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건축통합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Jae-Hee
    • Korean Architects
    • /
    • s.513
    • /
    • pp.72-75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먼저 친환경건축을 위한 통합설계에 대해 살펴보고 대표적인 사례로 Treasure Island Master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어서 Parkmerced Vision Plan, Transbay Terminal Master Plan, Encinal Terminal Master Plan & Other cases를 총 5회에 걸쳐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Jae-Hee
    • Korean Architects
    • /
    • s.515
    • /
    • pp.72-76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서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세번째 사례로 Transbay Transit Center Master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Jae-Hee
    • Korean Architects
    • /
    • s.517
    • /
    • pp.68-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는 마지막 완결편으로 지금까지 4회 연재한 사례들에 대한 시사점을 종합하고자 한다.

  • PDF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Jae-Hee
    • Korean Architects
    • /
    • s.514
    • /
    • pp.68-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두번째 사례로 Parkmerced Vision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Jae-Hee
    • Korean Architects
    • /
    • s.516
    • /
    • pp.67-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네번째 사례로 University of California, Merced Master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지구단위계획의 현황과 전망

  • Choe, Chan-Hwan
    • Korean Architects
    • /
    • no.3 s.383
    • /
    • pp.105-109
    • /
    • 2001
  • 개정된 도시계획법에서는 종전에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도시설계제도와 도시계획법에 규정하고 있던 상세계획을 발전적으로 통합하여 지구단위계획제도로 개편하였다. 새롭게 나온 것이지만 제도 자체는 완전히 새로 도입한 것이 아닌지 종전의 두가지 제도를 통합한 것을 의미한다. 보다 적극적으로 지구적 차원의 능동적이고 상세한 계획제도의 도입이다. 그러나 현재 이 지구단위계획의 운용에 있어서는 여러 집단의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비추어 3회에 걸쳐 지구단위계획에 있어서의 현황과 전망, 계획차원에서 그리고 건축설계에 있어서의 지구단위계획의 전반적인 것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ole and policy guidelines of public design in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도시건축에서 공공디자인의 사회적 역할과 제도화 방안 -영국 도시건축위원회(CABE)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igh, Young-Bu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7
    • /
    • pp.2654-266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the issues regarding the necessary components of public design in order to provide an outlook of policy guidelines on urban design based on the concept of publicity and user participation. This paper includes an in-depth analysis of CABE in order to suggest communal notions and the values of public design that would enhance the quality of public design. Thus,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catalyzing public design regulations and policies in the future. It analyzes the design review and supportive tools for good decision-making of suggested in the CABE case in order to provide an integrated model of public design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presented by current approaches of public design. The unity of values, methods, subjects, issues, and places suggested in this paper is the key notion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ed model of public design through th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gents involved in public design process.

A Case Study on the Architectural Use of Urban Traffic Infrastructure (교통관련 기반시설의 건축적 활용 사례 연구)

  • Lee, Jung-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6-299
    • /
    • 2011
  • 도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반시설들이 있고 이들은 계획방법에 따라 건축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다. 기반시설의 건축적 활용은 가용지가 부족한 도시에서 유휴공간으로 방치될 수 있는 도시 내 잃어버린 공간을 재생시킨다는 의미도 가지며 공공시설의 통합디자인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여 도시 내 기반시설 중 교통관련 시설인 교량, 도로, 교통섬 등을 활용하여 공공공간을 계획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계획특성을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Integrating Strategy of Low-carbon Urban Planning System (탄소저감 도시계획 시스템의 통합화 방안 도출 연구)

  • Park, Chan Ho;Kim, Bum Se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2
    • /
    • pp.99-106
    • /
    • 2013
  • Through the rapid economic growth, modern society have achieved the industrialization but need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low-carbon green growth on a scale of urban area. Many studies about the low-carbon city and the green city are on going, but most of them are not integrated but go along in each area(construction, transportation, energy, etc) In this paper, we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about information system to design low-carbon city or green city, and define the method to integrate the outcomes from the each area. As a result integrated model of 'Low-carbon Urban Planning integrated System' in the paper, Individual system is developed by way of C/S form because web system raised problems for data load in analysis. The integrated system was decided to develop by way of Web form, and integrated system was developed by can use the analysed DB in the individual system. We expect this study can help future researches to develop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model to design the low-carbon city and the green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