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 속성정보

Search Result 61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Feature Selection Algorithm using Information theory and Neural Networks (정보이론과 신경망의 가중치를 이용한 속성선택)

  • Jo, Jae-Hun;Lee, Dae-Jong;Jeon, My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197-19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의 가중치와 정보이론을 이용한 속성선택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정보이론의 상호정보량을 이용하여 각 속성들의 중요도를 평가한 후 중요도가 높은 속성들만을 선택하여 신경망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신경망의 입력으로 선택된 속성의 가중치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오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속성들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가장 우수한 속성들을 구한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패턴 분류 문제에 적용하고 그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Matching and Attribute Conflating Method for Linking the Digital Map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Focused on the Road Centerline Layer - (수치지도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매칭 및 속성 융합 방안 - 도로중심선 레이어를 중심으로 -)

  • Bang, Yoonsik;Ga, Chillo;Yu, Ki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4
    • /
    • pp.379-388
    • /
    • 2012
  •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has begun to be applied and widely used since 2011. However, the Digital Map, or the national representative basic map, has no reference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t causes some difficulties to use the Digital Map under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for generating the expanded Digital Map by adding information about Road Name Address system into the objects of the Digital Map. First, object matching pairs between the road section layer from the Road Name Address Map and the road centerline layer from the Digital Map are found. Then attributes to be copied from the Road Name Address map to the Digital Map are extracted by comparing their attribute tables. Finally the extracted attributes are copied from the Road Name Address Map to the Digital Map. The expanded road centerline layer of the Digital Map then has attributes about road name according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so that the georeferencing of the Digital Map according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becomes possible.

Property Specifications Guided System (속성 명세 지원 시스템)

  • 전승수;권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63-46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패턴 기반의 시각적 속성 명세 연구를 통해 모든 명세 논리를 포괄하는 요구성 명세의 단일 프레임워크와 자동화 지원 도구를 제시한다. 또한 유도 질문을 통한 속성 명세와 속성의 구조 및 상호관계 표현 방법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패턴 기반의 시각적 속성 명세 언어(PVSL)를 정의했다. 요구 속성은 속성도를 통해 표현되며 패턴 다이어그램과 속성 and-or 트리로 의미 및 구조를 해석한다. PVSL 과 속성도는 검증자의 기존 지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계층형 유한 상태 기계의 표기법을 활용한다. 그리고 Nu-SMV 에서 실제 사용된 CTL 예제를 속성도로 명세하고 이를 해석하는데 적용했다. 그 결과 배경 지식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빠른 명세와 해석이 가능했다. 또한 명세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었으며 속성의 구조와 상호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Spatially Runoff Simulation without Geological Information (지형정보 미구축 유역에 대한 유출모의 방안)

  • Kim, Nam-Won;Lee, Jeong-Eun;Lee, By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95-798
    • /
    • 2006
  • 국외의 경우 과거에 개발된 개념형 모형을 준분포형 모형으로 확장하고 GIS와 연계하여 모형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 최근 국내 수자원 분야에서도 GIS를 이용한 모형의 적용이 많이 시도되어지고 있다. GIS와 연계된 모형을 이용할 경우, 기본입력자료로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등과 같은 수치주제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수치주제도는 전국 대분분 유역에 구축되어 있으나, 토양도의 경우 한강유역 휴전선 이북지역에 관한 정보가 아직 구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도의 공간적인 정보와 그 속성정보가 준분포형 모형인 SWAT-K 모형에서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충주댐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토양도의 속성정보는 3가지 시나리오(유역면적평균, 전국평균A, B)를 가정하였다. 대상유역을 10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여, 토양도 미구축 유역이 증가함에 따라 3가지 속성정보 시나리오에 따른 연유출량의 오차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상유역의 토양도 속성정보를 면적평균하여 적용한 경우 가장 작은 오차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미구축 유역이 약 30, 60 %일 경우에 각각 1.4, 3.5 mm의 RMSE값을 나타내었다.

  • PDF

Extraction of Road Facility Information Using Graphic Solution (지상사진 도해법을 이용한 도로시설물 정보추출)

  • Sohn, Duk-Jae;Lee, Hey-Jin;Lee, Seu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0 no.2 s.20
    • /
    • pp.77-85
    • /
    • 2002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spatial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road facili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GIS) using graphic solution. Terrestrial photogrammetry has a lot of possibility for the acquisition of road facility information, which has much convenience in locating camera station, selecting the direction, and taking multiple images of the object at the fixed position.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technique using single frame images only for the raw image data, being able to apply in the case where comparative high accuracy is not required and rigorous photogrammetric method is not available or rapid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need. As the results, we can find the efficiency in plane feature mapping and determining the dimensions of the road facilities.

  • PDF

A Measurement of Lexical Relationship for Concept Network Based on Semantic Features (의미속성 기반의 개념망을 위한 어휘 연관도 측정)

  • Ock, Eun-Joo;Lee, Wang-Woo;Lee, Soo-Dong;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146-15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개념망 구축을 위해 사전 뜻풀이말에서 추출 가능한 의미속성의 분포 정보를 기반으로 어휘 연관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먼저 112,000여 개의 사전 뜻풀이말을 대상으로 품사 태그와 의미 태그가 부여된 코퍼스에서 의미속성을 추출한다. 추출 가능한 의미속성은 체언류, 부사류, 용언류 등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명사류와 수식 관계에 있는 용언류 중 관형형 전성어미('ㄴ/은/는')가 부착된 것을 대상으로 한다. 추출된 공기쌍 45,000여 개를 대상으로 정제 작업을 거쳐 정보이론의 상호 정보량(MI)을 이용하여 명사류와 용언류의 연관도를 측정한다. 한편, 자료의 희귀성을 완화하기 위해 수식 관계의 명사류와 용언류는 기초어휘를 중심으로 유사어 집합으로 묶어서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의미속성의 분포 정보를 통해 측정된 어휘 연관도는 의미속성의 공유 정도를 계산하여 개념들간에 계층구조를 구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 PDF

Generation for Attribution Information of Digital Map using Space Matching (공간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속성정보 생성)

  • Moon, Yong Hyun;Kim, Myoung Suk;Jo, Eui Hwan;Choi, Seok K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3
    • /
    • pp.101-108
    • /
    • 2012
  • The construction of data connection is required due to the digital map do not have the new address data which is implemented by the Korea government and it cannot use between government and other agency. The manually matching of digital map and new address data is time and money consuming process due to the huge amount of data. In this research, new system is developed for data generation of attribute data by the data connection method of digital map and new address data using spatial matching and matching rate of data connection is analyses. The results of data matching rate in the research area are 84% in building case and 67% in road case in 1:1000 digital map at Suwon and 18% in building case and 21% in road at Seogwipo.

Methodology of Identifying Crime Vulnerable Road and Intersection Using Digital Map Version 2.0 (수치지도 2.0을 이용한 범죄 취약도로 및 교차점 식별기법)

  • Kim, Eui M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4
    • /
    • pp.135-142
    • /
    • 2014
  • As interest in social safety has recently increased at the national level, the various activities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crimes are being carried out. Because the existing maps related to crimes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crim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for users, women and pedestrians who go by night could not actually grasp safe roads in advance.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he methodology that can easily extract dangerous areas due to crimes by the digital map 2.0. In the digital map 2.0, loc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center-lines of roads and building layers were used to find dangerous areas of crimes in these layers. Pavement materials and road width which are already built by the attribute information were used in the center-lines of roads. Crossing angles that roads and roads cross each other were additionally extracted and utilized. The attribute information about building types were input in the building layers of the digital map 2.0. The areas that are more the threshold values set by totaling up all the risk scores when considering pavement materials, road width, crossing angles of road, and building types in the center-lines of roads and road crossings were extracted as the dangerous areas that crimes can occur.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methodology was done by experiment. In the spatial apsect, the dangerous areas of crimes could be found by using the digital 2.0, roads, and building layers only through the experiment. In the administrative aspect to prevent crimes, additional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such as street lights and security lights in the identified areas which are vulnerable for crimes is thought to be increasing safety of dangerous areas.

Mobile GIS Application for Managing Flood Disaster in River Basin (하천유역 홍수재해관리를 위한 Mobile GIS 기술 적용)

  • Seo, Young-Min;Kim, Sung-Bum;Jang, Kwang-Jin;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12-1115
    • /
    • 2006
  • 모바일 GIS를 홍수재해관리 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한 목적은 홍수에 대비한 신속한 상황대처 통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모바일 GIS 시스템 구축의 기본 방향은 하천유역에 대한 행정업무 및 정보화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 현장업무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수문정보 및 지형정보에 대한 다양한 컨텐츠를 주민들이 쉽게 접근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현장 실무자가 하천 수위 및 유량을 관리하는 데 있어 즉각적인 조치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동 클라이언트와 홍수재해관리시스템 서버간의 무선통신채널은 AP(Access Point)를 통한 WLAN이나 CDMA망의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차세대 휴대인터넷 망을 대상으로 하였다. 홍수재해관리시스템은 ArcIMS, HTML, Java Script를 이용하여 구축하고 웹 서비스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IIS(Internet Information System) 사용하며, ArcIMS의 정상적인 구동을 위해 JRE(Java Runtime Environment)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주요 GIS 기능은 줌인, 줌아웃, 팬, 속성정보 검색, 거리측정, 버퍼링 기능 등이고 Layer는 침수위험건물, 대피건물, 침수지역 건물용도, 건물, 도로, 수계, 침수예상지역(100, 200년 빈도), 위성영상, DEM, 행정경계 등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시스템 구축에 사용될 데이터는 수리수문학적 데이터(유출량, 강우강도, 대상지역의 면적, Manning 계수 등)와 대상지역의 수치지도, DEM, 고해상 위성영상,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수리수문학적 데이터와 DEM 데이터를 바탕으로 침수지역 데이터를 생성하고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속성정보와 디지털 지도인 공간정보를 연결하기 위해 디지털 지도에서 건물 Layer, 도로 Layer, 등고선 Layer, 수계 Layer를 추출하여 ArcGIS에서 Coverage로 변환하여 위상관계를 설정한 후 다시 Shape 파일로 변환하여 속성정보와 연결시키도록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홍수재해 관리시스템에서 모바일 GIS를 적용하기 위하여 Pocket PC를 탑재한 이동 클라이언트인 PDA에 GPS 모듈을 확장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GIS 서버간에 XML 기술을 이용하여 수문정보 및 지형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M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in Road and River Field (도로 및 하천분야 BIM 속성분류체계 개발방안 연구)

  • Nam, Jeong-Yong;Kim, Min-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2
    • /
    • pp.773-784
    • /
    • 2019
  •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BIM information systems are spreading to civil engineering fields as a link to this technology. Accordingly,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 is announcing a technical policy to introduce the BIM information system into the construction sector from 2020. Usually, SOC-related facilities are complex,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BIM without a standards framework.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urgent to develop a BIM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BIM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link the previously developed object classification system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and working standards. This includes property information of businesses, facilities, parts of facilities and components that correspond to the level of object composition in the road and river sectors. It also suggested ways to apply expansion to various SOC areas and to organize spatial information by fac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pplied to road facilitie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building. The development of the BIM Standards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is R&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T by providing conditions for convenient modeling and inform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