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면출력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mplementation of an Indoor Location Based Contents Displaying System Using Web Services (웹 서비스 이용 옥내위치기반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현)

  • Yim, Jae-Geol;Kim, Min-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8
    • /
    • pp.147-155
    • /
    • 2011
  • Map rendering, positioning, database managements are key elements of location based services. Google map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have become a very popular solution for map rendering and positioning, respectively. They are very effective and yet free of charge. However, they cannot be used for an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We cannot render a building drawing with Google map, we cannot determine a moving object's position when it is indoor. This paper introduces our web services of rendering drawings, indoor positioning, and multimedia contents up-loading and playing so that any programmers can use them in developing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s. In order to experimentally show the efficiency of our web services, we have built a location based contents displaying system for museum visitors with them.

The Design of the Drawing Management on Smart Operating Environments (스마트 운영 환경에서의 도면 관리기의 설계)

  • Kim, Dong-Hyun;Par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223-226
    • /
    • 2011
  • To design a drawing at construction sites or ship yards, generally, they exploit CAD program, such as AutoCAD. They also carry the printed drawings in the fields in order to refer the designs. However, the printed designs are easy to be damag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sign of a management system for the CAD drawings on top of the smart operating systems of a smart device. The proposed system exploits the index file based on the Fixed GRID file in order to improve the display speed of the drawings.

  • PDF

Implementation of an Android Application of Rendering Drawings (도면 출력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구현)

  • Yim, Jaegeol;Yoon, Seung-Ho;Jin,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063-1066
    • /
    • 2011
  • 자동차 내비게이션을 비롯한 각종 위치기반서비스가 일상생활에 큰 도움을 준다는 단언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고층 건물과 지하 도시가 개발됨에 따라 사람들이 옥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따라서 미구에 옥내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옥외서비스에 대한 요구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스마트 폰이 널리 보급되어 있음으로 옥내위치기반서비스가 제공되는 플랫폼으로는 스마트 폰이 제격이다. 옥내위치기반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당연히 도면이 보여야한다. 이에 본 논문은 도면 출력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Version Control System for BIM-based Collaborative Architectural Design (BIM 기반의 협력적인 건축 설계를 위한 Version Control 시스템)

  • Bae, Hong-Min;Kim, Byung-Seo;Chung, Jae-He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3
    • /
    • pp.275-282
    • /
    • 2017
  • Revit program is on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programs based on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three-dimensional architectural design technique. Revit is a program that enhances the information input side and makes it easy to understand components by making it an object called an information family of components from the design stage, but there is no program that easily compares the drawing output files extracted from this program.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changes to the same drawings modified at the time of collaboration and easily share the drawing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a vers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output files on the same drawing, so that the parallel collaboration work of output drawing files through Revi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e propose an improved KMP algorithm.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2D Design Drawing Implementation by Revit Architecture (Revit Architecture를 이용한 2D 설계도면 구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 Cho, Yong-Sang;Lee, Hee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0
    • /
    • pp.5243-5250
    • /
    • 2013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enables 3D model-base management for all information produced by construction project during its life cycle. Also as a national policy, BIM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design criteria. But, on the matter of 2D drawing using BIM software (Revit Architecture), it has been recognized as difficult to realize the same quality drawing drawn by C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printable design drawing implemented by BIM software at the same quality of 2D shop drawing drawn by 2D CAD. Through the analysis of basic design elements of 3D BIM software and 2D CAD software, with the case of partial cross sectional drawing which is most faithful representation of the basic design elements, this study find out that the 3D BIM software can produce the same quality 2D printable drawing utilizing its implicit function.

A Study on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al Region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GSIS를 이용한 문화유적지 관리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Kim Kam-Rae;Kim Hoon-Jung;Kim Myoung-Bae;Lee Ka-H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04a
    • /
    • pp.353-358
    • /
    • 2006
  • 지자체에 보유하고 있는 문화유적에 대한 현황이 표시된 종이도면에 대해 스캐닝을 통한 벡터라이징을 수행하여 자료를 전산화하고 지적도와 중첩 표시 되어있는 현황에 맞게 동일좌표계로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러한 기초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의 질의 및 이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도구는 Visual C++, Visual Basic과 지도에 대한 질의 및 화면도시를 위한 기초엔진을 Map Object를 통해 최적화 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시스템의 중요기능으로는 문화유적에 대해 지번 및 반경입력을 통해 유적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권 분석, 선택지번에서 최단거리에 있는 문화재 검색, 최단경로 분석, 문화재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관리대장에 대한 관리기능 등의 주요기능이며 부수적으로 다양한 검색 및 출력을 위해 지번 및 소유자검색, 대장검색, 문화재검색, 도면 및 대장출력, 출력물 연동, 화면이미지 저장 등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The Analysis of Positional Accuracy with Input/Output Instruments in Digital Mapping of National Base Map (국가기본도 수치지도제작 과정에서 입출력장비에 따른 위치정확도 분석)

  • 이현직;손덕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6 no.2
    • /
    • pp.291-297
    • /
    • 1998
  • In order to accomplish the digital map production I/O devices should be used which are used for data input procedure to convert original paper map(hardcopy) data into computer compatible digital map data, and for the mapsheet output procedure of worked out data. For the input device, digitizer and scanner are most frequently used. Digitizer has possibility of direct production of digital data, and are mainly used for input procedure of partly plotted source map. In contrary, scanner is rather easy to operate the instrument, so that is widely used for the input procedure of original sheet map. In this study, to extract the input device characteristics, some kinds of digitizers and scanners were cheesed and used for the positional error analysis through the operational method and types of instruments. Also for the output device characteristics, some kinds of plotter and materials are used and compared to analyze the positional error through the instrumental types and output sheet materials.

  • PDF

MICRO-POST PROGRAM 소개

  • 이선구;이태연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4
    • /
    • pp.35-36
    • /
    • 1990
  • 오늘날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여 일목요연하게 후처리 함은 일반화 되어 있다. 그래픽을 이용하면 해석된 많은 수치 출력대신에 이해하기 쉬운 도면의 형태로 해석결과를 분석하거나, 모델의 기하학적 형태를 검토할 수 있게 되므로 시간과 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유한소요 후처리는 대형컴퓨터와 이에 종속되는 고가의 도화처리 장비에 의존하여 왔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시 발생하는 많은 수치출력을 고가의 도화장비가 아닌 저가의 도화장비에 출력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로 PC용 그래픽후처리 프로그램인 MICRO-POST가 개발되었다.

  • PDF

Integration of Production Information in the Milling Operation Planning (밀링 작업계획에서의 생산정보 통합)

  • Rho, Hyung-Min;Lee, Choong-Soo
    • IE interfaces
    • /
    • v.7 no.3
    • /
    • pp.113-123
    • /
    • 1994
  • 사용자 고유의 공정설계 노하우는 설계 도면정보에서 가공정보로의 변환의 일관성 유지를 어렵게 하고 또한 그 기술획득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가공방법과 가공기계가 결정된 후, 세부 작업내용, 작업순서, 절삭공구, 절삭조건, 공수 등을 결정하는 밀링 작업계획 모듈을 공작기계 부품을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설계 도면정보를 특징형상에 따라 입력하여 최적절삭조건 모듈 및 I/MILL 상용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작업지시서와 NC 프로그램을 출력한다. 특징형상을 중심으로 작업계획 생산정보의 입/출력 내용과 작업계획 항목을 결정하는 본 시스템 개발을 통해 생산정보 통합 기술에 대한 이해를 기대한다.

  • PDF

A Visualization Tool for Similarity Estimation of Sequence Data (서열 정보의 유사성 검사를 위한 가시화 도구)

  • 황미녕;강영민;조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559-561
    • /
    • 2000
  • 현재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인 유전자 분석과 같은 분야에서는 유전자 염기 서열과 같은 대규모 서열 정보들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서열 정보들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가시화 도구의 개발을 다룬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유사도 가시화 기법은 유전자 정보의 유사도 가시화를 위해 제안되었던 시각적 점-행렬 도면(Graphical Dot-Matrix Plots) 기법을 이용하는데, 이 시각적 점-행렬 도면 기법은 비교 대상이 되는 서열 정보의 크기가 커지면 효율적으로 가시화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은 시각적 점-행렬 도면 기법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열 정보 유사도 비교 결과를 화면의 해상도 내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영역별로 분할하고 각 영역별 일치도를 이분 그래프(bipartite graph)의 최대 평면 일치(maximal planar matching)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이를 하나의 화소(pixel)로 출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