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숲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42초

국내 수종별 BVOCs 방출량 (1) (Emission Rates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s) from Various Tree Species in Korea (I))

  • 장한나;손정아;제선미;오창영;조민석;김주완;김재현;최원실;이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43-553
    • /
    • 2021
  • 피톤치드는 식물체에서 방출되는 생물유래 휘발성유기화합물(BVOCs)에 포함되어있는 isoprene, monoterpene, sesquiterpene과 같은 화합물들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피톤치드는 중요한 산림치유 인자인 동시에 질소화합물과 광학반응을 하여 오존 및 이차 유기에어로졸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시숲 주요 30 수종을 선정하여 표준환경조건(온도: 30℃, 광도: 1,000 μmol/m2/sec)에서 400 L Tedlar bag의 순환형 챔버를 이용하여 시료를 포집하여 열탈착-GC/MS로 분석하였고, 해당 수종의 잎을 건조시켜 건중량 당 수종별 isoprene 및 terpene류의 방출량을 분석하였다. Isoprene 방출량은 전체 수종 중에서 왕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졸참나무, 굴거리나무, 회양목이 주요 isoprnen 방출 수종으로 나타났다. Monoterpene 방출량은 리기다소나무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로쇠, 일본잎갈나무, 백목련, 메타세쿼이아,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가 주요 monpterpene 방출 수종으로 나타났다. Monotrerpene 주요 물질은 α-pinene, myrcene, limonene, β-pinen, sabinene이였으며, sesquiterpene의 주요 물질은 caryophyllene, farnesene으로 나타났다. Oxygenated monoterpene의 주요 물질은 pulegone, borneol, menthol, eucalyptol, nerol이였고 oxygenated sesquiterpene에서는 carypphyllene oxide가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지만 30개 수종에서 sesquiterpene과 oxygenated sesquiterpene의 방출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간의 중요도 분석 - AHP 기법을 이용하여 - (Analysis of Importance in Available Space for Creating Urban Forest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 정대영;최윤의;전진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03-114
    • /
    • 2019
  • 최근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적합한 가용공간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객관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을 조성하기 위한 가용공간의 평가항목을 개발하고, AHP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항목의 상대적 중요도(가중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5개 범주의 총 19개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총 29부를 회수하였으며, 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상위항목의 중요도는 '입지적 특성'(0.35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존 녹지의 식재유형(0.184)', '기상조건 (0.183)', '물리적 특성(0.15)', '인문사회환경(0.128)'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또한 하위항목의 전체 중요도는 '미세먼지 발생원 인접성'(0.143)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 녹지의 식재수종'(0.024)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을 조성하기 위한 가용공간을 선정하는데 객관적 기준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도시공원 유입 요인 분석 연구 - 양재시민의 숲 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flux Factors in Urban Parks Using Data Mining - Focus on Yangjae Citizens' Forest Park -)

  • 박상훈
    • 지역연구
    • /
    • 제39권3호
    • /
    • pp.35-48
    • /
    • 2023
  •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발생하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양재시민의 숲 공원의 유입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공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해당공원이 지닌 특성과 이용상의 차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감성정보 분석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은 빅데이터를 활용하며, 연구의 핵심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임에 따라 저자가 특허 등록한 '감성정보 분석 방법'의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시민들이 인지하는 양재시민의 숲의 유입 요인 중 가장 긍정 감성으로 도출된 것은 '공원 콘텐츠' 관련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부정 감성 요인으로는 '공원 관리' 관련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도시공원 활성화 지원사업 실행 시, '공원 콘텐츠'의 발굴에 더 심도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초등학생들의 만족 유형을 고려한 학교숲 조성방향 (The Direction of School Forest Plans Considering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 장철규;정성관;장정선;김경태;오정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51
    • /
    • 2009
  • 본 연구는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의 학교숲 현황을 조사하고, 주 이용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여 만족유형에 따른 학교숲 조성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학교숲의 만족도는 수목 많음 항목이 가장 높았고, 소음 감소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15개의 항목별 만족도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각 환경적 기능, 교육 휴게 기능, 생태적 기능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요인 점수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4개의 군집으로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군집 I은 환경적 기능, 군집 III은 교육 휴게 기능, 군집 IV는 생태적 기능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군집 II는 3개의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만족유형에 따라 학교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군집 II에 속하는 학생들이 적고, 타군집의 분포가 비슷한 학교일수록 전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학교의 경우 운동장의 많은 부분을 식재공간으로 활용하여 학교숲 면적 및 비율이 타학교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숲을 조성할 경우 학교숲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여 환경적, 교육 휴게 및 생태적 기능 등 학생들의 만족요인을 고려해야 하며, 기존 화단에 수목을 추가하는 방식보다는 학교숲을 이용할 수 있는 공원형 방식으로 조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