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계획단계

Search Result 33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Utilization of Noise Map in the Stag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on Development Project (개발계획 환경평가 단계에서의 소음지도 활용방안)

  • Sun, Hyo-S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3
    • /
    • pp.29-46
    • /
    • 2010
  • This study presents plans to prevent environmental noise by using noise maps when establishing development projects and targets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s for urban master plan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s for urban master plans include the examination of plan validity and location appropriateness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environmental noise by comparing development plans with noise maps, and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measures through comprehensive assessment of present noise conditions and noise effects from development plan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propose enforcement plans, including analysis of present noise conditions around development areas, overall evaluation of present noise conditions and the noise effect from development projects, and selection of optimal measures by comparing noise maps with various alternatives.

  • PDF

A Study on the Urban Biotop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도시비오톱의 유형분류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나정화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2
    • /
    • pp.129-142
    • /
    • 1999
  • 생태도시계획의 핵심토대로서 UBM(Urban Biotope Mapping)과 BIS(Biotope Information System)는 총 5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2단계의 연구로서 독일 도르트문트시를 사례지로 한 도시비오톱 유형분류방법을 규명해 보고 우리 나라 적용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유형분류결과 biotope group complex는 총 12개, biotope group은 총 67개, detail biotope은 총 1,120개로 나타났다. 면적점유율 및 분포현황의 분석결과 습지초원 및 반건초지 초원비오톱(전체 면적 0.8%)이 희귀비오톱으로 분류되었으며, 분구원지역비오톱(전체 면적의 2.8%)의 다양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적용가능성이란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다른 도시발전형태에 따른 토지이용패턴의 상이성보완이 필요하고, 더불어 기타 도시생태관련자료에서 지형(적)도(1 : 5,000) 및 적외선 칼라항공사진(1 : 5,000)은 최소한의 자료로 준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북한 농업부문의 시장화: 협동농장과 '장마당'을 중심으로

  • Kim, So-Yeong
    • KDI북한경제리뷰
    • /
    • v.21 no.10
    • /
    • pp.29-72
    • /
    • 2019
  •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농업부문에서 계획과 시장의 공존 양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 협동농장의 계획 수행 과정을 계획수립-계획실행-계획평가 단계로 나누어 추적한 결과, 협동농장에 대한 계획화체계의 골격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유지하고 있다. 계획수립과 계획평가 단계에서는 명령식 계획경제의 틀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계획실행 즉 자금·자재·노동력 등 생산요소 확보-생산-생산물 처분 단계에서는 당국 및 상급기관의 사실상 방임 하에 협동농장이 적극적인 시장과의 연계를 통해 자력으로 일을 추진하고 있다. 농업부문의 계획 밖 영역, 즉 시장에서의 변화실태를 파악한 결과, 농업관련 제반 시장들이 새롭게 만들어져 성장하고 있다. 농산물 소비재시장(곡물시장, 채소시장, 축산물시장, 과일시장), 농업 및 비농업 생산재시장(영농자재시장, 식품원료 및 식자재시장)이 생겼으며 점차커지고 있다. 도시의 구매력 향상에 따라 다양한 먹을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자가소비를 목적으로 생산하던 농산물을 남에게 팔기 위한 '상품'으로 인식함으로써 수요를 겨냥한 공급 확대 등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다. 농촌의 구매력도 커지면서 영농자재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늘어났다. 이는 시장화에 일시적으로 후행하던 농촌이 도시 수요를 겨냥한 농업생산에 본격적으로 나서게 됨으로써 시장경제적 질서에 재편입하고, 시장연계활동의 많고 적음에 따라 농촌간 격차가 나타나는 등 북한 농업부문이 개발도상국 경제에서 출현하는 농업근대화의 초기 양상과 일부 유사함을 말해준다.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and Physical Planning and the Role of Participants for Ubiquitous City (u-City의 공간개념과 도시건설의 주체별 역할)

  • Choi, Bong-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
    • /
    • pp.438-445
    • /
    • 2009
  • Recently, the concern of ubiquitous City(u-City) in each level of governments is on the increase, and they are professing themselves to follow the u-city concept on constructing new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newal project. But the u-city plan and construction proceed as the simple sets of advanced technology without fundamental space concept or space plan of the u-city. Therefore, the u-city as a citizen's living space and a basic urban environment is defined in this article, the viewpoint of the space plan and the recent trends of u-city in korea are reviewed. On the basis of this review, this article proposed an approach of the spatial plan for a u-city construction, here the approach consisted of the 3 stages of planning,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of the u-city, and finally the role of the participant in the each stage and spatial hierarchy was propose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ramework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Focused on Yeonje-Gu and Nam-Gu in Busan, Korea (도시물순환 개선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 프레임워크 개발 및 시범적용 - 부산시 연제구 및 남구를 대상으로 -)

  • Kang, JungEun;Lee, MoungJin;Koo, YouSeong;Cho, YeonHee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3 no.3
    • /
    • pp.43-73
    • /
    • 2014
  • Cities in Korea have rapidly urbanized and they are not well prepared for natural disasters which have been increased by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they often struggle with urban flooding. Recently, green infrastructure has been emphasized as a critical strategy for flood mitigation in developed countries due to its capability to infiltrate water into the ground, provide the ability to absorb and store rainfall, and contribute to mitigating floods. However, in Korea,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only focuses on esthetic functions or accessibility, and does not think how other functions such as flood mitigation, can be effectively realized. Based on this, we address this critical gap by suggesting the new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ramework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and maximizing flood mitigation capacity. This framework includes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identifying flood risk area and deciding suitable locations for green infrastructure. We propose the use of the combination of frequency ratio model and GIS for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framework also includes the selection process of green infrastructure practices under local conditions such as geography, flood experience and finance. Finally, we applied this planning framework to the case study area, namely YeonJe-gu an Nam-gu in Busan. We expect this framework will be incorporated into green infrastructure spatial planning to provide effective decision making process regarding location and design of green infrastructure.

  • PDF

Integrating Urban Planning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Enhancing Citizen Participation : Focusing o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 in Kenya (도시계획과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시민 참여 확대 방안: 케냐 ODA 사업 사례를 바탕으로)

  • Yeom, Jaeweon;Ha, Dongoh;Jung, Juchu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9 no.5
    • /
    • pp.338-349
    • /
    • 2020
  • The importance of citizen participation, especially in urban planning, is increasing. Citizen participation is the sharing of control or influence on decisions and choices that affect stakeholders, and providing citizens with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paradigm of urban planning has also shifted from the rational planning model, which relied solely on the rationality of planners, to expand citizen participation. In fact,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vision for comprehensive plan is expanding, especially in metropolitan governments such as Seoul, Busan, and Daegu. However, there are criticisms that citizen cannot practically participate in urban planning due to limited participation methods and lack of participation in the pre-planning process.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iz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urban planning has been raised.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s, foreign countries have integrat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into the urban planning to institutionalize citizen participation and pursue sustainability of the plan. In particular, the EIA actively includes citizen participation from the scoping stage to identify the issues.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guaranteeing sustainability of the plan since EIA is carried out only at the urban project level. In other words, in order to expand citizen participation and ensure sustainability through the integrated approach, analysis of EIA in urban planning level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a case study of EIA in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f the Kenya multi-purpose dam construction to analyze the impact assessment in a wider scope than the urban project-level.

Analyzing the effect of LID(Low Impact Development) using the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CAT을 이용한 LID(Low Impact Development) 효과 분석)

  • Jang, Cheol-Hee;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78-278
    • /
    • 2012
  • 최근 녹색도시를 지향하면서 도시 내에서의 물의 순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물의 순환을 고려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토해양부, 환경부, 소방방재청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법령, 기준, 지침 및 조례 등을 제정하여 물순환을 도시개발 이전의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시설 설치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시설들의 조합이 유역규모의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 평가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홍수저감을 목적으로 홍수저류지와 침투시설에 대하여 설계하고 시공을 하였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LID 시설의 효과를 평가하여 도시 계획 단계에서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이들 개별 LID 시설(침투, 저류 등)에 대한 단위 시설의 규모 설계에 그치고 있어 개선 시설이 다중으로 조합되어 분산 계획되었을 경우, 유역 규모에서 물순환의 긍정적인 변화를 판단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도시지역에서의 LID(Low Impact Development) 효과 분석과 연계된 유역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독일, 호주 및 미국에서는 STORM, Urban Developer, SUSTAIN(System for Urban Stromwater Treatment, and Analysis INtegratration) 및 SWMM LID(Storm Wastewater Management Model LID) 등의 모형을 출시하고 실무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에서 개발된 기술은 국내의 유역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 저수지 혹은 하천에서의 취수 등과 같이 국내의 복잡한 물순환 형태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기존의 물순환 해석모형에 의한 LID 시설을 계획하는 방법은 홍수저감에 국한되어 있고, 하천 유량이나 지하수위 측정 자료가 부족한 대상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유역 물순환 및 도시 개발과 같은 토지이용 변화가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는데 있어 제한이 있고, 개별적으로 설치된 LID 시설들이 유역의 물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종합적, 정량적으로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개발 지역의 장기간에 걸친 물순환의 변화를 예측하고 물순환을 개선시키는 대안 시설의 효과를 사전에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김현준 등(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1)이 개발한 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였다. 특히, CAT은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 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대상유역으로는 경기도 Y지구를 선정하였으며 도시개발 시나리오(전원도시 및 산업도시 등)에 따른 LID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도시유형별 개발계획에 따른 개발 전 후 물순환 변화량 분석 및 LID 시설 계획에 의한 물순환 개선효과를 살펴보면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평균 강우량을 1,271mm라고 할 때 산업도시의 경우 도시 개발 전의 증발산, 직접유출 및 기저유출은 각각 53%, 29%, 19%로 나타났으며 도시 개발 후 35%, 54%, 12%로 직접유출이 개발 전에 비해 86%나 증가하여 개발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LID 시설을 계획하여 효과를 분석한 결과 증발산, 직접유출, 기저유출이 44%, 34%, 13%로 나타나 도시 개발 후의 왜곡된 물순환 체계가 개발전의 수준과 근접하게 나타나 LID 시설의 긍정적인 효과를 검토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CAT 모형을 사용하여 도시유역의 물순환 체계를 진단하고, LID 시설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향후 도시유역에 대한 물순환 정상화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설계 실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Detailed Risk Information based on Risk Zoning for Preventing Urban Flooding (도시침수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상세 위험도 주제도 개발)

  • Kim, Mi-Eun;Kim, Seul-Ye;Lee,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3-123
    • /
    • 2017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은 호우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극한 호우에 의해 발생되는 도시침수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시설물 대책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지자체가 수립하는 공간계획을 통해 토지이용, 건축물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예방전략 마련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 도시계획 담당자가 기후변화를 고려해 방재대책을 마련하는데는 국가 차원의 표준화된 방법론의 부재, 침수해석을 위한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가 도시계획에 실효성 있는 방재대책을 마련하는데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침수에 대한 상세 위험도 주제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의 영향과 도시지역의 유출 특성을 고려해 방재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강우 시나리오 기준으로 지속시간 1시간에 대한 재현빈도 30년과 100년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강우 시나리오 기준에 따라 도시지역 내 내수 외수의 침수발생 원인을 고려해 침수심 지도를 생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침수해석 모형인 HEC-RAS와 SWMM을 선정하고, 공간적 제약이 없이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모형의 구축 절차를 간소화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간소화된 침수해석 모형 결과를 토대로 강우 시나리오별 침수심 지도를 제작하고, 강우 시나리오와 침수심을 기준으로 위험정도에 따라 Red zone, Orange zone, Yellow zone, Green zone으로 영향권을 설정하였다. 실질적으로 각 영향권에 적합한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방재대책 수립이 가능하도록 노출특성과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출특성은 영향권에 노출된 토지이용면적(m2)과 거주인구수(명)로 평가하고 취약성은 영향권 내 취약한 건축물 수(지하 또는 노후 건축물), 보호대상시설물 수로 평가하였다. 침수 발생이 예상되는 영향권별 노출특성과 취약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위험이 높은 지역(Red zone)은 공간규모를 축소해 상세 위험도 공간정보 주제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위험도가 높은 지역은 작은 공간 단위로 노출특성과 취약성을 분석해 상세 위험도 주제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세 위험도 공간정보는 지자체가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 실질적인 방재대책을 강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행정도시 첫마을 국제설계경기의 의미와 파급 효과

  • Kim, Dong-Ho
    • 주택과사람들
    • /
    • s.197
    • /
    • pp.94-95
    • /
    • 2006
  • 충남 연기군에 조성되는 행정도시 첫마을 사업은 기존의 밀어붙이기식 도시 개발과는 차원이 다르다. 정부가 국내 최초의 국제설계경기를 통해 계획 단계에서부터 입체적인 조성을 고려한 혁신적인 개발 방식을 도입한 것. 지난 9월 1일 첫마을 사업의 당선작이 선정됨에 따라 드디어 행정줌심 복합도시의 윤곽이 드러났다.

  • PDF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Policy for the Industrial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Shrinkage - A Case Study on Shrinking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by the Coal 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폐광지역 산업도시의 도시축소양상과 도시공간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석탄산업합리화조치에 따른 폐광지역 축소도시에 대한 사례 연구)

  • Chi, Eun Hee;Han, Dong Gyu;Jeoung, Chan Gu;Kang, Jun M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1
    • /
    • pp.135-144
    • /
    • 2022
  •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type of urban shrinkage over the past 20 years for four case cities designated as abandoned mining area promotion zones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urban spatial policies through the analysis of shrinking statu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urban shrinkage in the past 20 years, all of the case cities were analyzed as fixed-type shrinking cities, showing a population decrease of more than 30% over the past 40 years compared to the peak population. Despite the decrease in population, the designated area of urbanization and non-urban areas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development permit and construction permit in non-urban areas are also increasing, requiring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urban space. It is necessary to study military-level cities in the high-risk phase of extinction in the future, and to develop various indicators for segmentation of urban shrinkage types and analysis of status by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