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영향

Search Result 3,86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City characteristics on City Brand Personality and City Evaluation (도시특성평가가 도시브랜드개성과 도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Yoo, Changjo;Hwang, Tae Gyu;Lee, Sang Hy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0 no.3
    • /
    • pp.31-5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city brand personality and those effects on city brand personality and attitude toward city. This study attempts to confirm dimensions of city characteristics and city brand personality, and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city characteristics, city brand personality and attitude toward city. The result showed that various characteristics of city (culture and historic characteristics, life stability, facility convenience, economic factors, the image of city appearance, nature friendly characteristics) influence city brand personalities. In addition, city brand personalities (vivid personality and stable personality) are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 toward city and mediated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ity and attitude toward city.

  • PDF

The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on Urban Runoff (저영향개발기법이 도시 유출에 미치는 영향)

  • Kim, Hee Soo;Chung, Gun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1-391
    • /
    • 2021
  • 최근에는 도시에는 불투수 면적의 증가로 지면 침투량이 줄어들고 유출량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지면에서의 먼지 등 비점오염원의 유출로 인한 수질악화도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도시의 개발에 따른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저영향개발기법(Low Impact Development)을 도입하여 도시 물순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유역에서의 유출량 분석을 위해 저영향개발기법 중 투수성포장과 옥상녹화 등을 적용하여 침투량의 증가와 유출량 감소 결과를 분석하였다. 투수성포장과 옥상녹화의 영향이 크지는 않지만, 도시에서의 유출량 저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도시 물순환 건 전성 확보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는 도시 개발 계획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도시 공간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on Urban Runoff (저영향개별기법이 도시 유출에 미치는 영향)

  • Kim, Heesoo;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7-187
    • /
    • 2020
  • 최근에는 도시에는 불투수 면적의 증가로 지면 침투량이 줄어들고 유출량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지면에서의 먼지 등 비점오염원의 유출로 인한 수질악화도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도시의 개발에 따른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저영향개발기법(Low Impact Development)을 도입하여 도시 물순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유역에서의 유출량 분석을 위해 저영향개발기법 중 투수성포장과 옥상녹화 등을 적용하여 침투량의 증가와 유출량 감소 결과를 분석하였다. 투수성포장과 옥상녹화의 영향이 크지는 않지만, 도시에서의 유출량 저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도시 물순환 건 전성 확보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는 도시 개발 계획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도시 공간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Integrated in Local Comprehensive Plans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도시 물순환 개선을 위한 도시기본계획과 저영향 개발(LID) 연계성 분석)

  • Kang, Jung-Eun;Hyun, Kyoung-Hak;Park, Jong-B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5
    • /
    • pp.1625-1638
    • /
    • 2014
  • Recently, Low Impact Development (LID) has been emphasized as a critical strategy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LID is needed to be incorporated in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in the real world.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lanning and LID in Korea. This study addresses this critical gap by 1) examining whether current urban planning institutional system considers LID or not and 2) assessing the extent to which local comprehensive plans integrate LID in seven large cities. Study results show that a few planning guidelines declaratively mention the need of LID but they don't include specific LID strategies. In addition, we found that 7 local comprehensive plans in the sample received a mean score of 11.71, which represents 19.52% of the total possible points and there are wide variations among citi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still considerable room for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on LID. We propose the revision of planning guideline by incorporating LID principles and non-structural and structural LID technologies.

Impacts of Urban Growth Boundaries on Urban Density and Sprawl : A Comparative Approach (도시성장경계가 도시 밀도와 도시 스프롤에 미치는 영향 : 비교 연구)

  • Pettygrove, Magaret;Hwang, Chul-Su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5
    • /
    • pp.549-558
    • /
    • 2010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mpacts of urban growth boundaries(UGBs) on metropolitan growth patterns in the United States over a period of time.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we evaluate the extent to which UGBs affect the density of residential development in metropolitan areas with UGBs. We also attempt to understand the overall impact of UGBs and the importance of UGBs relative to other determinants of urban growth patterns. Our works found that urban growth patterns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cities with UGBs and cities without. UGBs have significant causal effect on urban housing and population densities, but are relatively less important than other factors. This implies that there are factors affecting the variation for which the given data cannot account.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UGBs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curbing urban sprawl.

  • PDF

Development of Detailed Risk Information based on Risk Zoning for Preventing Urban Flooding (도시침수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상세 위험도 주제도 개발)

  • Kim, Mi-Eun;Kim, Seul-Ye;Lee,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3-123
    • /
    • 2017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은 호우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극한 호우에 의해 발생되는 도시침수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시설물 대책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지자체가 수립하는 공간계획을 통해 토지이용, 건축물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예방전략 마련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 도시계획 담당자가 기후변화를 고려해 방재대책을 마련하는데는 국가 차원의 표준화된 방법론의 부재, 침수해석을 위한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가 도시계획에 실효성 있는 방재대책을 마련하는데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침수에 대한 상세 위험도 주제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의 영향과 도시지역의 유출 특성을 고려해 방재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강우 시나리오 기준으로 지속시간 1시간에 대한 재현빈도 30년과 100년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강우 시나리오 기준에 따라 도시지역 내 내수 외수의 침수발생 원인을 고려해 침수심 지도를 생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침수해석 모형인 HEC-RAS와 SWMM을 선정하고, 공간적 제약이 없이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모형의 구축 절차를 간소화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간소화된 침수해석 모형 결과를 토대로 강우 시나리오별 침수심 지도를 제작하고, 강우 시나리오와 침수심을 기준으로 위험정도에 따라 Red zone, Orange zone, Yellow zone, Green zone으로 영향권을 설정하였다. 실질적으로 각 영향권에 적합한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방재대책 수립이 가능하도록 노출특성과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출특성은 영향권에 노출된 토지이용면적(m2)과 거주인구수(명)로 평가하고 취약성은 영향권 내 취약한 건축물 수(지하 또는 노후 건축물), 보호대상시설물 수로 평가하였다. 침수 발생이 예상되는 영향권별 노출특성과 취약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위험이 높은 지역(Red zone)은 공간규모를 축소해 상세 위험도 공간정보 주제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위험도가 높은 지역은 작은 공간 단위로 노출특성과 취약성을 분석해 상세 위험도 주제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세 위험도 공간정보는 지자체가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 실질적인 방재대책을 강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Jecheon City Brand Equity, City Reputation and Travel Intention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제천시 도시브랜드 자산과 도시평판, 관광의도와의 관계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 Moon, Hyo-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3
    • /
    • pp.548-556
    • /
    • 2019
  • Effective city brand management provides a variety benefits to the city. The city with brand equity can motivate their customers to visit the city regularly, and it can also affect their recommendation as an attractive tourist destin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city brand equity and city reputation as a way to attract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at a time when local governments are interested in and working to strengthen them. Research has shown that the city brand equit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city's reputation, and that the city brand equit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ravel intention as well. Furthermore, in relation to the city brand assets, the city reputation, and travel inten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ity brand equity has a direct effect on the travel intentions and that the city brand equity has an indirect effect on travel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the city reputation. It can be seen that cities should strive to manage the first and second city brand as a way to attract tourists.

Evaluation of Urban Effects on Trends of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수문기상요소 추세에 대한 도시화 영향분석)

  • Rim, Cha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1B
    • /
    • pp.71-80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meteorological variables (air temperature, wind speed, relative humidity, solar radiation and precipitation) an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RET). The research area of 6 urban areas and 6 rural areas near each urban area was selected. The monthly average daily data were collected from 12 ground stations operat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the changes in climate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of annual analysis have shown that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RET) tends to increase in urban areas while decreasing in rural areas. In particular, due to rising RET in urban areas and decreasing RET in rural areas, we can infer that the urbanization has affected to the RET. Results of monthly analysis showed that the urbanization has effects on the RET of July compared to other months (January, April and October). The yearly and monthly effects of urbanization on RET were closely related to solar radiation, relative humidity and change in temperature, and related to wind speed.

A Study on The Smart Healthy City - Focus on Hierarchical Analysis of Urba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스마트 건강도시에 관한 연구 - 도시 특성과 개인 특성의 위계 분석을 중심으로 -)

  • Seo, Jong Go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3
    • /
    • pp.512-52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i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urba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 health level of individual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health level in 2016 for local governments in Korea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Results: It was found that urban characteristics, along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level of individuals. Although the degree of influence is very large, some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more detailed research is needed for future urban policy. Conclusion: Although urban characteristics affect an individual's health level,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variables of individual urban policies.

Indicators for identification of urban flood vulnerability (도시홍수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 Lee, Gyumin;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8-88
    • /
    • 2016
  •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홍수 중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 2010년 광화문 일대와 2011년 강남역 일대 홍수의 주요 원인은 하천관리를 통하여 대응해온 지금까지의 홍수와는 달리 도시의 우수배제 기능이 높은 강도의 강우에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시내부에서 발생한 이 같은 홍수는 도시의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거주민의 안전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기능과 거주민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홍수 취약성평가 인자를 선정하고자 한다. 기존의 여러 홍수취약성 연구들에서는 취약성을 평가함에 있어 피해금액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장기적인 홍수대응, 완화 정책의 구상에 있어 예상되는 피해금액은 중요한 지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도시에서 발생 가능한 피해를 모두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도로, 지하철, 철도 등의 교통수단이 침수되는 경우, 피해회복을 위한 비용뿐만 아니라, 도시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도시의 생산성, 안정성에 막대한 피해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피해금액의 규모에 대한 접근만으로는 도시에서 발생한 홍수에 의해 피해를 받는 취약요인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 피해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 방법 등 홍수의 물리적 위험성 뿐 아니라 홍수와 연관된 사회적인 요인들을 반영한 취약성 평가인자를 구성하기위하여 인자간의 인과관계 등을 고려하여 인자의 범위를 규정하고 델파이 설문조사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전문가 의견을 수집, 분석하였다. 홍수취약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크게 3가지 그룹으로 정리하여 도시구조물, 거주민, 위험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항목별로 영향인자을 선정하였다. 결정된 인자는 2011년 홍수피해가 발생한 도림천 유역에 적용하여 홍수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