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건축통합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5초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 정재희
    • 건축사
    • /
    • 통권513호
    • /
    • pp.72-75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먼저 친환경건축을 위한 통합설계에 대해 살펴보고 대표적인 사례로 Treasure Island Master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어서 Parkmerced Vision Plan, Transbay Terminal Master Plan, Encinal Terminal Master Plan & Other cases를 총 5회에 걸쳐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 정재희
    • 건축사
    • /
    • 통권515호
    • /
    • pp.72-76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서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세번째 사례로 Transbay Transit Center Master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 정재희
    • 건축사
    • /
    • 통권517호
    • /
    • pp.68-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는 마지막 완결편으로 지금까지 4회 연재한 사례들에 대한 시사점을 종합하고자 한다.

  • PDF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 정재희
    • 건축사
    • /
    • 통권514호
    • /
    • pp.68-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두번째 사례로 Parkmerced Vision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 정재희
    • 건축사
    • /
    • 통권516호
    • /
    • pp.67-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네번째 사례로 University of California, Merced Master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지구단위계획의 현황과 전망

  • 최찬환
    • 건축사
    • /
    • 3호통권383호
    • /
    • pp.105-109
    • /
    • 2001
  • 개정된 도시계획법에서는 종전에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도시설계제도와 도시계획법에 규정하고 있던 상세계획을 발전적으로 통합하여 지구단위계획제도로 개편하였다. 새롭게 나온 것이지만 제도 자체는 완전히 새로 도입한 것이 아닌지 종전의 두가지 제도를 통합한 것을 의미한다. 보다 적극적으로 지구적 차원의 능동적이고 상세한 계획제도의 도입이다. 그러나 현재 이 지구단위계획의 운용에 있어서는 여러 집단의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비추어 3회에 걸쳐 지구단위계획에 있어서의 현황과 전망, 계획차원에서 그리고 건축설계에 있어서의 지구단위계획의 전반적인 것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도시건축에서 공공디자인의 사회적 역할과 제도화 방안 -영국 도시건축위원회(CABE)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and policy guidelines of public design in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 이영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654-2660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의 정책수립 및 실현과정에서 필요한 담론과 이슈를 정리하여 현재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사용자참여와 공공성을 기반으로 한 도시건축에서의 공공디자인 정책수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공공디자인 영역에서 공공성의 개념, 공공디자인의 가치, 그리고 공공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이끌어 내기 위한 구체적 정책수단에 대한 사례로서 영국 도시건축위원회인 케이브의 활동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향후 공공기관이 공공디자인정책을 수립할 때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올바른 의사결정을 위한 디자인 지원과 디자인 리뷰제도를 중심으로 케이브의 사례가 시사하는 바를 분석하여 기존의 공공디자인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통합 형 공공디자인 모델의 기본개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통합디자인은 가치의 통합, 방식의 통합, 주체의 통합, 이슈의 통합, 장소의 통합 등의 다자간 협력과 소통, 통섭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교통관련 기반시설의 건축적 활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rchitectural Use of Urban Traffic Infrastructure)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96-299
    • /
    • 2011
  • 도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반시설들이 있고 이들은 계획방법에 따라 건축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다. 기반시설의 건축적 활용은 가용지가 부족한 도시에서 유휴공간으로 방치될 수 있는 도시 내 잃어버린 공간을 재생시킨다는 의미도 가지며 공공시설의 통합디자인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여 도시 내 기반시설 중 교통관련 시설인 교량, 도로, 교통섬 등을 활용하여 공공공간을 계획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계획특성을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탄소저감 도시계획 시스템의 통합화 방안 도출 연구 (A study on Integrating Strategy of Low-carbon Urban Planning System)

  • 박찬호;김범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99-106
    • /
    • 2013
  • 현대사회가 산업화 되고 고도성장을 이룩하며 자연환경이 훼손됨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도시차원의 구체적인 실천대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에서 많은 저탄소도시 및 녹색도시 관련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나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에서는 저탄소도시 혹은 녹색도시 구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건축, 교통, 에너지 등 각 분야별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기에 각 분야별 연구 결과들이 통합적으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탄소도시 혹은 녹색도시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관련 연구들의 현황을 조사하고, 각 분야별로 도출된 결과물을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정의하고자 한다. 논문에서 정의된 '탄소저감 도시계획 통합시스템'의 통합 모델로서 각 개별 시스템을 분석 시 데이터 로드 등에 대한 문제로 인하여 C/S 시스템으로 개발하고, 통합 시스템에 분석된 DB를 조회/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며, 통합 시스템은 Web으로 개발하는 방향으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연구개발 사업들에서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통합 모델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장에서 실제로 각 개발 성과물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