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시설물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3초

공공디자인에서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스마트 도시의 공공시설물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Smart Public Facilities in Public Design - Focusing on examples of public facilities in smart cities -)

  • 손동주
    • 서비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97-112
    • /
    • 2023
  • 연구 배경: 현대 사회에서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은 도시 기능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데 크게 자리 잡고 있다. 공공시설물은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편리함과 안전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풍부하게 하며, 도시의 가치를 높이는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이 연구는 공공시설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시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하며 포용적인 도시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발전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 방법: 문헌 연구는 스마트 공공시설물에 대한 기존 이론과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사례 연구는 국내외 도시에서 구현된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실제 사례를 분석해 효과, 사용자 만족도, 개선점 등을 도출한다. 분석 및 논의를 통해 사례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고, 스마트 공공시설물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연구 결과: 스마트 공공시설물이 도시 관리, 에너지 효율성, 안전, 정보 접근성 등 여러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도시 관리 측면에서는 최적화되고, 사회적 포용성, 환경 보호, 시민 참여 촉진, 그리고 기술적 혁신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도시의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기술이 결합한 새로운 도시 형태를 창출하며, 도시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 결론: 이 연구는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서비스 및 디자인 측면의 시사점, 현황과 기능, 그리고 도시환경 및 시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 공공시설물은 도시 관리의 최적화, 에너지 효율성 향상, 정보 접근성 증진,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상호작용 증대 및 사회적 포용의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기술혁신과 공공시설물의 통합으로 도시를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만들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발전은 도시의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기술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도시환경 창출을 가능케 한다.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발전은 도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며, 미래의 도시는 더 지능화되고 능동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공간으로 변화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디자인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또한, 도시환경과 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시시설관리를 위한 도시공간객체식별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Urba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for Urban Facilities Managment)

  • 이상훈;나준엽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9-301
    • /
    • 2009
  • 최근 유비쿼터스 기술을 도시 인프라에 적용하는 u-City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u-City에서의 시설관리는 실시간으로 도시내 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지능적인 제어가 요구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도시정보시스템에서 이용되던 GIS도면 혹은 대장에 의한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관리대상의 상태를 원격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이미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을 통하여 시설물 뿐만 아니라 부재와 센서의 상태파악을 원거리에서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도시공간객체식별자(UOID:Urban Object IDentifier)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UOID의 효율적인 부여와 관리를 위한 DBMS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해 관리자는 UOID의 생성, 수정, 소멸 등의 이력을 시간정보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도시객체모델과 함께 UOID를 관리하여, ID를 이용하여 좀 더 직관적인 도시시설 관리가 가능토록 하였다. 향후, 개발될 UOID시스템은 도시공간정보플랫폼에 적용되어 도시 내에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식별자가 될 것이다.

  • PDF

지방자치단체의 범용프로그램 도입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Management Software for Local Government)

  • 홍상기;신동빈;안종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2
    • /
    • 2004
  • 시설물관리시스템은 지자체에 도입된 보편적인 GIS활용체계라 할 수 있다. 지난 몇 년간 많은 지자체에서 시설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는데 특히 상 하수도의 도로관리시스템 부분에 치중하였다. 여기에 도입된 시설물관리 범용프로그램의 개념은 지자체간의 개발업무에 있어 중복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최근 지자체에서는 분야별로 정보화의 한계를 인식하고 도시정보체계 구축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에서 도시정보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범용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시정보체계 구축에 있어 중복투자의 방지, 프로젝트 시간단축, 실패가능성의 최소화와 정보프로젝트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 PDF

도시 지하시설물 관리에 적합한 센서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or network structure for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of city)

  • 김근배;서동섭;백송훈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83-86
    • /
    • 2008
  • 도시의 많은 시설물을 좀더 지능화된 체계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RFID/USN을 이용한 솔루션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최근에 상하수도, 전력, 가스, 통신 관로 등 지하시설물 관리분야도 기존의 도면 관리체계에서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운영관리시스템 형태로의 진화를 시도하고 있다. USN은 일반적으로 무선전송을 기반으로 발전시킨 기술로서 이를 지하 매설물 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할 경우 여러 가지 제약사항이 따르게 된다. 전자기파의 물리적 특성상 지하에서는 통신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적용기술 및 시설물 분포에 맞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또 싱크 노드의 물리적 설치공간 확보 및 구동전력 공급 등 현장에서 부딪히는 여러 가지 네트워크 구축에 관련된 현안사항에 대하여 그 해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USN 기반의 지상시설물 관리를 위한 추진절차 및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n Business Promotion Procedure and Service Model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Based Ground Facility Management)

  • 정진석;김의명;이용주;변인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33-442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 지상시설물에 첨단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수행 절차와 방법을 다루고 있다. 최근 들어 정부는 u-City 구축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그 절차와 방법을 참고할 있는 "u-City IT 인프라 가이드 V1.0"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u-City구축 기본골격에 관한 전반적인 추진 절차를 다루고 있어 u-City 기반시설물의 지능화 과정으로 볼 수 있는 대상시설물별 센서 및 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세부적인 절차와 방법을 참고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시 지상시설물을 보다 지능적이고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USN기반 지상시설물의 세부적인 구축절차와 그에 따른 서비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추진되는 u-City 구축 사업의 수행에 기여하고자 한다.

U-GIS 기반 도시시설물 관리 분야의 그리드(GRID) 아키텍처 적용 연구 (An Application of GRID Architecture on a Part of Urban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U-GIS)

  • 남상관;오윤석;류승기;권혁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3-124
    • /
    • 2009
  •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들을 단일 컴퓨터처럼 활용하여 고성능 대용량의 컴퓨팅 기능을 얻기 위한 그리드 컴퓨팅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u-GIS 기반 도시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그리드 기술을 적용한 연구이다. 시설물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기 위해 도시 시설물에 각종 센서가 설치되는데, 이 센서의 수가 늘어나고,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의 수가 늘어날 경우 서버에서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많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서버의 부하가 늘어나 임계치에 근접할 경우, 이를 판단하여 서버의 작업 일부를 유휴 게이트웨이로 분산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향후 u-City 등 대용량 데이터 처리 분야에 활용할 경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지자체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공공시설물의 조화성 연구 (Local government visual identity design and public facilities harmony research)

  • 송수미;이재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2-225
    • /
    • 2009
  • 오늘날은 국가 중심의 경쟁구도에서 벗어나 도시가 국가경쟁력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시대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도시 브랜딩과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 관련사업도 활발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도시의 정체성 확립과 시각적 통합을 위한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도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비주얼 아이덴티티의(C.I, 캐릭터, 슬로건) 제작에만 치중한 나머지, 비주얼 아이덴티티가 적용되는 공공시설물과의 조화는 고려되지 않은 채, 여러 요소가 혼재, 남발되어 제작의도와는 반대로 오히려 도시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부재와 전문성 결여로 인해 목적의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어 비용이나 노력에 비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비주얼 아이덴티티는 결과물 자체도 중요하지만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적용될 때 비로소 도시의 정체성과 질서가 바로 세워진다. 본 연구는 비주얼 아이덴티티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적용을 위해 가장 우선시 되는 조화성을 중심으로 경기도 안산시의 비주얼 아이덴티티와 공공시설물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도시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활용 가이드라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5G 디지털 트윈 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통합플랫폼 계획 수립 절차에 관한 연구 : 수도권 광역시 시설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Platform Plan for Safety Management of 5G Digital Twin-Based Facilities: Focusing on Facilities in Metropolitan Cities)

  • 장혜정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57-268
    • /
    • 2021
  • 도시중심의 생활로 시설물의 종류가 늘고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의 시설물 안전관리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다수의 인명피해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스마트 시티에서 생활하는 시민들의 안전과 안심에 대한 니즈를 충족하는 방안으로 5G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하여 시설물 안전관리 통합플랫폼 수립 절차를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시설물에 대한 위험 요소와 노후화에 따른 점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설관리의 현황과 5G 디지털 트윈 기반의 스마트 시티 신기술 적용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하기 위한 추진 절차를 제시한다. 대상 지역은 수도권 광역도시 지역으로 안양시, 의정부시, 구리시, 광명시, 오산시 5개 도시를 선정하였다. 추진 절차는 각 지자체의 다중이용 목적 시설물 중에서 노후화되고 관리가 시급한 시설물을 플랫폼 구축 전문가와 지자체 스마트시티 담당자와 선정한 뒤 시별 정책 방향을 반영하여 디지털 트윈 시설물 대상 33개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렇게 확정된 시별 시설물을 중심으로 5G 디지털 트윈 시설물 안전관리 통합플랫폼으로 구축하기 위한 정보기술 인프라 요소와 구현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정의한 뒤 구체적인 통합플랫폼 구성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공간과 유비쿼터스 기술의 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of Metro city space and Ubiquitous technology)

  • 최창선;황찬규;김정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065-1073
    • /
    • 2009
  • 유비쿼터스 도시는 도시건설산업과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융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시건설산업은 도시의 물리적 공간을 건설하는 분야로 점점 공용화, 통합화, 융합화 될 것이다. 지하시설물은 공동구를 활용하여 공용화하고, 지상시설물은 통합화가 가능한 시설들부터 통합화한 후 센서통신망이 발전하면 융합화시켜 지능화시킨다. 정보기술은 전산화를 지나 정보화를 이루었고, 유비쿼터스 정보화로 발전되고 있다. 이 논문은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도시공간과 유비쿼터스 기술의 융합화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논문이다.

기후변화에 따른 폭우재해에 적응하기 위한 도시조성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방향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of Urban Planning Simulation System for Adapting to Heavy Rainfall Disaster Driven by Climate Change)

  • 한우석;심우배;이병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9-249
    • /
    • 2012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폭우발생 빈도 및 강도는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다. 빈번히 발생하는 대형 폭우에 의해 도시는 홍수와 산사태 등 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도시에서 발생한 대형 폭우재해의 1차적인 원인은 도시방재시설물 설계빈도를 상회하는 집중호우이지만, 방재를 고려하지 않은 도시계획 및 설계가 피해를 가중시킨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대형화 및 일상화되어가는 폭우재해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하수관거, 제방 등 전통적인 방재시설물 설계기준을 상향조정하는 구조물적 대책뿐만 아니라, 도시의 토지이용, 공원, 녹지, 광장, 도로 등의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우수유출 저감 및 지연시켜 최대홍수량을 낮추는 비구조물적 적응방안도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따른 폭우재해에 도시차원에서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폭우재해 적응 도시계획 및 설계기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홍수 및 산사태 관련 시스템들과 연계하고 정부의 다양한 부처에서 구축된 DB를 최대한 활용하여 폭우에 의해 발생하는 도시 홍수와 산사태 피해지점과 피해 영향권을 분석뿐만 아니라 폭우재해 적응 도시계획 및 설계기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관리지역을 도출하고, 관리지역에 폭우재해 적응 도시계획 및 설계기법 적용시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기후변화 폭우재해 적응 도시조성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방향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