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 공간 운영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대학도서관 창의·협력 학습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Spaces for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정영미;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01-225
    • /
    • 2020
  • 대학의 교육 목표 및 인재상의 변화에 따라, 대학도서관은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해외의 사례와는 별개로 국내의 대학 및 대학도서관 상황에 알맞은 창의·협력 학습공간 조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창의·협력 학습공간으로의 변화를 계획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현장에 실효성 있는 안내를 제공하고자 (1) 대학도서관 창의·협력 학습공간 개념 정의를 위한 이론적 검토, (2) 국내 대학도서관 창의·협력 학습공간 조성 사례 수집 및 분석, 그리고 (3) 대학도서관 창의·협력 학습공간 구성 및 구축(안)을 제시하였다. 사례 수집은 12곳의 대학도서관 현장 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운영주체, 지역, 규모를 고려하여 선정한 5개 대학도서관의 구축 및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현장에 실적용 가능한 제안을 위해 국내의 창의·협력 학습 공간의 선진적인 사례를 집중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대학도서관 운영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A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alysis of University Libraries)

  • 박현영;이혜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9-160
    • /
    • 2016
  • 본 연구는 A대학도서관의 효율성을 분석한 후 그 개선점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에 속해 있는 E그룹 대학도서관들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투입 산출요소의 세 가지 조건과 지역 범주별 조건을 구분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그 종합적인 결과는 E그룹의 38개 대학도서관과 A대학도서관은 투입요소를 증가시킴으로써 산출물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에 대한 법적 제도적 근간을 마련하여 대학의 구성원들에게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켜야 한다. 둘째, 도서관 이용교육이 교육과정에 편성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이 책을 빌리고 컴퓨터를 사용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문화 공간 및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복합공간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Establishing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 장윤금;이혜은;전경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7-356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조사로 수행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8개 기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즉 공간, 인력, 장비, 프로그램 및 지원 주체 등 5개 요소를 중심으로 운영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도서관의 규모, 예산, 사명과 역할에 따라 필요 요소의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형별 구분과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통해 기초적 수준인 '메이커 공방형', 중간 수준의 '메이커 스튜디오형', 권역 거점 수준의 '메이커 거점형(플랫폼)'의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국제과학비즈니스도서관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Library)

  • 박현희;이성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35-254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에 건립예정인 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도서관 중에서 과학비즈니스서비스라는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건립될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사례분석과 설문을 바탕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도서관의 효과적 운영방안으로 정보자원 및 특별 프로그램 인적지원 공간제공 국내 협력지원 국제 네트워크 형성의 다섯 가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도서관의 운영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구축 및 운영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eating and Managing "Makerspaces" in Libraries)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3-76
    • /
    • 2014
  • 무한창조공간을 도서관서비스와 결합시키는 것은 도서관 이용자의 삶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라 생각된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은 이용자들이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게 하고 그들이 창조할 미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와 선행연구논문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무한한 활용가능성을 제안했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을 위해 도출된 역할개념은 총 12가지로 사회소통공간으로서의 무한창조공간, 학습공간, 창조자원 공유공간, 관심주제탐색공간, 직업탐색 및 창업지원공간, 작가발굴 및 양성공간, 자가출판공간, 인큐베이터로서의 공간, 창조를 위한 협력공간, 창조를 위한 장비체험 및 활용공간,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텔링공간, 전문가멘토링 및 컨설팅이 있는 공간 등이다. 하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보다 많은 연구자들 및 관련자들이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보다 많은 활용가능성 및 역할을 제안해야 하며, 이를 통해 획기적인 개념의 도서관 역할모색을 통해 도서관의 발전과 확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89-306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운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14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례인 '무한상상실' 프로그램의 현황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해외의 메이커스페이스와 같이 확대되고 지속가능한 모형으로 발전하기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문헌 및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현황조사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의 발전과정, 프로그램 유형, 지원 유형 및 서비스 성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전담사서와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메이커스페이스의 개념 변화, 필요성, 효과성, 한계점 및 향후 발전방안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이커스페이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정책방안으로 다양하고 안정적인 재원 확보, 전문 인력 배치 및 훈련, 적극적인 자원봉사자 활용 방안, 홍보전략 수립, 지역주민이 소통하는 공간을 넘어 신기술을 통한 교육과 창조의 공간, 지역 아카이브 생성의 '메이킹'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공간으로서의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Aligning Academic Library Makerspaces with Digital Literacy Education Space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25-44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의 초기 단계인 현 시점에서 메이커스페이스가 대학도서관의 지속가능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공간 및 서비스로 발전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와 관련된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재정지원, 교육 효과 및 디지털리터러시와 평생학습 등의 도서관 목적과의 연계성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필요성, 효과성, 활용성에 대한 사서의 인식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가 단순한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 등의 새로운 기기를 제공하는 창조 및 협업공간을 넘어 메이커스페이스의 구축이 대학도서관의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목표에 어떻게 부합되는지의 이슈와 더 나아가서 대학의 근원적 사명인 '창의적인 인재 양성'이란 교육적 사명과 연계할 수 있는 운영방안이 제시되었다.

스마트폰 무선신호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공간이용행태 분석 (Analyzing Library Space Use Patterns in a Public Library Through Smartphone WiFi)

  • 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5-3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스마트폰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공공도서관 공간을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이용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공간이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이용자의 스마트폰 무선신호를 감지하여 이용자의 동선을 추적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로데이터로 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서울시내 한 구립도서관에서 4개월 동안 수집된 이용자 공간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평균 37.9%의 이용자들이 익월에도 이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 중의 50%는 7분 미만으로 도서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을 이용하는 시간을 분석한 결과, 오후 2-3시 사이에 이용자들이 가장 많았으며 주말 오후 5시 이후에는 이용자가 매우 적게 나타났다. 층간 공간이동을 분석한 결과, 서가가 위치한 3층과 4층 사이의 공간이동이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무선신호를 이용한 도서관 공간이용행태를 분석하는 방법론이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관찰을 통한 분석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도서관 공간이용 분석에 적극 활용된다면 도서관 공간운영의 활용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도 양평군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Revitalizing Public Libraries Reflect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Yangpyeong-gun)

  • 전경선;신동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3-423
    • /
    • 2022
  • 본 연구는 양평군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평군 지역특성 및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양평군민(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서관의 운영 현황 및 한계점, 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위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양평군은 도서관 접근성 취약, 인력 및 장서 부족,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프로그램, 도서관 공간 부족 및 건물의 노후화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개선을 위한 지역중심의 생활밀착형 도서관, 인력 및 장서 확충, 지역사회 변화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신규 도서관 건립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제공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을 위한 지역 공동보존서고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Regional Cooperative Preservation Program for Public Libraries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Busan Metro Area -)

  • 강은영;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7-232
    • /
    • 2017
  • 최근 지역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 도서관자료를 체계적으로 이관받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지역별로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계획 수립단계에서 첫걸음은 지역 내 단위도서관의 자료보존현황을 파악하고 현장 사서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동보존서고 계획과정에 반영하는 일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자료보존현황을 바탕으로 부산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자료보존 현황과 부산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대한 사서들의 의견을 조사하고, 2) 부산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방안을 자료이관방안과 공간운영방안 등으로 나누어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