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리모델링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학교도서관의 리모델링 이후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사례 연구 - 경기지역 A중학교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Users Satisfaction in School Library after Remodeling: on the Basis of a Middle School Library in Gyeonggi Province)

  • 남영준;최성은;김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60
    • /
    • 2009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리모델링 사례연구로서 학교도서관 리모델링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리모델링을 완료한 학교도서관을 선정하여 리모델링 추진 과정을 조사하였고 리모델링 이후 실제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학교도서관의 리모델링을 통해 학교도서관 기능과 역할인 정보서비스와 교수 학습활동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도서관의 경우 여전히 도서관 내 외부의 미적 환경과 공간구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자료 및 기자재의 확충이 우선적인 이용자 요구사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공공도서관의 리모델링을 위한 타당성 연구 - 부산광역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Feasibility Study of Public Libraries Remodeling: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 노지현;이은주;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09-233
    • /
    • 2017
  • 1970, 80년대 건립된 도서관들은 시설 노후화로 인한 안전문제와 도서관 시설 이용에 대한 이용자 불만 및 불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시설 현대화(리모델링)가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지난 2014년에 발표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 2018)"에서는 '노후 도서관의 시설 개선'을 주요 정책 과제로 설정한 바 있고, 각 지역에서도 지역 도서관 발전을 위한 시행 계획에 '노후 도서관의 리모델링'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교육청 공공도서관 14개관을 대상으로 하여 리모델링의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리모델링의 우선순위와 추진방향, 범위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 현장실태조사,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근거자료로서, 더불어 타 지역에서 리모델링 사업의 근거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관한 소고 - 덕성여자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Review of the Remodeling Project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 유재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5-436
    • /
    • 2012
  • 대학도서관의 리모델링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리모델링프로젝트의 추진방향인 목표를 잡는 것이다. 대학도서관은 주요 이용자인 학생들을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최종목표로 삼았을 때, 공간배치나 내부 인테리어 디자인은 자연스럽게 이용자중심적 설계로 이어진다. 본 대학도서관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목표를 수립하고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첫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인 학생들의 생활의 중심장소가 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가 문화적인 체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복합문화공간이 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가 오래 머물고 싶은 장소가 되어야 한다. 이용자가 도서관에 오래 머물게 될 때, 이용자는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이용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은 매력적인 장소가 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대학도서관 리모델링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준비한 내용과 진행의 전 과정을 소개함으로서 비슷한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관련자들과 유용한 정보와 경험을 나누고자 한다.

우수 사례 통해 본 공공도서관 건축 경향 분석 - 북미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Trends in Public Library Design and Construction through Reviewing the Excellent Cases of the Awarded Library Building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North America)

  • 구정화;조용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1-208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북미지역의 공공도서관 신축과 리모델링을 한 사례들 중에서 우수 건축 및 디자인상을 수상하였거나 우수 사례로 소개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건축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공공도서관의 신축과 리모델링 과정을 위한 시사점들을 도출하여 향후 개관될 공공도서관 건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0곳의 우수 도서관들의 주요 건축적 특징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여섯 개의 건축 경향을 도출하고 각 건축 경향별로 구체적인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도출된 주요 건축경향이 국내 공공도서관 신축 혹은 리모델링 과정에서 시사하는 점들을 제시하고 관련 후속연구를 위해 몇가지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성에 관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 C대학교 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Research about Spacial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Remodeling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C University Library)

  • 남영준;문정현;이현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5-222
    • /
    • 2009
  • 대학도서관은 대학교육과 상호 관련되어 있다. 지식 정보사회에는 대학의 경쟁력을 키우고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도서관이 발전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교수와 학생들의 연구 및 학습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과 시스템을 갖추어야만 대학도서관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대학교 중앙도서관 중심으로 공간구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리모델링 전 후의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공간구성에 대한 만족도와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이용자가 원하는 도서관 공간 활용 가운데 열람공간과 휴게공간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도서관 서비스의 질을 높이거나, 도서관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폐교 부지 및 건축물을 이용한 도서관의 대피시설로서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ing the Site and Building of Closed School as Evacuation Facilities for the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5-89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탐구하여, 기존에 건축된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뿐 아니라, 대피시설 지정·운영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을 건축 또는 리모델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건축 또는 리모델링 시 경제적 효율성과 지역적 효과를 추구하기 위해 폐교를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제안의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충주시 내 대피시설 및 폐교 현황을 확인하고, 대피소의 수용능력을 기준으로 폐교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피시설의 조건을 갖춘 도서관으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논의점은 크게 3가지 측면으로, 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서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재확인하고, 도서관이 대피시설로 활용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탐구하였다. ② 이러한 도서관의 역할과 폐교가 만나서 실제 어떠한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 및 논의하였으며, ③ 기존 건축물을 대피시설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신축 내지 리모델링이 필요한 이유와 폐교를 활용하면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효과는 어떠한지를 제시하였다.

도서관탐방 - 민족사관고등학교도서관

  • 박경아
    • 도서관문화
    • /
    • 제45권5호통권348호
    • /
    • pp.44-45
    • /
    • 2004
  • 지난 2월 SK텔레콤이 총 5곳의 중.고등학교를 선정해 도서관을 리모델링(학교별 5천만원) 해주는 “신난다! 산뜻한 학교만들기” 이벤트를 실시했었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첫 주에 선정된 도서관이 바로 민족사관고등학교도서관이다. 총 5개 학교 중 제일 처음 선정된 것이라는 점. 민족사관고등학교에 대한 호기심, 전반적으로 힘든 학교도서관계의 현실 속에서도 끊임없이 도전하는 사서교사의 수고에 대한 감사 등의 마음을 가지고 우리 도서관 탐방팀은 강원도 횡성을 다녀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