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평가기준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6초

편목시스템의 유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Usefulness of the Automated Cataloging Systems)

  • 이유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7-94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편목시스템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에 나타난 품질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편목시스템의 유용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4개의 평가기준과 24개의 항목을 기초로 하여 국내 3개 자동화시스템을 대상으로 편목사서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결과를 참조하여 편목시스템의 유용성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제안한 평가모델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편목시스템의 유용성 향상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 도서 서평 매체에 관한 연구

  • 장지숙
    •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 /
    • 한국문헌정보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논집 제17집
    • /
    • pp.91-118
    • /
    • 2004
  • 어린이에게 좋은 도서를 제공할 의무와 책임을 지고 있는 대표적인 기관은 도서관이다. 사서는 어린이를 위한 좋은 도서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개인이나 단체를 위하여 상담과 조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출판물의 양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사서가 어린이의 발달 단계에 적합하면서 좋은 책의 기준도 충족시키는 도서들을 선정하는 작업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이상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도서를 선정하는 사서가 구입할 모든 책을 좋은 책의 평가 기준에 근거해서 살펴보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한정된 시간 내에 모든 책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평가하는 일은 실제 업무상황을 고려할 때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중략)

  • PDF

폐교 부지 및 건축물을 이용한 도서관의 대피시설로서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ing the Site and Building of Closed School as Evacuation Facilities for the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5-89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탐구하여, 기존에 건축된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뿐 아니라, 대피시설 지정·운영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을 건축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건축 또는 리모델링 시 경제적 효율성과 지역적 효과를 추구하기 위해 폐교를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제안의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충주시 내 대피시설 및 폐교 현황을 확인하고, 대피소의 수용능력을 기준으로 폐교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피시설의 조건을 갖춘 도서관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논의점은 크게 3가지 측면으로, 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재확인하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 활용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탐구하였다. ② 이러한 도서관의 역할과 폐교가 만나서 실제 어떠한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 및 논의하였으며, ③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신축 내지 리모델링이 필요한 이유와 폐교를 활용하면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효과는 어떠한지를 제시하였다.

국가대체자료종합목록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대체자료 장서 평가 연구 (An Analysis of Alternative Materials Collection Evaluation Using a National Alternative Materials Union Catalog)

  • 장보성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1-67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대체자료 장서 수준을 진단하고 향후 대체자료 장서개발의 방향성과 목표지향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가대체자료종합목록과 국내 인기도서 및 신간도서 목록을 장서기반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10년간 인기도서 목록 기준 대체자료 장서 비율은 90.1%이다. '언어', '예술', '기술과학' 주제의 대체자료 장서 비율이 낮은 편이며, 제작 매체별은 '텍스트 데이지자료'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국가대체자료종합목록을 기준으로 주제별, 매체별, 제작기관별 공통장서 확보율과 장서고유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대체자료의 소장 장서량이 많은 도서관에서 공통장서와 고유장서의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공통장서 확보율이 높은 주제는 문학과 사회과학 순이며, 장서고유성 지수가 높은 주제는 종교, 예술, 언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3년간 신간도서의 대체자료 장서 비율은 5.09%이며 같은 기간 동안 공공도서관의 평균 도서구입율은 8.83%이다. 신간도서 대비 대체자료 장서 비율의 적정 기준은 존재하지 않으며 시각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신간도서 대비 대체자료 장서 비율을 공공도서관 도서구입율 수준으로 높일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대학도서관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 분석: A와 B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urrent Practice of E-book Management and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 Focused on A and B Academic Libraries)

  • 김수정;이지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67-19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현안을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방에 소재하는 A와 B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도서관으로부터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이용통계를 수집하였으며 전자책 담당사서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전자책 도입현황, 예산 및 수서, 접근 및 목록, 이용, 홍보 측면에서 실태를 조사하고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의 어려움과 현안에 대해 의견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두 대학 모두 종이책과 비교했을 때 전자책 이용률이 낮았으며 특히 최근에 이용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책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신간도서 미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전자책 수서와 관련한 가장 중요한 현안은 2015년에 제정된 대학도서관진흥법에 따른 대학도서관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평가기준이 현재 전자책 수서 및 관리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였다.

도서관 포털 통합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Library Portal User Interface Systems)

  • 김성희;이정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5-194
    • /
    • 2006
  • 다양한 도서관 포털시스템의 서브셋인 통합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을 (1) 검색(searching)기능, (2) 이용자 상호작용, (3) 인터페이스 customization, (4) 이용자 인증(authentication), (5) 디자인, (6) 데이터베이스 통신 프로토콜, (7) 벤더의 지원, (8) 소프트웨어 플랫폼 같이 8개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합 유저인터페이스는 EnCompass. MetaLib, Musesearch, SingleSearch가 가장 높은 평가 점수를 얻었으며 국내에서는 KDB의 메타서치가 가장 좋은 점수를 얻었다.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인증제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in Library Services)

  • 이상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11-231
    • /
    • 2002
  • 본 논문은 세계적인 품질인증제도를 도서관 및 정보센터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이들 제도의 특성을 비교 ${\cdot}$ 분석하고, 외국 도서관의 적용사례를 고찰한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TQM을 기반으로 한 데밍품질상, 말콤발드리지 국가품질상, 유럽 품질상의 품질인증기준은 광범위하고 동적이며, 고객 지향적인 제도인 반면, ISO 9000 품질 인증 제도는 협소하고, 정적이며, 명세서의 일치여부를 평가하는 내부지향적 제도임이 밝혀졌다.

디지털 도서관의 웹자원 기반 장서개발 (Web Resources Based Collection Development for Digital Libraries)

  • 이지연;김성언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1-127
    • /
    • 2003
  • 각종 정보원이 웹으로 제공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는 현실에서 웹자원은 단순한 정보제공 차원을 뛰어 넘어 실물 장서와 같이 체계적인 관리과 이용의 대상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웹기반 장서개발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웹자원 평가요소의 확립이 시급한데, 웹자원 평가요소로는 일반적으로 권위성, 신뢰성, 내용의 성실성, 기능성, 연결성, 접근성, 구조 및 디자인, 링크사항, 이용자 지원 및 보호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장서개발을 위해서는 웹자원의 유형별 특성을 감안하여 특정 평가요소를 강조하거나 포함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도서관의 웹자원 기반 장서개발 전략을 위해서 가치, 요구, 중복 방지, 지적 재산권, 지적 통제 평가기준은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웹자원 평가의 객관성과 일관성을 위해 선정위원회를 조직하거나 웹환경 장서개발 모형을 개발하는 것, 다른 디지털 도서관과의 협력을 증진시켜 새로운 기준, 프로토콜, 마크업(markups), 메타데이터 등을 공유하게 하는 것, 이용자 중심의 장서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것 등은 더 나은 웹자원 장서개발을 위한 또 다른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Web 정보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존 측정지표 분석 I (Analysis of Quality Measurement & Evaluation Index in applying Web Information Service I)

  • 유사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33-156
    • /
    • 2000
  • 본 연구는 국내 Web 정보서비스 측정기준과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일차 연구로, 국내 Web 정보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대상으로 기존의 온라인 검색환경의 측정기준과 평가지표의 적용문제를 사례연구로 분석한 것이다. 실제 검색실험을 통해 평가내역을 조사하고 기존방식과 기준이 Web 정보 서비스 평가적용에 어떤 문제점을 갖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조사함으로써, 현재 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의 주요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Internet 정보자원의 품질과 연계 지어 국내 Web 정보서비스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이차연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최종 이용자인 수요자 관점에서 디지털도서관 QIS의 조건으로 정보 자체보다 더욱 강조되고 있는 정보 서비스의 품질을, 탐색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내 환경공학 Web 사이트만을 엄선하여 진단하고 최종 이용자들을 상대로 설문 조사하였다.

  • PDF

과학기술데이터 신뢰성 평가를 통한 참조표준 확립에 관한 연구

  • 채균식
    • STIMA Bulletin
    • /
    • 통권5호
    • /
    • pp.24-37
    • /
    • 2006
  • 과학기술테이터는 엄격한 평가기준에 의해 신뢰성과 정확성이 보장된 참조표준(standard reference data)값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 참조표준은 측정표준을 바탕으로 구하여진 결과 값을 표준화시키는 작업으로서 테잍의 생산조건, 실험환경, 측정방법, 데이터 처리 등이 검토되어 참조데이터(reference data)와 구분된다. 참조표준은 '공인된 수치데이터'로 표현되고 이는 측정결과의 신뢰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불확도(uncertainty)로 표기된다.본고에서는 참조표준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평가되지 않은 과학기술 데이터가 어떤 평가 과정을 거쳐 참조표준으로 분류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소재물성분야를 예로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