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성장모형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공간 연관규칙을 이용한 도시성장 확률모형의 구현

  • 조성휘;박수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11a
    • /
    • pp.40-47
    • /
    • 2003
  • GIS는 공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좋은 도구가 되며 도시성장 예측과 같은 문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내에 위치한 수원지역을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도시성장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도시의 물리적인 확산에 초점을 맞추어 모형의 핵심이 되는 공간 연관규칙을 추출하였다. 공간 연관규칙의 추출을 위해 GIS 공간 분석 기능과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규칙을 기반으로 모형을 작성하여 도시성장을 분석 및 예측하고 UGM(Urban Growth Model)과 비교하였다.

  • PDF

A SEQUENTIAL LAND USE / TRANSPORTATION MODEL WITH EXTERNALITIES : LINKING THE DYNAMIC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URBAN SPATIAL STRUCTURE (도시토지이용과 교통에 관한 연속적 모형 : 지역경제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 접근)

  • 서종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2
    • /
    • pp.19-42
    • /
    • 1995
  • 1980년대 후기부터 교통정책의 우선 목표는 지역경제성장 자체가 교통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관리 중시의 정책은 다시 토지이용 정책으로 변화를 초래하엿다. 오늘날 대도시는 개개 졍제활동 주체들의 동적인 경제 행태에근거하여 분산구조를 띠고 있다. 이러한 동적인 경제행태에 미치는 요소들은 교통체계와 토지이용과 상호연관성의 연구에 필수적인 지가, 인구분포, 통행행태등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단핵도시 모형은 대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동적인 과정을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의 변천과정을-도심 및 부심의 출현·소멸현상-설명함으로써 도시교통정책 필수적인 입지와 통행패턴에 대한 새로운 동태적 이론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경제 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관계를 통합하는 토지이용과 교통의 연속 모형을 개발·응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교통량에 따른 교통비용, 도시공간구조로 인한 외부효과들, 경제활동주체들의 비동질성, 이주비용, 그리고 집적 이익등이 매기마다 내생적으로 결정되어 대도시의 공간구조 변화를 설명한다. 경제 호라동주체들간의 ? 호물리적 교류는 소득 증대에 의하여 경제구조가 변함에 따라 새로이 결정된다. 가상적 도시와 자료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비동질적인 경제주체들의 불균형적 성장이 장기적으로 도시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기본적인 경제행위에 따라 장기동태적인 과정을 통하여나타나는 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통비용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실용성을 검정하였다.

  • PDF

Developement of Restoration Path Tracking Model for Urban Stream (도시하천 복원경로 추적모형 개발)

  • Lim, Yong-Ho;Eom, Jeong-Seob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05-110
    • /
    • 2007
  • 도시가 성장하면서 도시내의 소하천은 복개되거나 사라져 다른 용도로 토지가 이용되어 도시내의 수공간 부족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최근 도시의 질적인 성장을 추구하면서 기존에 복개되었던 하천을 복원하려는 사업이 많이 진행이 되고 있으나 도시화과정에서 사라진 소하천을 복원하는 사례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도시화 과정에서 사라진 도시내 소하천을 추적하고 이를 복원할 때 현실적으로 가장 적절한 경로를 찾을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GIS기법으로 사라진 하천의 경로추적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1:1,000 수치지도상의 고도 Point자료를 이용하여 DEM을 만들고 GIS의 공간분석기능으로 사라진 도시내 소하천을 추적하고 그 결과를 고문헌에 의한 구하도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 DEM으로부터 추출된 하천의 경로가 고문헌에 의한 하천경로와 많은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되어 GIS로 사라진 소하천의 경로를 추적할 수 있음이 평가 되었다. 찾아진 소하천을 복원하고자 할 때 복원경로에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주는데 GIS를 이용하여 고도, 토지이용상태, 지가를 동시에 고려한 최적 복원경로를 추적하는 모형을 만들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친환경도시를 계획하고 있는 기존의 도시에서 사라진 하천을 찾아내고 이를 복원할 때 가장 이상적인 경로를 찾는데 기여하여 쾌적한 환경도시를 만드는데 일조를 할 것으로 평가됨.

  • PDF

Housing Policy Model ing and Verification for the City Government of Cheongju Based on Urban Dynamics (Urban Dynamics이론에 기초한 청주주택정책의 모형과 검증)

  • 김성환;이만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2.11a
    • /
    • pp.1-3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주시의 주택문제에 대한 특별한 해결책을 논의한다기보다는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형성하여 도시내부 문제해결을 위한 UD 모형을 적용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모든 도시는 성장과 쇠퇴의 주기가 있듯이 청주라는 공간도 현재의 물리적인 경계를 유지하면서 영원히 성장할 수 없으며, 성장의 한계에 이르게 되고, 시스템 내부의 피드백구조의 역동성에 의해 동태적인 균형상태를 지향하게 된다. UD 모형을 통해서 본다면 청주의 경우도 향후 50년간은 인구, 주택, 산업 모든 측면에서 성장을 이루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55년 이후에는 그 증가율이 정차 감소하여 균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다가 한 시점에 이르러서는 내부 stock 변수들의 인과관계에 의해 청주의 매력도는 주변지역으로 이전되게 될 것이다.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 청주의 경우도 적정수준에서 이러한 추세를 따라가기 때문에 청주시의 UD 적용의 유용성은 입증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더불어 민감도 분석에서 사용한 변수들의 조정에서 나왔듯이 주택과 관련된 정책을 펼칠 때, 시스템 내부적인 변수를 조정하는 정책을 펼쳐 나갈 때 청주라는 공간은 주택분야뿐 아니라 도시전체시스템의 동태적 균형상태를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Network City as a New Urban Growth Model: A Review on Its Formation, Spatial Structure, Management, and Growth Potential (새로운 도시성장 모형으로서의 네트워크 도시 -형성과정, 공간구조, 관리 및 성장전망에 대한 연구동향-)

  • Sohn, Jung-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6 no.2
    • /
    • pp.181-1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twork city in detail as a new model for explaining urban growth in the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in recent years. For this purpose, starting from Batten's (1995) pioneering work on network city in the mid 1990s to the most recent ones, literature is reviewed and various aspects of network city model are examined including formation process, spatial structure, application to management and urban planning, and growth potential. With this, the study aims at providing comprehensive knowledge necessary for evaluating if the network city model is appropriate in explaining the urban phenomena in the 21st century. The result of the review shows that network city model is the one appropriately explaining the changing urban system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addition, more and more European city governments tend to adopt this as the urban planning principle.

Characteristics and Causal Factors of Urban Growth in Korea (우리나라 도시성장의 특성과 요인 1980 - 1994)

  • Park, Yeon-Soo;Yu, Wan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5 no.1 s.9
    • /
    • pp.81-92
    • /
    • 1997
  •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most greatly affected by modern urbanization in its speed and its magnitude. Urbanization in Korea however has great differences compare to those in Europe, America and even developing countr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pecific causes of urbanization in Korea to interpret past trends accurately and to predict future trends properly. To accomplish the purpose cross section data of 806 cities during 1980-1994 has computed in terms of totals and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measure the relative impact of each factor.

  • PDF

A Study on Land Use Change Prediction Using CLUE-s based on Urban Growth Scenarios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예측 연구)

  • LEE, Yong-Gwan;JOH, Hyung-Kyung;JANG, Sun-Sook;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4-144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과 5대 광역시를 대상으로 (1) 과거추세가 연장되는 시나리오와 (2)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스마트 성장, 컴펙트 개발 등을 고려한 도시성장 시나리오를 전제로 미래의 토지이용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토지이용 변화 예측에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기반으로 한 CLUE-s(Conservat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 모형을 이용하였다. 토지이용 변화예측을 위해 WAMIS(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에서 제공하는 1975년부터 2000년까지의 5년 단위의 토지이용별 통계자료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2008년 토지이용도를 구축하였으며, 각 토지이용 항목은 총 6가지(시가지, 수역, 산림, 논, 밭, 초지)로 재분류하였다. 도시성장 시나리오는 지자체 조례에 따른 물리적 개발기준과 국토 환경성 평가 지도를 바탕으로 개발 제한 구역을 설정하고, 미래 인구변화와 토지수요 수요량 추정을 통해 미래 토지이용 변화 예측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또한 도로망, 하천망과 유효 토심, 토양통 등을 고려한 토양 속성을 토지 피복 변화 예측을 위한 모형의 동적 요소(driving factor)로 대입하였다. 두 가지의 시나리오를 통해 미래 토지 이용 변화 예측결과 각 시나리오에 따라 확연히 다른 양상의 토지이용 변화 패턴을 보였다. 과거추세가 연장되는 시나리오에서는 물리적인 토지개발 기준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토지이용이 변화하며 시가지가 급속하게 성장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반면, 도시성장 시나리오를 전제로 하였을 경우 기존의 시가지와 연계하여 인근에 위치한 미개발지가 시가지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로그 추세로 증가 혹은 감소하는 패턴에 따라 변화폭이 줄어들며 종래에는 각 토지이용의 변화량이 0%로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 토지이용 변화 비율은 두 가지 시나리오 모두 주로 산지와 농지가 감소하고 시가지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한 미래 토지이용 변화 시나리오는 수문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는 지표의 변화에 대해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정량적인 예측을 가능케 함으로써 기후변화 시나리오 등 다양한 미래 예측 시나리오와의 접목을 통해 미래 수자원 예측 연구에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Concentration in the Primary City and Economic Growth (수위도시 집중과 경제성장)

  • Lee, Keunjae;Choe, Byeongho;Park, Hyeongh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1 no.4
    • /
    • pp.85-100
    • /
    • 2017
  • The study tries to shed empirical ligh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the primary city and per capita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using the data for 113 nations over the period, 2000-2010.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s measured in two ways, the ratio of the primary city's population to the total and to the second city. Using the ratio of the primary city's population to that of the entire nation, the empirical results neither show the robust negative relations nor the reverse U relation between primary city's concentr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ratio of the primary city to the second city however turns out to have a negative relation to per capita GDP growth. This result implies economic growth of a nation can be enhanced by decreasing the gap between the primary and the second ranked cities and does not support the reverse U hypothesis by Handerson(1974, 2003).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rban Runoff Models (도시유출모형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Hong, Wan-Taeck;Kim, Won-Il;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715-719
    • /
    • 2005
  • 현재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산업화 및 도시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하여 첨두유출량의 증가, 자연유역에서 도시유역으로 변하면서 유역내 도달시간의 감소 등의 수문학적 특성이 변화로 예기치 못한 홍수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다라서 첨두유출량이 관망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관에 발생하는 부하의 증가로 인하여 내수침수 피해를 입게 되는데, 도시 유역에서의 인구 증가 및 산업활동에 따른 도시 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우수유출량이 커지고 있으며, 저지대의 활용이 증대됨에 따라 내수 피해는 더욱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도시 유역의 재배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먼저 실측자료와 도시유출 모형에서 산정된 첨두유출량과의 비교$\cdot$분석하여 최적의 모형을 채택하여야 한다. 또한 채택된 모형으로 적절한 설계 강우량이 선정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유출량을 정확히 산정하여야 하나, 설계 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의 지속시간의 결정에 대해서 일반적인 기준이 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재해 저감 대책 수립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측 강우량, 첨두유출량 및 유출총량과 도시지역의 유출량 산정에 사용되어지는 ILLUDAS, SWMM 모형에 모의치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최적의 도시유출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실측자료가 있는 서울시 장안$\cdot$뚝섬배수구역의 실측 강우와 펌프장에서 조사된 실측 유량과 ILLUD AS, SWMM 모형에 의해 산정된 유량과의 비교 분석 결과 SWMM 모형에 의한 첨두유량이 실측 첨두유출량과의 오차율에서 장안배수구역은 $21.1\%$, 뚝섬배수구역은 $4.3\%$로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총 유출량에서도 각각 $7.8\%,\;13.2\%$의 오차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 모형에 비해 실유량과의 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모의되었다. 향후 도시유출을 모의하는 데 가장 근사한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며, 도시재해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 Strategic RIS Model for Sustainable Urban Growth Management based upon Smart Growth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스마트성장 기반 RIS 전략모형 연구)

  • Lee, Hee-Won;Lee, Sang-Kyu;Kim, Do-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8
    • /
    • pp.3094-3099
    • /
    • 2010
  • Modern urban cities are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like chronic traffic congestion, environmental pollution, reduced open space, shortage of affordable housing, deterioration of old downtown and sprawl.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urban sustainability can be grasped in many view points. Among these view points, urban growth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recent and important issues that should be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 for the urban sustainability.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concept of Smart Growth as an executable strategy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urban growth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hinder the urban sustainability is the lack of consistency in driving the sustainable strategy originated from the fragility of virtuous cycle of internal organizations themselves. This study will suggest an alternativ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model that enables the consistency and virtuous cycle of sustainable urban growth management based upon Regional Innovation System 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