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공원화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초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을 적용한 도시공원 개선계획 - 보라매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f Improvement Plans for Urban Parks through the Application of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tandards - A Focus on Boramae Park-)

  • 서은실;구본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00-110
    • /
    • 2015
  • 고령화 및 다문화, 사회적약자의 외부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어 공원에서도 이들의 편리한 이용을 위한 시설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에 따른 기존공원의 BF인증 가능성을 분석하고, BF인증평가기준을 적용한 공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공원 오는 길 및 공원 내 주요 시설지를 연결하는 무장애 동선을 확보하고, 주요 시설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공원시설을 개선하며, 장애인 등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안내체계를 개선하여 보라매공원을 무장애 공원으로 조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도시공원의 BF인증 가능성 여부를 진단해 보고,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한 무장애공원 계획을 수립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BF인증제도의 한계점과 과제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첫째는 BF인증제도에 대한 이해와 인식부족이다. 공원의 계획, 설계단계에서부터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고려가 필요하나 설계 및 공사완료시점에 인증에 대한 검토를 함으로써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큰 실정이다. 둘째는 공원의 BF인증 평가항목이 지형의 기복 및 기존 수목 등의 자연적 제약조건이 큰 외부공간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세부평가항목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공원의 입지적 여건을 고려한 무장애 공원의 가이드라인 수립 및 공원의 BF인증 평가항목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전체 주민과 노인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Urban Open Space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 Focusing on Whole Residents and the Elderly -)

  • 윤정미;최막중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1-29
    • /
    • 2014
  • 소득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이 중시되는 시대로 접어들면서 건강과 여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과 도시민의 여가의 관계에 주목하여 공원, 하천과 같은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거주민, 특히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관심사인 노인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여가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와 공급요인 중에서 선행연구는 주로 수요측면의 개인 특성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본 연구는 공급측면의 환경적 지역적 특성을 함께 고찰하는 특성을 지닌다. 분석자료는 개인의 거주지역 정보가 행정동의 근린수준까지 세분화되어 있는 2010년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인 및 지역특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함께 위계선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모형에서 일관되게 발견되는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공급은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러한 오픈스페이스 공급효과는 노인계층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 셋째,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제공하는 옥외 여가활동은 상대적으로 소득수준, 교육수준이 낮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게 더욱 유용하다. 종합하면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공간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노인시설, 공공보건시설, 사회복지시설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오픈스페이스는 도시계획시설의 관점에서 고령화사회에 대응하고 건강도시와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지방공공재 공급계획의 일환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도시 주거지 학교와 공원의 주차장 입체화 사례의 형태와 이용 특성 분석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Mixed-use Schools and Parks with Parking Facilities in Urban Residential Areas)

  • 김윤선;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1-12
    • /
    • 2011
  •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ife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the more highly a city has developed, the more concentrated is the urban function. That is, a city is required for adding more infrastructure. But, both limited land resources and financial problems made it impossible to add infrastructure. So,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planning of urban infrastructure was recognized. Especially,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a mixed-use of the playground of a school and the empty space of a park is desired to serve the issue of insufficient parking spaces. Schools and park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a town, and playing a central role for the town life. For this reason, they are highly demanded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also expected to be effective. However, we need to consider not only parking convenience but also the safety of users in design process, because people using parks and schools include young students and the elderly. In this study, we mainly examine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schools and parks with parking facilities in urban residential areas. Then, we analyzed cases through comparing and evaluating in terms of convenience and safety. and weighed up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chools and the parks having parking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references for preparing design standards for such facilities.

도시 주거지 학교와 공원의 주차장 입체화 사례의 형태와 이용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Mixed-use School and Park with Parking Facility in Urban Residential Area)

  • 김윤선;양우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3-158
    • /
    • 2011
  • According to the change of life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the more city has highly developed, the more concentrated urban function. That is, city is required for adding infra structure. But, both of limited land resources and financial problems made it impossible to add infra structure. So,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planning of urban infra structure was recognized. Especially, In Urban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secure parking area, It is on the increase that mixed-use of the playground of school in the high density area and the empty space of park. School and park is closely connected with town community, playing a central role on town life. For this reason, they are highly demanded for providing space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and also expected to be effective. However, people using park and school are almost young students and the elderly, it needs to consider not only the parking convenience also the safety of users in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mixed-use of school and park. and then evaluated the case in the point of convenience and safety. For this, first we selected the case among the sites constructed in seoul, and divided 2type of 'slope type' and 'flatland typ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lementary standards for design in the point of multi-dimensional land use planning.

  • PDF

지역특성화를 위한 디자인적 접근방안 -테마공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 Approach for the Localization -Focused on Theme Park)

  • 박노석;정지원;이규백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39-47
    • /
    • 2000
  • 산업화, 도시화는 획일화, 규격화시키는 부작용을 낳았다. 근대화 이후 각 지역은 그 고유의 개성을 상실한 채 성장을 거듭하였다. 그러나 국제화, 지방화라는 시대적 상황속에서 그 지역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경제, 문화활동은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이를 기반으로한 지역발전의 출발점이 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지역의 특성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디자인을 통한 적극적인 개발의 결과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지역의 문화를 중심으로한 문화산업의 발굴과 개발은 굴뚝없는 산업으로서 그 중요성과 경제적인 가치를 고려할 때 시급히 정립되어야 할 분야이다. 또한 디자인이 기존의 상황을 전혀 새롭고 창의적인 고부가의 가치로 전화시키는 중요한 수단이라는 인식의 확산은 지역특성화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새롭게 인식하게 하고 있다. 지역의 특성을 규정하는 요소에는 도시이미지 형성작업, 경관 디자인, 문화산업, 지역개발등의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의 특성화를 위한 다양한 디자인적 접근 방안중 울산만의 개성있는 지역문화와 자연환경을 배경으로한 테마공원 조성안을 중심으로 지역특성의 디자인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재해예방을 위한 도시계획시설의 타당성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and Utility of Urban Plan Facilities for Prevention of Disaster)

  • 최웅;박정용;김영균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7-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시 특성변수와 도시계획시설 공급패턴의 상관성을 업무 담당자의 직무에 대한 견해와 다변량분석을 시행하여 도시관리계획 수립단계에서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자발적인 주민 참여와 의견을 행정에 반영하여 제도적으로 주민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시계획시설의 공급특성에 따른 관리방안으로서 중요도와 효용성이 높은 시설인 도로, 공원, 상하수도 시설 동은 선계획 및 후개발 정책을 강화하고 효율과 형평의 요소를 조화시킬 수 있도록 정부의 서비스 공급을 축소하고 민간서비스가 가능한 행정에 대해서는 민간참여를 확대해 나가는 관리방안이 필요하고 향후 효율적인 도시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공서비스의 공급 수행을 정부가 공급하는 확대지향적인 성향을 억제하고, 민간참여를 위축하는 각종 규제를 대폭 완화하여 민영화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법과 제도를 보완하는 도시계획시설의 관리방안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도시정원 도입을 위한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 평가 (Feasibility of Green Network in a Highly-dense Urbanized Area by Introducing Urban Gardens)

  • 최희준;이정아;손희정;조동길;송영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2-26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들의 경관생태학적 특성과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잠재적인 녹지패치들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생활권 내 녹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정원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공원 서비스 소외지역 및 중점녹화지구로 분류된 역삼동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우선, 대상지 일대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의 현황을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녹지 네트워크 분석 및 잠재적 녹지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FRAGSTATS를 통한 경관지수 분석 및 다중버퍼생성분석을 통한 연결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 내 녹지면적은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녹지의 유형별 특징으로는 가로녹지의 경우 핵심지역면적(TCA)이 $1,618m^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선형 연결 녹지임에도 공원($1,128m^2$)에 상응하는 크기를 보였고, 개인정원의 경우 패치의 모양이 불규칙하면서도(ED=78.1m/ha), 최근린 평균거리가 33.9m로 낮아 사유지내에서의 자유로운 정원조성을 통해 고밀 시가화지역의 녹지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자투리공지의 경우 대상지 내 가장 고루 분포하는(LPI=5.7%, SHEI=0.9) 녹지유형이나 외부교란에 노출되어 있어($TCA=66m^2$), 이를 고려한 정원으로의 활용방안을 시사하였다. 대상지 내 녹지네트워크 형성에 있어서도 50m의 버퍼 범위를 연결녹지로 상정한 경우 전체 대상지의 84%가 소규모 녹지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투리공지의 연결만으로도(27%) 가로녹지(26%) 조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구축효과가 기대되었다. 이에, 주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자투리 공공녹지에 지역기반의 커뮤니티 가든 등 도시정원 조성을 장려하고, 가로녹지, 개인정원, 옥상정원도 동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고밀 시가화지역 내에 녹지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정책화 과정과 동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and Processes of Regional Policy on the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Suncheon Bay Korea 2013)

  • 이정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849-864
    • /
    • 2014
  • 이 논문은 2013년 순천시에서 열린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구상이 지역정책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에 대한 특징과 영향요인을 고찰하였다. 정원박람회 개최구상의 정책화 과정은 제1단계(1992-2002)인 순천만 보전운동 태동기, 제2단계(2003-2007)인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조성기, 제3단계(2008-2010), 정원박람회 개최구상 정책화 및 박람회 유치기, 제4단계(2011-2013)인 박람회장 조성 및 박람회 개최기 등으로 구분되었다. 정원박람회 정책화 과정에는 많은 사회 정치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지만, 순천만 존재와 순천만 보전을 위한 시민운동, 광양만권에서 중심도시를 유지 강화하려는 순천시 도시발전전략, 도시정책 연속성을 유지한 지자체장과 지역사회의 리더십, 인접한 여수시와의 연대와 경쟁의식 등이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메가 이벤트 개최를 통해 순천시는 도시이미지 개선, 순천만정원이라는 공공재 확보, 환경을 중시하는 도시정책을 추진한 지역사회의 리더십 구축 등에서 일정한 성과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PDF

뚝섬유원지의 생성과 공원화 (The Creation of Ttukseom Pleasure Ground and Its Transformation to a Park)

  • 김정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27-142
    • /
    • 2018
  • 뚝섬 일대는 조선 시대 국마를 기르던 목장과 내농포가 있던 교외 지역이었다. 일제 식민지기, 이곳에는 유원지가 조성되었고, 광복 이후 도시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공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뚝섬유원지의 조성부터 공원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유원지의 경관과 문화적 특성을 도출한다. 1930년대 교외 철도를 운영했던 경성궤도는 승객 유치를 위해 뚝섬에 유원지를 조성한다. 이는 철도 연선에 유원지를 조성했던 일본 사철의 경영 방식을 모범으로 개발된 것이다. 식민지기 뚝섬 일대의 농업 경관은 대중매체를 통해 도시와 대비되는 목가적인 '전원 풍경'으로 묘사되었다. 뚝섬유원지는 경성 서민들의 대표적인 여름 피서지로 떠올랐으며, 경성부에 의해 관리되는 계도의 장이기도 했다. 광복 이후 뚝섬은 서울에 편입되고, 유원지 역시 서울시에서 운영했다. 1960년대부터 뚝섬 일대가 도시화되면서 뚝섬에 공원 혹은 대규모 유원지를 개발하려는 계획이 지속적으로 수립되지만 구현되지 못했다. 광복 이후에도 뚝섬유원지는 식민지기의 운영과 이용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1980년대 후반 시민공원으로 재탄생한 뚝섬유원지는 한강변의 모래사장은 사라졌지만, 노천 수영장, 캠핑장, 보트놀이 등 과거의 시설과 주요 활동들이 현재까지도 주요 프로그램으로 이어지고 있다. 뚝섬 일대의 도시화가 일단락되고 전원 이미지를 구성했던 요소가 사라지면서 유원지로서의 매력도 상실한다. 과거 뚝섬유원지에서 제공했던 동적 레크리에이션은 공원에서 일상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뚝섬유원지에서 뚝섬한강공원으로의 변화는 서울의 도시화 과정의 산물인 동시에, 유원지와 공원의 습합 과정을 보여준다.

도시공원 생태적 배식의 조성 단계별 문제점 고찰 및 개선방안 -서울시 여의도공원 자연생태의 숲을 사례로- (Problem Analysis and Suggestion for Improved Approaches to Ecological Planting and the Establishment of Urban Parks -A Case Study of the Nature Ecological Forest in Yeouido Park, Seoul-)

  • 성경호;이경재;최진우;김종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1-10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현실을 고려한 도시공원의 생태적 배식기법을 마련하기 위해 여의도공원 자연생태의 숲의 조성단계별 문제점과 원인을 고찰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시설계단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배식모델과 도면작성이 불명확하게 제시되었고, 식재수량 및 규격이 비현실적이었다. 시공단계에서는 설계도면과 다른 유사수종 및 다른 규격의 수목이 식재되었고, 목표군락에 따른 토양환경 기반 조성이 이루어지지 못해 생태적 배식에 한계가 있었다. 관리단계에서는 하자보식 처리가 미흡하고, 하자보수 담보기간 이후의 관리대책이 부재하였다. 도시공원 생태숲 조성을 위한 단계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시설계단계에서는 반드시 목표 배식모델을 고려하여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별 식재도면을 작성해야 하고, 수목 자원조사결과를 통해 현실적으로 가능한 식재종 및 규격을 제시해야 한다. 시공단계에서는 이식대상 수목에 인식표를 부착하여 적정한 식재종 및 규격으로 식재가 이루어져야 하며, 수종 변경시 식재모델에 적합한지를 검토하도록 시방서에 명기하고, 규격 변경시 실제규격으로 준공처리를 하고, 목표모델에 적합한 토양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반입 토양의 의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관리단계에서는 관급수목에 대한 하자처리를 위해 설계시 일정 할증율을 반영하고, 하자보수 담보기간을 2년에서 5년으로 확대하며, 시간변화에 따른 목표군락별 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준공후 5년 동안 모니터링 의무화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