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생태

Search Result 1,18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finition and Scope of Urban Ecosystem (도시생태계의 정의와 범위)

  • 김준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17-223
    • /
    • 1997
  • 도시생태계는 주 구성원인 인간의 사회구조와 경제활동이 주축이 되고, 부 구성원인 자연이 주 구성원과 상호관계를 받으면서 존재하는 실체이다. 도시 생태계는 사회구조와 경제활동이 일어나는 핵심부와 그것과 직접 관계하는 기초부 및 물질과 에너지의 공급원, 수용원 및 축적을 담당하는 외부환경의 세 부위로 구성되는, 사회-경제-자연-복합 생태계SENCE)로 이해할 수 있다. 도시생태계는 자연생태계의 원리에 따라 기능을 조절하고 시스템모델 기법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시생태계의 범위는 그 크기, 독립영양과 종속영양의 평형, 기능적 활성 및 발달단계에 따른 ㅗ이부환경(입력환경과 출력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크게 달라진다. 생태학자나 환경학자는 도시생태계를 자연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지만 앞으로는 사회학자와 공동으로 연구하여야 문제의 정곡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Urban Climate and Urban Ecology (도시기후와 도시생태)

  • 이현영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24-229
    • /
    • 1997
  • 쾌적하고 능률적인 생태도시 건설을 계획할 때는 도시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공공시설의 입지선정을 신중히 해야한다. 도시계획과 운영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도시는 쾌적한 촌락환경과 크게 다르게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시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 관련된 모든 분야 즉, 도시계획, 토목공학, 생태학, 기후학, 지리학 등의 전문가들이 함께 문제를 검토하고 계획하는 학제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즉, 도시의 기온분호으 ㅣ패턴, 탁월풍과 도로망 및 구조물의 배열, 도시공원과 가로수의 적정 수종을 이해한다면 도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싼 대가를 치르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한 도시의 행정책임자는 쾌적한 도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제도 및 업무수행에 유연하여야 할 것이다.

  • PDF

Functional and Ecological Features of Seoul Forest (서울숲의 기능과 도시림으로서의 생태적 요소 분석)

  • Kong, In-Gyu;Oh, Hyun-Suk;Lee, He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30-8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도심공원이 증가하고 환경의 생태적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생태공원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국가에서도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생태공원이 점차 확대되어감에 따라 도시림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서울숲의 기능과 생태적요소를 알아보고 향후 도시림의 설치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 도시림의 문제점을 도출해 낸 후 서울숲의 기능과 생태적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국내의 도시림이 가져야할 기능과 요소들을 파악해 향후 도시림에 그러한 기능과 요소를 도입시켜 국내 도시림이 더욱 생태적인 공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Indicators for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of Urban Park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측정가능성 검토)

  • Kim, Eunyoung;Kim, Jiyeon;Jung, Hyejin;Song, Wonky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4
    • /
    • pp.227-241
    • /
    • 2017
  • A human in urban areas has depended on ecosystem for well-being, so it is important to evaluate urban ecosystem services which contribute significantly to human well-being. In this study we classified ecosystem functions and set indicators used for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of urban park by Delphi method. As a result, it derived 12 items and 14 indicators of ecosystem services to evaluate them such as vegetable garden, canopy cover, biodiversity, and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derived evaluation indicators, the feasibility of the indicators was examined by applying to two urban parks, Maetan park and Seoho-Ggotme park, in Suwon City. We also suggested strategies to improve each ecosystem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evaluation. It is significant to recognize unknown services in urban parks. The results can be used for improving urban ecosystem services consistently in response to current rapid urbanization. In the future, the city should make a master plan on ecosystem service on urban area, beyond urban park, considering both of quality and quantity.

Ecological Urban Planning and Design: An Application to Hai Phong City, Vietnam (생태적 도시 계획과 설계: 베트남 하이퐁시에의 적용)

  • Lee, Dong Kun;Im, Seung Bin;Ahn, Tong Mahn;Choe, Young Chan;Lee, Seoung Woo;Kim, Eui June
    • KIEAE Journal
    • /
    • v.7 no.3
    • /
    • pp.3-10
    • /
    • 2007
  •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향에 대한 장기적인 고려 없이 진행된 개발도상국가의 도시화와 인구증가는 도시의 슬럼화 등 다양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베트남 하이퐁시를 대상으로 생태적 도시계획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생태적 계획과정은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기존에 연구된 생태적 도시계획 과정 및 절차를 검토, 정리하였다. 둘째, 한국을 포함한 성공적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베트남에 적용 가능한 전략과 친환경적 개발 요소 등을 도출하였다. 베트남과 비슷한 경제발전 과정을 거친 한국의 일산, 분당 등 생태도시 사례로 부터 네 가지 전략을 도출하였다. 셋째, 대상지 분석 및 토지적합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절대보전, 상대보전, 개발가능 지역 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세 단계를 토대로 생태적 신도시건설을 위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였고, 블루네트워크(수체계), 그린네트워크(녹지체계), 화이트네트워크(바람길체계), 휴먼네트워크(자전거 및 보행도로체계), 문화네트워크(역사자원체계)의 다섯 가지 네트워크개념을 적용하였다. 각 네트워크별, 각 네트워크간의 연결 및 순환을 강조함으로써 현존하는 자연적 문화적 자원을 보전, 신도시의 가치로 창출되게 하고자 하였다.

韓國의 都市生態에 關한 硏究

  • Pitts, Forrest R.;Choe, Un-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8
    • /
    • pp.24-36
    • /
    • 1973
  • 도시에 관한 제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그다지 오래되지 않다. 더우기 도시생태에 관한 연구는 더욱 그러하다. 이처럼 역사는 짧지만, 도시생태에 관한 연구는 장족의 발전을 이룩해 왔는데 그 원인은 컴퓨터의 개발이다. 컴퓨터는 과거 10년간 사회과학은 물론 자연과학분야에 까지 널리 활용되어 과학발전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자료처리 능력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예를 들면 도시지리에서는 컴퓨터가 자료분석 뿐만아니라, 나타난 결과를 지도화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본 몬문은 서울과 대구 - 대구의 경우 두 종류의 data를 썼다.- 지역을 컴퓨터에 의해서 생태요인을 분석하여 나타난 결과를 지도화한 것이다.

  • PDF

The City Ecological Soundness Index Development Based on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BI) and Korean City Characteristics (우리나라 도시 특성을 고려한 도시생물다양성지수 적용성 검토 및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 개발)

  • Yun, Hyerngdu;Lee, Jangho;Choi, Intae;Park, Seokcheol;Han, Bongho;Kim, Myung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6
    • /
    • pp.442-456
    • /
    • 2016
  • The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CBD) encourages the use of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BI) as a monitoring tool to assist local authorities in evaluating their progress in urban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CBI has been applied to conserve the city biodiversity.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ity Ecological Soundness Index (CESI) based on the CBI and Korean city characteristics. The CESI includes total of 12 indicators grouped in three categories, which are 'biodiversity,' 'ecosystem services' and 'governance and management.' 85 cities in Kore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ity size and type. 18 cities have applicable biotope map, which were analyzed in the CESI pilot study. The CESI will contribute to collect and manage biodiversity data systematically and to promote biodiversity-related 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