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 공간부족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공공도서관의 공간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Public Library Space Management)

  • 서혜란;김선애;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156
    • /
    • 200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를 통해 공간운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해 결해야 할 문제점을 도출, 이를 바탕으로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공공도서관 신축 및 공간배치 등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국 524개 공공도서관에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설문에 응답한 167개관(31.87%)을 대상으로 공간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간부족, 노년층과 신체적 약자 등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과 서비스의 부족, 지역사회 문화공간으로서의 시설 부족, 접근성이 저하된 도서관의 입지조건 등이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상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의 프로그램 구성체계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gram Structure and Activation Pla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Public Library)

  • 신영지;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9-114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내 복합문화공간의 현황 및 운영 중인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복합문화공간을 구성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공간유형 및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복합문화공간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복합문화공간을 도서관 내에 구성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교육공간, 전시공간, 공연공간이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맥락을 같이하여 복합문화공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 유형도 교육, 전시, 공연 유형의 프로그램이 다수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전담인력 부족, 예산 부족, 프로그램 개발 어려움, 프로그램 참여 저조, 문화시설 및 자료 부족 등으로 복합문화공간 운영의 내실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향후 공공도서관 내 복합문화공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해당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목표와 비전을 설정, 공간 확보, 복합문화공간을 위한 인력 및 예산 확보, 홍보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도서관협력망을 이용한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Repository Library and Repository Library by Using of Public Library Cooperative Network)

  • 강현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53
    • /
    • 2006
  • 오늘날 급속한 인쇄출판물의 증가에 따라 도서관계는 심각한 장서의 소장공간 부족문제를 겪고 있다. 문제해결방안 도출을 위해 먼저 해외 주요국의 자료공동보존 실태를 소개하구 국내사례로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보존관과 국립디지털 도서관의 자료보존서고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행한 "공공도서관협력망 운영실태 자료집 2005"를 기초로 하여 국내 공공도서관간 자료보존 협력 및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도서관계의 소장공간 부족문제 해결방안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앙관으로 하고 487개 공공도서관이 참여하는 $\lceil$공공도서관협력만$\rfloor$ 활용하여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설립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Young Adult's Perceptions and Needs towards the Public Library Space)

  • 지선;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61-480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이용 및 요구 사항을 알아보고 향후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청소년자료실 공간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자료실이 별도로 설치된 공공도서관 두 곳을 선정하여 중 고등학생 이용자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86.5%가 청소년자료실을 이용하며, 주요 이용목적은 여가독서, 개인학습, 정보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 응답자의 64.8%는 청소년자료실 별도 설치를 중요 이유로 대답하였다. 청소년자료실에서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열람석 확대, 정보활용기기 이용 공간 부족, 휴게 공간 부족, 그룹학습 및 모임 공간 확대 등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 요구를 반영한 공간구성 정책 마련, 물리적 시설 및 청소년서비스가 균형을 이룬 도서관 환경 조성, 열람석 확충을 위한 자료실 개방시간 연장, 다른 공간의 유연성 있는 열람 공간 활용 등의 공공도서관의 공간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 -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 (Developing Strategies for a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y at a Regional Level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 노지현;조용완;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7-195
    • /
    • 2013
  • 현행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 시행령"에서는 지역 도서관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책임을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도서관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수장공간의 부족 문제를 '공동보존서고'의 설치를 통해 해결하도록 유인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실정법에 따라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하였거나 지정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빠른 시일내에 공동보존서고의 건립과 운영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도서관의 수장공간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공동보존서고가 갖는 의미를 세밀히 검토하고,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수장공간의 부족 정도를 객관적으로 산출하고, (2) 공동보존서고에 대한 부산시 공공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요구를 조사한 다음, (3) 국내외의 대표적인 공동보존서고 사례를 참조해 가면서 부산시에 가장 적합한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청소년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 부산·울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s for Young Adult in Public Libraries-with a special reference to Busan·Ulsan·Gyeongnam)

  • 이진화;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5-122
    • /
    • 2022
  • 이 연구는 부산·울산·경남지역 내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청소년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다음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과 부산광역시 도서관포털에 등록된 부산·울산·경남지역 공공도서관 93개관을 대상으로 청소년서비스 현황과 청소년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부산·울산·경남 지역 공공도서관에 청소년 공간이 있는 곳이 24%이며, 공간이 있는 경우 공간 내부에 청소년 서가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76%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대상의 연령대는 만13~18세로 설정하고 있었다. 청소년들의 저조한 이용과 소극적인 참여, 전용 공간의 부족,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인력 부족, 예산 부족 등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서비스 제공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사서들이 청소년 전용 공간과 청소년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공공도서관 청소년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 공간조성과 서비스 기획/운영 단계에서 청소년의 참여 확대, 청소년 전용 공간 조성, 청소년 봉사활동 내용의 다양화, 담당사서의 전문성 확보와 지역인적자원 활용, 서비스에 대한 홍보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 Special Library of Local Autonomous Entity Research Institution)

  • 이세라;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3-94
    • /
    • 2019
  • 이 연구는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하여 실제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을 파악하고 전문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연구원 소속 6개의 전문도서관 이용자 111명을 대상으로 LibQUAL+을 기반으로 수정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력품질이 공간품질과 정보품질 보다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서비스 품질 하위변수 중에서는 인력품질의 서비스 태도, 공간품질의 공간 편의성, 정보품질의 정보 유용성이 이용자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결과로 자료부족, 디지털 자료의 비활성화, 도서관 공간개념의 환경, 타 기관과의 자료공유 비활성화, 인력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y for the Disabled Persons: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오동근;윤수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7-179
    • /
    • 2009
  • 이 연구는 장애인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장애인시설 관련법규와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의 시설을 고유영역, 편의시설영역, 동선체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 중 장애인실을 설치하고 있는 5곳을 대상으로 장애인을 위한 공간구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 관련공간의 배치가 미흡할 뿐 아니라 전반적인 편의시설 등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대학도서관 공간변화 동향 및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nds and Perceptions of Spatial Changes in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김희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1-54
    • /
    • 2022
  •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변화 동향 및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기초로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공간변화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지난 20년간 전국 대학도서관에서 총 99건의 신·증축 및 리모델링이 있었고, 최근 대학의 예산 긴축정책에 따라 신·증축보다 리모델링에 치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변화의 특징으로는 이용자들의 요구 수용, 이용자 수 증대를 목적으로 도서관 내 휴게공간 확장과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 추구, 혁신적·창의적인 공간 설치 지향 등이 나타났다. 공간변화의 장점은 다양한 공간의 제공과 도서관 방문자 수 증가 등이며, 시설유지비 증가와 관리 인력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공간변화가 시대적 트렌드만 반영하고 서비스 및 대학도서관의 실질적 가치에 변화가 크지 않은 점, 획일성과 특징 상실 등이 지적되었다. 향후 대학도서관 공간변화는 대학도서관만의 차별성 확보와 다양한 변화에 대한 수용성, 대학도서관의 가치와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상징성을 지향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도 양평군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Revitalizing Public Libraries Reflect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Yangpyeong-gun)

  • 전경선;신동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3-423
    • /
    • 2022
  • 본 연구는 양평군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평군 지역특성 및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양평군민(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서관의 운영 현황 및 한계점, 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위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양평군은 도서관 접근성 취약, 인력 및 장서 부족,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프로그램, 도서관 공간 부족 및 건물의 노후화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개선을 위한 지역중심의 생활밀착형 도서관, 인력 및 장서 확충, 지역사회 변화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신규 도서관 건립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제공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