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예산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6초

어린이도서관 프로그램 개발과 운용을 위한 도서관 실태조사 분석 (An Analysis of the State of Libraries in Pursuit of the Efficient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hildren's Library Programs)

  • 홍현진;강미희;정미봉;정대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53-90
    • /
    • 2009
  • 어린이도서관의 프로그램 개발과 운용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국의 어린이도서관 80개 기관을 설문조사하였으며, 응답이 회수된 55개 기관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이들 기관의 이용현황 및 주요 이용자 층, 장서 및 예산 현황, 프로그램 유형, 이용대상, 운영기간, 홍보, 평가, 프로그램 성공요인 및 실패요인 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어린이도서관 중 서울, 경인, 인천, 부산, 충북, 전남, 제주 등 지역별로 규모가 큰 21개 어린이도서관을 방문하여, 이들 기관의 프로그램 유형, 프로그램 운용현황, 공간구성, 관련기관과의 연계 및 협력, 자원봉사자 활용 등에 관한 사항을 직접면담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미국, 프랑스, 영국, 싱가포르, 일본, 중국 등 해외 6개국의 총 29개 기관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직접 방문을 통한 개개 도서관의 프로그램 실제사례와 운용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보편성과 특수성 담론 (Discourse on the University and Particularity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25
    • /
    • 2014
  • 대다수 국가의 공공도서관은 지방행정당국 및 중앙정부의 예산과 지원으로 설립되는 지식문화기관이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공평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원과 서비스를 통하여 지식정보에 대한 접근을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범세계적 현상이며, 모든 국가의 공공도서관에 적용되는 보편성이다. 반면에 많은 국가의 공공도서관 정책과 운영에는 예외적 상황을 의미하는 특수성이 존재하며, 그것은 경제성장 및 발전단계의 차이와 사회문화적 다양성에서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정책적, 기능적, 운영적 측면에서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는 작은도서관 확충, 평생학습 지상주의, 위탁경영 비율의 가파른 상승, 자유열람실의 설치와 운영이 보편성에 기반을 둔 특수성의 용인인지, 특수성을 가장한 보편성의 부정인지를 담론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교육·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교과서전문도서관 발전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Specialized Textbook Libraries for the Benefit of Research and Education)

  • 노영희;최원태;윤다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51
    • /
    • 2015
  • 교과서전문도서관은 현재 우리나라 교육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교과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와 교과서 개발 출판사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교수와 학생의 연구 및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전문도서관의 현실을 보면, 국가지원운영 예산 부족, 공공기반시설로서 기반 취약, 교과서 관련자료 수집의 어려움, 도서관 간 연계체제 미흡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사례분석, 그리고 전문가의견수렴과정을 거쳐 교과서전문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전문도서관 구축 및 운영의 중장기 정책방향을 크게 교과서전문도서관 조직 및 운영, 교과서전문도서관 정보자원의 수집 및 목록작성 방안, 그리고 교과서전문도서관 정보화전략 및 특화콘텐츠의 구축 등으로 대분하여 제안하였다.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 역할에 관한 지역 주민과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s' and School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Role of School Library as Local Reading Cultural Center: Focusing on Gyeonggi-Do)

  • 조미아;허정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97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지역 주민과 학교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지역 사회에 개방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전화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대다수는 학교도서관의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운영된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도서관 담당 사서는 지역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등록'의 법적 성격 및 등록관청 인식에 관한 연구: [법률 제18547호, 2021. 12. 7. 전부개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gal Meaning of Public Library 'Registration' and the Perception of Registration Authorities: Focused on [Law No. 18547, Comprehensive Amendment, December 7, 2021])

  • 윤명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1-5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법(법률 제18547호)의 주요 특징인 공공도서관 등록제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도서관법에서 '등록'의 법적 성격을 살펴보고, 전국 34개 등록관청 회의에 참여하여 예상등록률과 등록제에 대한 현장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도서관법에서의 등록은 절차와 방법에서는 허가제의 성격을 지녔으나, 효력에서는 공증의 효력만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예산등록률은 26%로 나타났다. 등록관청의 인식 조사에서는 등록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비고'의 조항에 대한 문제, 업무 과중, 사서 확충의 어려움, 등록기준 및 등록대상의 불명확 등을 지적하였다. 이에 대해 도서관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과학기술분야 정보자원개발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Science and Technology)

  • 장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24
    • /
    • 2007
  • 한정된 예산과 공간이라는 제약조건 속에서 최적의 정보자원을 입수함으로써 예산을 효율화하면서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성문화된 장서개발정책의 수립과 유지를 들 수 있다. 특히 정보자원의 생명이 짧고 수록매체상의 변화가 많은 과학기술분야 도서관과 정보센터에서는 정보자원 수집의 효율성을 기하고, 모기관으로부터의 지속적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장서개발정책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크다. 더욱이 온라인 정보자원의 관리에는 예전과는 다른 많은 고려사항들이 개입되어 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연구도서관들이 종이(인쇄) 매체의 자료 입수를 지속해 나가면서, 동시에 국내 도서관들이 소장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상황을 모두 고려하는 과학기술 정보자원 개발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 첫 시도로서 과학기술 정보자원의 전반적인 개발정책에 대하여 고찰하고 향후 과학기술분야 장서개발정책의 기본 모형으로서의 타당성을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사례와 면접을 통해 본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서비스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o Review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송경진;이정은;손지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7-219
    • /
    • 2013
  •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지적장애인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지적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적장애인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직접 지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실시해 본 경험이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인서비스는 대부분 상시적인 서비스보다는 단기간의 프로그램 형태였으며, 복지관 등의 외부기관과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직접 이러한 서비스를 실시했던 공공도서관의 사서들은 지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제공의 당위성에는 공감하고 있었으나 운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연구결과 적절한 예산과 인력 지원, 정책적인 견인 조치, 도서관의 기능과 목적에 부합하는 지적장애인서비스 모델의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의 운영 경험 연구 (Librarians' Experiences of Facilitating Makerspace in Public Libraries)

  • 김수정;이종욱;오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49-2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운영 경험을 조사하여 주요 업무, 필요 역량, 교육 경험 및 요구, 향후 계획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의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11명의 사서 및 직원과 1명의 관장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서와 담당자들은 국가공모사업이나 자체예산을 확보하여 메이커스페이스를 총괄, 관리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었다. 이들은 기술 리터러시, 주제 지식, 도서관 프로그램 기획 능력, 배우려는 자세와 호기심, 커뮤니케이션 스킬, 리더십, 디자인 사고 등을 필요 역량으로 언급했다. 또한 이들은 메이커스페이스의 공간 확장, 장비 구입, 프로그램 개발 등의 향후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거나 구축할 계획이 있는 도서관 관계자들에게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들이 경험하는 실질적인 이슈와 교육 요구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Impact Factors on the Number of Users of Public Libraries)

  • 최희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9-146
    • /
    • 2009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어떠한 요인들이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공립 공공도서관 55개를 대상으로 각 도서관의 연간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5가지 측면, 즉 인적측면, 장서측면, 예산측면, 행사측면, 기타측면 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의 좌석 수가 도서관 이용자 수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고, 이어 건물연면적과 사서 수 역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회귀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오직 좌석 수만이 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공공도서관에서의 이용자 수 확보를 위한 방안을 수립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중심대학의 도서관 지원과 연구경쟁력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한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44
    • /
    • 2005
  •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의 연구기능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연구중심대학 육성에 대한 관심이 높으나, 국내의 경우는 연구중심대학을 구분하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연구중심대학의 핵심 지원체계로서 도서관에 대한 역할도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국가 경쟁력 1순위인 미국의 연구중심대학 선정 기준을 만족하는 국내 연구중심대학을 선별하고 한국과 미국 연구중심대학의 전반적인 현황 및 이들 대학도서관의 세부적인 현황을 비교${\cdot}$분석하였다. 연구중심대학 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각종 예산 인원, 그리고 정보자원에 관하여 국내 대학의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연구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대학도서관에 대한 각종 투자가 궁극적으로 대학의 연구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한 도서관 투자와 연구논문발표 실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중심대학 도서관으로서의 우리나라 현황을 분석한 본 연구 결과가 향후 국제적인 연구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역할 정립 및 육성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