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riving Priorities Based on Combination of Green Remodeling Application Elements in Old Public Libraries

노후 공공도서관의 그린리모델링 적용 요소 조합에 따른 우선순위 도출

  • Sung Jin Sim ;
  • Se Hyeon Lim ;
  • Seong Eun Kim ;
  • Yong Woo Song
  • 심성진 (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
  • 임세현 (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 ;
  • 김성은 (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 ;
  • 송용우 (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
  • Received : 2024.05.17
  • Accepted : 2024.06.18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been promoting strengthening energy efficiency of old buildings through public green building remodeling projects since 2020. Green remodeling includes both essential and optional construction of passive and active elem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tegrated designs of passive and active systems and no standards for prioritizing these systems according to the building's ag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six public libraries in central region 2 that were expected to be high energy consuming. Remodeling strategy priorities were selected based on potential energy reduction. The librari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year of construction, completed in the 1980s (Model 1), 1990s (Model 2), and 2000s (Model 3). ECO2-OD, based on ISO 13790 and DINV 18599, was used as the primary energy consumption analysis tool.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Model 1 and Model 2 benefited most from higher insulation and replacement of mechanical equipment. Model 3 benefited most from upgrading to more energy efficient windows.

2015년 파리 기후 협약을 시작으로 나라별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시하고 실행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건물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32.8%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2020년부터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노후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노후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그린리모델링 공사에는 패시브 및 액티브 요소의 필수공사와 선택공사가 있다. 그러나 현재는 패시브와 액티브 시스템의 통합설계가 부족하며 건축물의 노후도에 따른 적용 요소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 건축물 중 많은 사람들의 이용이 가능하며 에너지 사용량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부 2지역에 위치한 공공도서관 6개소를 선정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준공년도에 따라 Model 1~3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준공된 건물이다. Model 1~3의 ECO2-OD를 통한 시뮬레이션 분석으로 1차 에너지소요량 절감률에 따른 상위 3개의 우선순위를 도출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2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2022R1A6A3A01086791, No. 2023R1A2C1006066 RS-2023-00217322).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2023),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안)」, 세종. 
  2. 국토교통부(2021),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 세종. 
  3. 국토교통부(2023a), 「건축물 에너지 절약설계 기준」, 세종. 
  4. 국토교통부(2023b),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 가이드라인」, 세종. 
  5. 그린리모델링창조센터(2024.3.29), 「2024년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종합사업지원」, 경상남도. 
  6. 김성민(2017), "기존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적용 요소기술 및 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한국건축 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1(3): 238~245. 
  7. 산업통상자원부(2013),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서울. 
  8. 장우권.박성우.여진원(2014),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345~367. 
  9. 최선우.김지연.박효순.김준태(2012), "사무소 건물의 외피 리모델링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 및 경제성 분석", 「KIEAE Journal」, 12(6): 85~92. 
  10. 최준우.이종건(2021), "그린리모델링 사전의사결정 지원도구 개발을 위한 공공건축물 유형별 표준모델구축", 「KIEAE Journal」, 21(3): 17~23. 
  11. Chung, M. H., S. E. Kim, Y. W. Song, and J. C. Park (2023), "Strategies for Improving Impact of Energy Renovation: A Case Study on Korean Daycare Centers", Energy and Buildings, 284: 12844. 
  12. Waddictor, D. A., E. Fuentes, L. Siso, J. Salom, B. Favre, C. Jimenez and M. Azar (2016), "Climate Change and Building Aging Impact on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d Mitigation Measures Application: A Case Study in Turin, Northern Italy", Journal of Building and Environment, 102: 13~25. 
  13.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 2024.6.7 읽음. https://www.libst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