을 확대 적용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도시홍수방재분야에서 빗물관리계획의 방향설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재해에 강한 국토 만들기'로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treet Environment image Identification - Centering on developmental examples and design factors for establishment of city image identity of Gwang-ju - (가로환경의 이미지 정체성 수립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정체성 수립을 위한 디자인요소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 윤봉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3
    • /
    • pp.83-92
    • /
    • 2002
  • In the 21st century, as localization is reinterpreted as an important part of globalism and as local culture is recognized as a device to increase the competitive power, every city is trying to develop its identity and improve its image while coping with change of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environment. Therefore, basic research was preformed to establish the city image identity of Gwangju and as a result, an ideological slogan " City of Light and Life, Gwangju" and basic factors were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dition of the city, focusing on design factors that the city image is comprised of, and establishes a long-term strategy for urban environment development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the city. and focuses on case studies for establishment of an image suitable for Gwangju.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urban environmental development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were applied to Gwangju. From the results, further studies can be pursued according to a long-term strategy. strategy.

  • PDF

A study on the Aesthetics Factor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 Focused on Resting Places and Their Related Facilities - (스트리트 퍼니처(Street Furniture)의 심미성요소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휴게공간과 관련된 시설물을 중심으로 -)

  • 형성은;홍정표;양종열;이상락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4
    • /
    • pp.15-24
    • /
    • 2001
  • If environmental aesthetics contains the whole area of grand beauty of nature and the meaning of the urban landscape, the urban landscape is defined 'fine view of urban, or beautiful sight' therefore, we must look for the wary to introduce and solve the aesthetic problem with a new paradym of the urban landscape. Such environmental aesthetics as to seek a new planning for the urban landscape can provide a new meaning for urban environment design by extracting design elements of street furniture resulted form aesthetic evaluation in context of formation aesthetics to review the aesthetic value and substance, and explain aesthetic experience, and explain aesthetic experience of urban the landscape.

  • PDF

대수층 저장 및 회수 (Aquifer Storage & Recovery) 기법을 활용한 수자원 확보 및 공급 방안 -미국 Oregon 지역의 실제 공급 사례를 중심으로-

  • ;Jeff Barry;Larry Eat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67-271
    • /
    • 2003
  • 대수층 저장 및 회수(Aquifer Storage and Recovery, 이하 ASR) 기법은 지표수가 여유가 있는 기간동안 지하 대수층에 정수된 물을 주입하여 두었다가, 첨두 수요(peak demand)가 필요한 한시적인 기간동안 대수층 내에 저장되어 있던 물을 양수하여 공급하는 새로운 개념의 수자원 공급 체계의 일환이다. 본 발표에서는 미국 Oregon 주의 대표적인 3개 도시에서 수행된 수자원 공급 사업과 이 수자원 공급사업에서 ASR 기법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들 도시에서 수행된 ASR 기법을 활용한 수자원 공급은, 기존 지표 저류조 저장 방식에 비해 월등히 경제적이며,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들 도시에서의 ASR 기법 적용에 따른 효율성이 2001년도 및 2002년도에 분명하게 나타나 현재 이들 도시는 ASR 시설에 대한 확충 계획을 수립,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이들 지역의 ASR 기법 활용 용수 공급 사례는, 국내의 경우에도 투수성이 우수한 화산암 지역, 제3기 지층 및 석회암 지역 등에서 활용될 경우, 충분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Environmental Governance around Urban forest in Korea : With a Focus on the Recogni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도시숲의 환경거버넌스 현황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지자체 담당자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 Kim, Jae-Hyun;Tae, Yoo-Lee;Chang, Chu-Youn;Kim, Kyung-M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9 no.4
    • /
    • pp.580-589
    • /
    • 2010
  • In Korea, Public demand for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gradually with socioeconomic growth. It is really necessary urban forestry because urban fores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citizen's living environment. There is expected to participate government, citizen, NGOs and the corporate sector in urban forestry.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governance in urban forestry focused local government. As a result, urban forestry official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urban forestry by partnership. In order to manage urban forest efficiently, the committee must be comprised of various stakeholder and researcher have need to develop support system for management. Especially, it shows that they prefer corporations participate to create and manage urban forest.

A Study on Optimum Level of Exhibition Space for Cultural city focused on the Medium sized-Cities (도시 문화자원 확보수준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중소도시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 Bahn, Sang-Ch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0
    • /
    • pp.4853-4862
    • /
    • 2012
  • In Modern Cities, The 'Cultural spaces or facilities' are the core of the urban activity. And it is the field of urban life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change the human's life style. Also in Contemporary society, Cultural spaces are required to express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activity of the city life and the diversity and function of human beings. But most of them are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ese days, the needs of cultural spaces and facilities in 'Medium sized-cities' are growing. And many development plans are working in practice in that cities to accede to these requirements of social, human and current of the times. They include the exhibition spaces which perform function of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that have powerful and infinite potentiality of the social development. At this Point, this study suggest that 'Optimum level' of exhibition spaces as Museum and Art-gallery in Medium sized-cities. To achieve this study, two phases are proceeded as follows. First, Check the social needs of it based on theoretical inquiry of Exhibition space. Second, Focused on Medium sized-cities,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12 Domestic cities and 4 Japan's cities. A population of their cities is from 500,000 to 1,000,000. We can get a data for Optimum level of Exhibition space. And last, Suggest the strategies of the location and planning of Exhibition space based on Second phase.

A Space Syntactic Study on Urban Expansion and Decline of the Old City Center: Focusing on Jeju City (도시확장과 원도심 쇠퇴에 관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제주시 동(洞) 지역을 중심으로)

  • Kim, Seonghun;Oh, Byeong-Sam;Choei, Nae-Yo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2 no.4
    • /
    • pp.81-92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urban expansion can act as a cause of the decline of the original city center through the Space Syntax methodology.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the downtown area of Jeju-eupseong. The time points for longitudinal analysis were set at five points between 1914 and 2021 includ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cadastral map was drawn up in Jeju City, an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was analyzed and compared for each time point. ASA (Angular Segment Analysis) was used as a technique for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urban expansion is a cause of the decline of the original downtown. The original city center has moved away from the center as the urban structural change due to the urban expansion. The urban structure of the eastern part of Jeju City has undergone a major transformation between 1914 and 2021. As the old Jeju area where the original city center was located is geographically in contact with the sea, urban sprawl has been made toward Halla Mountain and further to the south of Jeju. Accordingly, the city center has transformed from a monocentric to a polycentric structure. Due to the dynamics of the urban sprawl, the old downtown of Jeju became one of the peripheral neighbourhoods in the Greater Metropolitan of Je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