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문제해결

Search Result 63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mart City-based Metaverse a Study on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Kwon, Changhee
    • Journal of Integrative Natural Science
    • /
    • v.14 no.1
    • /
    • pp.21-26
    • /
    • 2021
  • 이 논문은 기존의 도시가 부동산 중심의 경제 원리로 형성됐다면 스마트시티는 거주자 생활을 중심으로 한 도시계획 서비스라고 말한다. 이런 스마트시티가 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철도와 도로 등 도시 인프라를 비롯해 유통, 의료, 교육의 혁신도 필요하다.하지만 스마트시티가 도시운영체제를 디지털화하는 것으로 끝나는 건 아니다. 스마트시티기반에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당면한 각종 도시 문제를 해결을 위한 선행연구를 다뤄보기로 하였다. 도시운영체제를 입히는 도시의 지역적 특성을 살리면 해당 도시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의 스마트시티는 과연 어떠한 도시일까? 이에 대한 답변을 하기 위하여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을 모색하였다.

PCR of DNA Computing for the TSP (외판원 문제를 위한 DNA 컴퓨팅의 PCR 연산)

  • Kim, J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151-1154
    • /
    • 2001
  • 외판원 문제(Traveling Salesman Problem)는 주어진 n개의 도시들과 그 도시들간의 거리비용이 주어졌을 때, 모든 도시들을 정확히 한번씩만 방문하면서 걸린 비용이 최소가 드는 경로를 찾는 문제로 최적해(optimal)을 구하는 것은 전형적인 NP-완전 문제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외판원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요즈음은 실제 생체 분자(bio-molecule)를 계산의 도구로 사용하는 새로운 계산 방법인 DNA 컴퓨팅은 DNA 분자가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막대한 병렬성을 이용해서 NP-완전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땀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실제 생체 분자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계산 모델이나 분자 생물학에서 사용하는 연산들이 많이 개발되지 알아 계산 효율이 비교적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외판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DAN컴퓨팅의 새로운 중합 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연산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jec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에 관한 연구)

  • Lee, HwaRyeong;Kim, Sh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8-518
    • /
    • 2022
  • 오늘날 우리사회는 환경변화와 기후 위기 가속화로 인하여 삶의 질 악화는 물론 인류 생존까지도 걱정해야 시기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의 75%가 도시에서 발생되고 있다(Global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 2019), 이에 국제 사회는 도시 중심의 녹색 전환 정책 추진 중인데, 우리나라는 2017년부터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환경성과 창출 방안을 마련, 도시의 지속가능성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탄소중립 선도 도시 사례와 도시재생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도심 내 과밀화 문제와 탄소배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당초 '도시재생뉴딜' 사업은 도시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도시 노후화와 탄소배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린도시',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법·제도의 제·개정 및 이를 바라보는 이해관계자의 시각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크고 작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도시재생의 첫 번째 문제점은 정책지원의 30% 이상이 일반근린형에 집중됨에 따라 주거형 도시재생 양상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임기가 제한된 지자체장이 가시적인 성과를 위하여 도시 내 인프라 확충에 집중한 결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두 번째,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계획수립과정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검토와 환경성 평가에 대한 고려 부족으로 기후 위기 대응에 미흡한 실정이다. 노후 도시의 주거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인 도시 탄소 감축을 위하여 건물 - 마을 - 도시 등 여러 공간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세 번째, 치·이수 위주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탄소 중립 대책이 미흡하다. 대응 방안으로는 자원의 관점에서 물 소비 감소 촉진 및 재생에너지 증가 전략이 필요하다.

  • PDF

Big Data Platform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for Smart City Development (스마트 시티의 발전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적용)

  • Moon, Seung Hyeo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2
    • /
    • pp.529-534
    • /
    • 2020
  •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is in line with evolution of cities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caused by industrialization. Up to now, a city has been developed owing to transportation cost reduction and needs for land utilization as a limited core business district. Continuous increase of urban population density has accompanied by lots of problems socioeconomically such as rise of land value, traffic congestion,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air pollution, etc. Those issues are difficult to be solved in existing city ecosystem. However, a clue for solving the problems could be found in there. The design of Seoul mid-night bus route was from analysis of movement of people in the rural area by using ICT so that a city ecosystem should be firstly analyzed for solving rural issues. If the cause of those is found, big data platform construction is required to raise the life quality of citizen and the problems could be solved. Big data should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platform connected with every element of city based on ICT for real-time collec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This paper addresses construction of big data platform and its application for sustainable smart city.

Urban Climate and Urban Ecology (도시기후와 도시생태)

  • 이현영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24-229
    • /
    • 1997
  • 쾌적하고 능률적인 생태도시 건설을 계획할 때는 도시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공공시설의 입지선정을 신중히 해야한다. 도시계획과 운영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도시는 쾌적한 촌락환경과 크게 다르게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시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 관련된 모든 분야 즉, 도시계획, 토목공학, 생태학, 기후학, 지리학 등의 전문가들이 함께 문제를 검토하고 계획하는 학제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즉, 도시의 기온분호으 ㅣ패턴, 탁월풍과 도로망 및 구조물의 배열, 도시공원과 가로수의 적정 수종을 이해한다면 도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싼 대가를 치르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한 도시의 행정책임자는 쾌적한 도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제도 및 업무수행에 유연하여야 할 것이다.

  • PDF

Study of an Applicability of an Urban Design Method Using Artificial Life Theory (인공생명이론을 이용한 도시설계방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Lim, Myunggu;Kim, Kyoonta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9 no.4
    • /
    • pp.93-101
    • /
    • 2018
  • A city is like a living organism that is born, grows and become extinct within an ecosystem.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cities have been planned by designers rather than spontaneously growing over time. This planning means that if a city is not appropriately designed at the beginning, it is very hard to fix or adjust it later. A poor urban design inconveniences many people, and forces them to adjust to it.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design a city as optimally as possible at the design phase. One of the reasons why a city is not designed optimally is complexity. Previous urban design methods have attempted to resolve the complexity by using a top-down problem-solving method based on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urban planner. However, such an approach does not have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a bottom-up problem-solving method of an artificial life, based on the creation principle of the eco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general principle of artificial life, which can provide a solution to the bigger problems that accumulate as a result of the solutions to small units of problems, is adopted. This enables us to draw various urban design alternatives, and it proves that the alternatives, despite being drawn through a limited modeling method, have almost no differences from those designed by an expert, and its possibilities of future development has also been verified.

Estimation of Water Cycle Management Goal in Waterfront City (수변도시 물순환 관리 목표 산정)

  • Kim, Hyung san;Lee, Sang jin;Kim, Baek joong;Baek, Jo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3-413
    • /
    • 2017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대는 지하수함량 감소, 도시열섬화 증가 및 도시 하천의 건천화를 발생시켰으며, 최근들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를 중심으로 도시지역의 물순환 회복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시개발에 따른 물순환 왜곡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단계에서부터 도시개발에 필요한 물순환 목표를 설정하여 도시를 개발하는 수변도시 및 물순환 도시를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수변도시의 물순환 설계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강우의 발생으로 인한 빗물은 소유역별 분산관리를 통해 발생지점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과 개발되는 대상지역의 물순환을 개발 이전의 물순환 체계에서 크게 변화가 없도록 개발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를위해 저영향개발과 같은 비점오염 처리 시설과 더불어 LID 시설이 추가된다면 좀더 합리적인 물순환 과정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K-water에서 수변도시로 개발하고 있는 송산그린시티사업의 동측지구를 대상으로 물순환 계획 및 설계에 대하여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기존 물순환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도시의 주요내용을 검토하였으며, 향후 분석결과를 실제적으로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The shaping of C.B.D. and Sub-C.B.D. in Seoul (서울의 都心과 副都心의 形成)

  • ;Ri, Yeongtae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
    • /
    • pp.31-40
    • /
    • 1970
  • 도시지리학은 도시사회학으로, 또한 공간경제학의 측면에서 계통화되어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2, 3의 지리학자에 의하여 도시분류를 시도하는 단계에 있고, 일부 사회학자에 의하여 토지이용, 지역배치 등이 개척되었으나 도시구조에의 approach는 미흡한 면이 많다. 근래 지역개발이 고창되고 도시화에 따르는 제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여러 분야에서 많은 실적이 발표되어가고 있다. 본고은 이와 같은 시점에서 도시문제해결의 제1수단이 되는 도시역, 도심, 폭도심의 형성, 구심과 난심등에 걸쳐 서울의 예를 들어 조사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New PCR of DNA Computing (DNA 컴퓨팅의 새로운 PCR 연산)

  • 김정숙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2 no.10
    • /
    • pp.1349-1354
    • /
    • 2001
  • In the Traveling Salesman Problem(TSP), a set of N cities is given and the problem is to find the shortest route connecting them all, with no city visited twice and return to the city at which it started. Since TSP is a well-known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 and belongs to the class of NP-complete problems, various techniques are required for finding optimum or near optimum solution to the TSP. Especially DNA computing, which uses real bio-molecules to perform computations supported by molecular biology, has been studied by many researchers to solve NP-complete problem using massive parallelism of DNA computing. Though very promising, DNA computing technology of today is inefficiency because the effective computing models and operation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bio-molecules have not been developed yet. In this paper, I design new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operations of DNA computing to solve TSP.

  • PDF

Deep Learning City: A Big Data Analytics Framework for Smart Cities (딥러닝 시티: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제안)

  • Kim, Hwa-Jong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4 no.4
    • /
    • pp.79-92
    • /
    • 2017
  • As city functions develop more complex and advanced, interests in smart cities are also increasing. Smart cities refer to the cities effectively solving urban problems such as traffic, safety, welfare, and living issues by utilizing ICT. Recently, many countries are attempting to introduce big data,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smart cities, but they have not yet developed into comprehensive urban service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smart cities and suggest ways to solve issues of data sharing and service compatibility. To this end, we propose a "Deep Learning City Framework" that incorporates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into smart city services, and propose a new smart city strategy that safely shares spatial and temporal data in cities and converges learning data of various c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