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적 토지이용

Search Result 76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서울시 암반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특성 : 공간적 변화 특성에 패한 예비 고찰

  • 유순영;윤성택;소칠섭;유인식;이평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0.11a
    • /
    • pp.237-240
    • /
    • 2000
  • 서울시 암반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및 오염 특성을 토지 이용 특성과 관련하여 시.공간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3년간에 걸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차년도 취득 자료에 대한 예비 고찰 결과를 소개한다. 서울시 암반 지하수의수질 유형은 Ca-HCO$_3$ 유형으로부터 Ca-Cl(-NO$_3$) 유형에 걸쳐 폭넓게 분포한다. 서울시 동부 지역 지하수의 경우, 중랑천을 중심으로 상류에서 하류 지역으로 가면서 용존고체함량(TDS)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K, Ca, Mg 등 주요 양이온과 Ba, Fe, Sr 등 미량원소도 유사한 공간적 분포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수질 항목은 대체적으로 지하수 유동에 수반된 수/암 반응의 증가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NO$_3$, Cl 등 음이온의 변화는 다소 불규칙하여 지역적인 토지이용 특성과 관련한 오염 요인의 기여를 반영한다. 한편, 도시 특성에 따라 서울시 암반 지하수의 수질특성을 전반적으로 고찰한 결과, 외곽의 비오염 지역에 비하여 중심부의 교통혼잡 지역, 남서부의 공단 지역, 서부와 남부의 농업 지역에서 뚜렷한 수질 저하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Na, Cl, NO$_3$, SO$_4$, Ni, Pb, Se 등의 수질 항목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 PDF

A pilot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lanning Support and Training Tool for Zoning (토지이용계획수립을 위한 용도지역 결정과정의 학습툴 개발 연구)

  • 최봉문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14-422
    • /
    • 2003
  • This study constructs Landuse Planning Support System for Zoing as case study.: landuse planning is typical part of masterplan. Then evaluated Urban Planning Support System's possibil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between result of application and formulated landuse plan with sample site.

  • PDF

Relationship between Urban Environment and Local Temperature for Managing Urban Heat Island Effect in Neighborhood (근린단위의 도시열섬관리를 위한 국지온도와 도시환경의 관계)

  • Lee, Gun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0
    • /
    • pp.806-816
    • /
    • 2017
  • This study aims to offer effective policies for managing local temperatures and reducing the heat island effect by identifying elements that affect local temperatures. The three elements of natural environment, land use, and land coverage were first selected, and then control factors were applied, including season, weather, and measurement units for wind speed. In order to analyze these factors' relations to summer temperatures, an integrated model was developed,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urban heat island reduction effect of elements impacting local temperatures. The analysis used nationwide weather system (AWS) data from July and August 2007 and 2011-2016, land coverage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nd use area data from local governments after rearranging them based upon their falling within a 500-meter radius ($0.79km^2$) of AWS measuring point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land use, and land coverage all have a relation to changes in local temperatures. Natural elements have the greatest impact, and land use has the lowest. The results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policies to mitigate the heat island effect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of cities.

Potential Effects of Land-Use Change on the Local climete (토지이용 변화가 국지기후에 미치는 영향)

  • 이현영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1 no.3
    • /
    • pp.83-100
    • /
    • 1995
  • The land-use has changed rapidly during the last two decades in accordance with urbaniz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the local climate has undergone changes as well. This study intends to define the land-use changes, and then to show how they have brought in significant changes in the local climates. Land-use changes in the study area so repidly that up-to date maps and documents are not available at present. Therefore, Landsat data for land-use classification and NOAA AVHRR thermal data for the temperature fields were analyzed. Additionary, to visualize the effect of the land-use on the local climate, computer-enhanced brightness temperatures, Green Belt and city boundaries were overlaid on land-use patterns obtained from satellite images using GIS techniques. The results of analysis demonstrate that Green Space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decreased from 94% to 62% while urban land-use increased ten times, from 4% to 39% for the period of 1972-1992. The resulting disappearance of biomass caused by land-use changes may have implications for the local-and micro-climate. The results show that the local climate of the study area became drier and warmer. This study also suggests a need for further studies of man's effects on local climate to minimize adverse influences and hazardous pollution and efficacious ways for urban planning.

Effect of the Urban Land Cover Types on the Surface Temperature: Case Study of Ilsan New City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 Kim, Hyun-Ok;Yeom, Jong-M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8 no.2
    • /
    • pp.203-214
    • /
    • 2012
  • The physical environment of urban areas covered mostly by concrete and asphalt is the main cause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primarily becoming apparent through increased land surface temper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fferent urban land cover types o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MODIS, Landsat ETM+ and RapidEye satellite data. As a result, the remote sensing based land surface temperature showed a mark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and use pattern in the case study of Ilsan new city. The high-rise apartment residential districts with less building-to-land ratio and higher green area ratio revealed lower land surface temperature than the low-story single-family housing district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high building-to-land ratio and low green area ratio. From the view of climate zone and land cover types, there is a strong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impervious land cover ratio and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increases as the impervious built-up areas expand. In contrast, vegetation;water and shadow areas affect the decrease of land surface temperature. There is also a negative (-) correlation between NDVI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but the seasonal variation of NDVI can be hardly corrected.

The Planning Graph for Estimating Capacity of Rainwater Utilization Cisterns (엑셀 기반의 저류시설 용량 계획선도 개발 및 적용)

  • Kim, Ree-Ho;Kim, Young-Mi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32-836
    • /
    • 2010
  • 물 부족에 대비한 대체수자원 개발과 함께 최근 들어 환경성과 생태계를 고려한 녹색도시 조성이 부각되면서 빗물이용을 통한 용수확보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녹색도시 조성은 조경시설 및 수경시설에서의 용수 사용량을 증가시키므로 용수확보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고 대상 사업의 환경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최근의 빗물이용시설의 도입 현황을 살펴보면 설계 시 집수면적이나 대지면적의 일정비율 이상을 설치하는 간편식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간편식을 이용한 방법은 집수면의 토지이용 특성, 물 사용량을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시설이 설치된 후 운영효율 저하가 우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식 법의 문제점 개선과 함께 시설 설계 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엑셀기반의 저류용량 계획선도를 개발하였다. 본 계획선도는 대상지역의 강우량과 토지이용 특성을 입력한 후 용수 공급 패턴(매일 일정량 활용, 무강우 시 일정량 활용, 하절기에 중점적으로 활용)에 따라 빗물이용시설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기상청 등의 강우자료 서비스가 진행 중이므로 공간적인 제약 없이 전국적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and Use Optimization using Genetic Algorithms - Focused on Yangpyeong-eup -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토지이용 최적화 배분 연구 - 양평군 양평읍 일대를 대상으로 -)

  • Park, Yoonsun;Lee, Dongkun;Yoon, Eunjoo;Mo, Yongwon;Leem, Jih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1
    • /
    • pp.44-56
    • /
    • 2017
  • Sustainable development is important because the ultimate objective is efficient development combining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urban conservation. Despite Korea's rapid urba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is inefficient, and land-use is not an exception. Land use distribution is difficult, as it requires considering a variety of purposes, whose solutions lie in a multipurpose optimization process. In this study, Yangpyeong-eup, Yangpyeong, Gyeonggi-do, is selected, as the site has ecological balance, is well-preserved, and has the potential to support population increases. Further, we have used the genetic algorithm method, as it helps to evolve solutions for complex spatial problems such as planning and distribution of land use. This study applies change to the way of mutation. With four goals and restrictions of area, spatial objectives, minimizing land use conversion, ecological conservation, maximizing economic profit, restricting area to a specific land use, and setting a fixed area, we developed an optimal planning map. No urban areas at the site needed preservation and the high urban area growth rate coincided with the optimization of purpose and maximization of economic profit. When the minimum point of the fitness score is the convergence point, we found optimization occurred approximately at 1500 gene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upport planning at Yangpyeong-eup.aus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improving odor regulation and odor acceptance.

Inhabitation Status and Protection Discipline of Wildbirds in Urban Area - in the case of Seoul City - (도시내 야생조류의 서식현황과 보호대책 - 서울시를 사례로 -)

  • 이우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40-248
    • /
    • 1997
  • 기존 연구 문헌의 고찰로 서울시 야생조류상의 현황 및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1. 서울시 야생조류상에 대하여 물새와 산새를 모두 연구한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아 정확한 현황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번식기에는 약 40 여종, 겨울철에는 4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정교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도시림 뿐만 아니라 주변의 패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 접근방식(intergrated approach)으로 도시림을 연구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3. 도시림의 면적은 도시림에 번식하는 야생조류의 종 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배적인 인자로써 도시림이 더 이상 다른 토지이용 형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초적인 관리 지침이다. 4. 대면적의 숲이 세분화 될 경우, 여름철새의 번식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면적 숲의 세분화를 막아야 하며, 가능한 한 생태통로(eco-corridor)로 세분화 된 숲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5. 도시림에 생육하는 임목 중 대경급 임목은 나무구멍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중요한 은신처와 둥지이므로 대경급 임목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새집의 설치는 나무구멍을 둥지로 이용하는 조류의 번식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이다. 또한, 도시림이 시민에 의해 과도하게 이용될 경우, 관목층이 제거되어 관목층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서식에 불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등산로 주변에 관목성 수목을 밀식하여 등산로의 확폭과 파괴를 막아야 할 것이다. 풍부한 먹이 자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목층 보호를 꾀하고 임목의 조림과 무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6. 동일한 면적에서 번식 조류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은 엽층의 피도량을 늘이는 것이다. 현재 서울의 도시림은 엽층의 분화보다는 우선, 피도량의 증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후에 엽층의 다양성을 높여 산림의 수직적 구조를 다양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7. 들고양이와 들개에 의한 소형 조류의 피해가 늘고 있으므로, 야생조류의 천적인 들고양이와 들개를 구제해야 할 것이며, 이에 앞서 서식실태가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8. 한각을 비롯한 지천의 하변에 서식, 월동하는 물새류와 서식지에 대한 연구와 관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 산불방지와 도시림 정비의 일환으로 실시해 온 관목층과 낙엽 및 죽은 가지를 제거하는 비과학적인 관행과, 하천유지유량을 높이고 하변 정비 및 산불 방지으 ㅣ한 방편으로 진행된 하변 식생 제거는 전문가와 충분히 제고한 후, 없어져야 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Landscape Ecology Indices of Gap Stream Basin on Impervious Cover Changes (갑천 유역의 불투수율 변화에 따른 경관 생태학적 지표의 평가)

  • Choi, Jin-Young;Kang, Moon-Seong;Bae, Seung-Jong;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63-1268
    • /
    • 2010
  • 불투수면 비율은 유역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도시화에 따른 도시유출의 특성을 추적하는 모델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고, 기존의 많은 연구를 통해서 수환경과의 밀접한 관계가 검증되었다. 불투수율은 비교적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유역계획에서 여러 가지 대안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오늘날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유역생태계 변화 분석 등은 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인간활동에 의한 토지이용의 파편화(Fragmentation)가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파편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의 적용을 위한 경관요소로서 토지피복을 선정하여, 불투수면을 나타내는 시가화지역과 투수면을 나타내는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1) 갑천 유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경관구조,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2) 갑천 유역 내 6개 단위유역별로도 경관 생태학적 지표를 선정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hypothetic sewer network generation technique for urban inundation simulation (도시침수 모의를 위한 가상관망 생성 기술 개발 및 적용성 평가)

  • Seung So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0-340
    • /
    • 2023
  • 최근 전 세계가 극단적 집중호우로 인한 대규모 홍수로 인해 극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로 인해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도시침수는 그 특성상 막대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유발하므로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도시유역 침수 해석을 위한 수치모의는 대상 유역의 현재 대비 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로 증설 효과 파악, 빗물저류조의 침수저감 효과 분석, 빗물배수펌프장의 적정용량 파악 등에 매우 효율적이다. 정확도 높은 도시침수 해석을 위해서는 고해상도 DEM 또는 DSM 지형자료뿐만 아니라 토지이용도 및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망(하수관로, 맨홀, 배수펌프장 등) 자료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저개발 국가나 미계측유역의 경우에는 신뢰도 높은 하수관망 자료를 얻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해 도시침수 해석이 곤란한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형태로 제공되는 Open Street Map(OSM)의 도로망 정보를 이용해 가상의 하수관망을 생성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서울시 사당유역을 미계측유역으로 가정해 가상의 하수관망을 생성해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하수관망 자료의 획득이 곤란한 지역의 도시침수 예측이나 효과적인 하수관망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