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면출력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54초

웹 서비스 이용 옥내위치기반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n Indoor Location Based Contents Displaying System Using Web Services)

  • 임재걸;김민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47-155
    • /
    • 2011
  •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의 주요 컴포넌트에는 도면출력, 측위,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이 포함된다. 도면출력은 일반적으로 구글 지도를 사용하며 측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한다. 그러나 위치기반서비스를 옥내에서 구현하려면 이러한 일반적인 솔루션을 사용할 수가 없다. 즉, 구글 지도로 건물 내부 도면을 출력할 수도 없고, GPS로 건물 내부의 이동객체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없다. 본 연구는 도면출력 기능, 옥내측위 기능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콘텐츠 업로드 및 출력 기능들을 웹서비스로 구현한 사례를 소개하여, 프로그램 개발자가 누구나 쉽게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구현한 웹서비스들의 효용성을 실험적으로 보이기 위하여 이러한 웹서비스들을 이용하여 박물관 관람객의 위치를 고려한 콘텐츠 출력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현한다.

스마트 운영 환경에서의 도면 관리기의 설계 (The Design of the Drawing Management on Smart Operating Environments)

  • 김동현;박민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3-226
    • /
    • 2011
  • 건축이나 조선소에서는 도면 설계를 위하여 캐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 현장에서 설계를 참조하기 위하여 출력된 도면을 휴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출력 도면은 훼손되기 쉽고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에서 캐드 도면을 출력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화면 출력 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정 그리드 파일 색인에 기반한 색인 파일을 사용하였다.

  • PDF

도면 출력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Android Application of Rendering Drawings)

  • 임재걸;윤승호;진창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63-1066
    • /
    • 2011
  • 자동차 내비게이션을 비롯한 각종 위치기반서비스가 일상생활에 큰 도움을 준다는 단언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고층 건물과 지하 도시가 개발됨에 따라 사람들이 옥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따라서 미구에 옥내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옥외서비스에 대한 요구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스마트 폰이 널리 보급되어 있음으로 옥내위치기반서비스가 제공되는 플랫폼으로는 스마트 폰이 제격이다. 옥내위치기반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당연히 도면이 보여야한다. 이에 본 논문은 도면 출력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BIM 기반의 협력적인 건축 설계를 위한 Version Control 시스템 (Version Control System for BIM-based Collaborative Architectural Design)

  • 배홍민;김병서;정재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75-282
    • /
    • 2017
  • 차세대 3차원 건축설계 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건축 설계 프로그램 중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Revit 프로그램이 있다. Revit은 정보 입력 측면을 강화시켜 설계 단계에서부터 구성요소의 정보 패밀리라는 오브젝트로 만들어 알기 쉽게 구성 요소를 파악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이 프로그램에서 추출된 도면 출력파일들을 쉽게 비교하는 프로그램이 전무하고, 이로 인하여 협업 시에 수정된 동일 도면들에 대한 변경 내용의 분석이나 도면 정보의 손쉬운 공유가 어려운 점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Revit을 통한 출력 도면 파일들의 병렬적 협력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동일 도면에 출력 파일들에 대한 버전 관리 시스템의 제안 및 구현을 하였으며 다른 버전 도면 파일들 간의 수정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개선된 KMP알고리듬을 제안한다.

Revit Architecture를 이용한 2D 설계도면 구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2D Design Drawing Implementation by Revit Architecture)

  • 조용상;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243-5250
    • /
    • 2013
  • 최근 국내 건축시장에서는 건설프로젝트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생산되는 정보를 3D 모델 기반으로 관리하는 BI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그에 따른 정책, 기술개발의 진행과 함께, BIM을 이용한 설계기준이 제도화 되고 있다. 그러나 BIM 소프트웨어(Revit Architecture)를 이용한 2D 설계도면 작성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CAD와 같은 수준의 실시설계도면 작성이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BIM 소프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시공수준의 접합상세가 나오지 않는다는 문제점과 효과적으로 상세를 더할 수 있는 모델링 기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현재 납품되고 있는 2D 실시설계도면 수준의 도면작성과 출력가능 여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계기본요소를 분석하고, 단면상 세도를 사례로 BIM 소프트웨어에 제공되는 기능을 사용해 기존 CAD로 작성한 실시설계도면과 동일한 수준의 도면작성과 출력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GSIS를 이용한 문화유적지 관리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al Region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김감래;김훈정;김명배;이가형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3-358
    • /
    • 2006
  • 지자체에 보유하고 있는 문화유적에 대한 현황이 표시된 종이도면에 대해 스캐닝을 통한 벡터라이징을 수행하여 자료를 전산화하고 지적도와 중첩 표시 되어있는 현황에 맞게 동일좌표계로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러한 기초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의 질의 및 이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도구는 Visual C++, Visual Basic과 지도에 대한 질의 및 화면도시를 위한 기초엔진을 Map Object를 통해 최적화 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시스템의 중요기능으로는 문화유적에 대해 지번 및 반경입력을 통해 유적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권 분석, 선택지번에서 최단거리에 있는 문화재 검색, 최단경로 분석, 문화재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관리대장에 대한 관리기능 등의 주요기능이며 부수적으로 다양한 검색 및 출력을 위해 지번 및 소유자검색, 대장검색, 문화재검색, 도면 및 대장출력, 출력물 연동, 화면이미지 저장 등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국가기본도 수치지도제작 과정에서 입출력장비에 따른 위치정확도 분석 (The Analysis of Positional Accuracy with Input/Output Instruments in Digital Mapping of National Base Map)

  • 이현직;손덕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1-297
    • /
    • 1998
  •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제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이에 인쇄된 원도를 컴퓨터상에서 작업할 수 있는 수치자료로 변환하는 자료입력과정과 작업이 끝난 자료를 출력하는 도면출력과정에 입출력장비가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 작업과정에 수반되는 입력장비중 벡터형태의 자료를 직접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점에 의해 부분 도화된 수정도화 원도의 입력시 주로 이용되는 디지타이저와, 작업의 용이성 에 의해 주로 원도의 입력과정에 이용되는 스캐너에 대해 작업방법 및 입출력장비 특성에 따른 위치오차를 분석하였으며, 출력장비에 따른 위치오차분석에서는 플로터방식과 출력도면의 재질에 따른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였다.

  • PDF

MICRO-POST PROGRAM 소개

  • 이선구;이태연
    • 전산구조공학
    • /
    • 제3권4호
    • /
    • pp.35-36
    • /
    • 1990
  • 오늘날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일목요연하게 후처리 함은 일반화 되어 있다. 그래픽을 이용하면 해석된 많은 수치 출력대신에 이해하기 쉬운 도면의 형태로 해석결과를 분석하거나, 모델의 기하학적 형태를 검토할 수 있게 되므로 시간과 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유한소요 후처리는 대형컴퓨터와 이에 종속되는 고가의 도화처리 장비에 의존하여 왔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시 발생하는 많은 수치출력을 고가의 도화장비가 아닌 저가의 도화장비에 출력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로 PC용 그래픽후처리 프로그램인 MICRO-POST가 개발되었다.

  • PDF

밀링 작업계획에서의 생산정보 통합 (Integration of Production Information in the Milling Operation Planning)

  • 노형민;이충수
    • 산업공학
    • /
    • 제7권3호
    • /
    • pp.113-123
    • /
    • 1994
  • 사용자 고유의 공정설계 노하우는 설계 도면정보에서 가공정보로의 변환의 일관성 유지를 어렵게 하고 또한 그 기술획득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가공방법과 가공기계가 결정된 후, 세부 작업내용, 작업순서, 절삭공구, 절삭조건, 공수 등을 결정하는 밀링 작업계획 모듈을 공작기계 부품을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설계 도면정보를 특징형상에 따라 입력하여 최적절삭조건 모듈 및 I/MILL 상용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작업지시서와 NC 프로그램을 출력한다. 특징형상을 중심으로 작업계획 생산정보의 입/출력 내용과 작업계획 항목을 결정하는 본 시스템 개발을 통해 생산정보 통합 기술에 대한 이해를 기대한다.

  • PDF

서열 정보의 유사성 검사를 위한 가시화 도구 (A Visualization Tool for Similarity Estimation of Sequence Data)

  • 황미녕;강영민;조환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559-561
    • /
    • 2000
  • 현재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인 유전자 분석과 같은 분야에서는 유전자 염기 서열과 같은 대규모 서열 정보들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서열 정보들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가시화 도구의 개발을 다룬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유사도 가시화 기법은 유전자 정보의 유사도 가시화를 위해 제안되었던 시각적 점-행렬 도면(Graphical Dot-Matrix Plots) 기법을 이용하는데, 이 시각적 점-행렬 도면 기법은 비교 대상이 되는 서열 정보의 크기가 커지면 효율적으로 가시화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은 시각적 점-행렬 도면 기법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열 정보 유사도 비교 결과를 화면의 해상도 내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영역별로 분할하고 각 영역별 일치도를 이분 그래프(bipartite graph)의 최대 평면 일치(maximal planar matching)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이를 하나의 화소(pixel)로 출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