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타당성

Search Result 25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Development of an End-Effector in Automated Pavement Crack Sealer and Technical Feasibility Analysis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 말단장치의 요구성능 분석을 통한 설계·제작 및 기술적 타당성 분석)

  • Lee, Jeong-Ho;Lee, Won-Jae;Yoo, Hyun-Seok;Kim, Young-S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4D
    • /
    • pp.367-376
    • /
    • 2012
  • Crack sealing is a maintenance technique commonly used to prevent water and debris penetration and reduce future degradation in pavement. The conventional crack sealing operations are, however, dangerous, costly, and labor-intensive. Automating crack sealing will improve productivity and quality, and offer safety benefits by getting worker off the roa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several teleoperated and machine-vision assisted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automate the overall process of routing and sealing pavement cracks. However, the developed systems have not been commonly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s because of the technical problems. Especially, the performance of end-effector, related to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improvement, is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practical use of the developed systems.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nd-effector in automated pavement crack sealing machine and to analyze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end-effector.

Analysis of Effectiveness on Improving Hazardous Roads (위험도로 개선사업에 따른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하태준;박제진;장안상;박찬모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4
    • /
    • pp.213-222
    • /
    • 2002
  • 교통사고가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정부는 교통안전대책의 실질적인 추진 방안으로 "교통사고 잦은 곳"과 "위험도로" 개선사업을 제시·시행하고 있다. 이에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추진현황에 따라 각 년도별 기본 개선계획의 평가 및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효과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험도로"'의 경우 모든 사업을 건설교통부 산하 국도유지사무소에서 진행을 하고 있으나, 광범위한 사업으로 인한 업무과중 및 개선사업비 조달 등의 문제로 개선된 현황의 체계적인 효과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로" 개선사업에 대한 효과분석을 수행하여 보다 비용-효율적인 개선사업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체 위험도로 구간 중에서 '광주국도유지사무소' 및 '순천국도유지사무소' 관할 구역 내의 "위험도로"로 선정(1995년)된 도로구간 중 1999년 이전에 도로개선공사가 완료된 후 현재 교통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18개 도로구간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선택되어진 18개 구간에 대한 도로개선공사 전후의 교통사고건수 및 교통사고율을 효과척도로 삼고 각 사고에 대한 소요비용을 기준으로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위험도로" 개선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및 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도로" 개선사업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연구 분석결과가 전라도 권역의 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져 전국적인 개선사업에 대한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개선사업의 효과를 구체화 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공사 완료된 도로구간에 대한 상세한 공사비 내역과 다수의 개선방안별 자료가 갖추어지면 위험도로의 사고율과 개선방안별 상관관계를 관련 비용을 중심으로 도출함으로서 비용-효율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용-효율적인 개선 방안을 기반으로 한 각각의 사업 투자우선 순위 결정방안에 관한 지속적 인 연구가 요망된다.

Application of Mote Carlo Simulation to Efficiently Estimatc Highway Investment Cost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도로 투자비 추정 합리화 방안)

  • 서선덕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03a
    • /
    • pp.61-64
    • /
    • 1998
  • 도로의 건설을 위해서는 통상 타당성조사, 기본계획, 기본설계 및 시공의 여러 가지 단계를 밟는다. 이들 각 단계를 거치면서 일반적으로 투자비 추정액은 실제 공사비와 더욱 근접하게 되게 되나, 타당성조사 등 계획단계에서의 추정액은 실제 공사비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계획물량의 추정이나, 단가의 추정 등에서도 발생할 수도 있고, 구체적인 지질조사 등이 없는 상태에서 가정한 지질조건이나 공사조건 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한다. 현재의 일반적인 관행은 이러한 투자비 추정단계에 작용하는 불확실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여 투자비 추정치의 확률적인 분포를 산정하지 않고, 하나의 확정적인 추정치만 제시하고 있어 제시된 추정치의 신뢰도를 확인하기가 곤란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관행과는 달리 투자비추정에서 관여하는 불확실성을 확률분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고려하여 추정된 투자비에 대한 확률분포를 명시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추정된 투자비에 대한 확률분포는 Mont Carlo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와 현재 각 계획단계에서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추정오차와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결과에 근거하여 도로사업에 대한 투자비 추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방향도 제시하였다.

  • PDF

Estimation of Road User Costs Caused by Work Zones and Economic Analysis in the Feasibility Study (도로공사로 인한 부(-)의 편익 반영 및 경제성 분석)

  • Lee, Seunghyeon;Lee, Jaeyoung;Choi, Keech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5D
    • /
    • pp.461-465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road user costs that caused by the expansion work of metropolitan arterial highway and to analyze the costs that affect economic feasibility evaluation. "Taerung~Guri IC" section of Bukbu Expressway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se costs could be a factor for determining economic feasibility for some projects. However, decreased capacity and free-flow speed are seriously different as period, type, length and traffic volume of work zones. These factors that decrease traffic capacity and free-flow speed should be deeply researche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s Considering Variations of the Future Volume in Urban Areas (신설 도시부 도로의 장래 교통량 변화를 반영한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 Lee, Soo-Beom;Hong, Da-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3 s.81
    • /
    • pp.125-136
    • /
    • 2005
  • The current traffic accident reduction procedure in economic feasibility study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road and V/C ratio. For solving this problem, this paper suggests methods to be able to evaluate safety of each road in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through developing accident Prediction model in reflecting V/C ratio Per road types and traffic characters. In this paper as primary process, model is made by tke object of urban roads. Most of all, factor effecting on accident relying on road types is selected. At this point, selecting criteria chooses data obtained from road planning procedure, traffic volum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median barrier, and the number of crossing point, of connecting road. and of traffic signals. As a result of analyzing between each factor and accident. all appear to have relatives at a significant level of statistics. In this research, models are classified as 4-categorized classes according to roads and V/C ratio and each of models draws accident predicting model through Poisson regression along with verifying real situation data. The results of verifying models come out relatively satisfactory estimation against real traffic data. In this paper, traffic accident prediction is possible caused by road's physical characters by developing accident predicting model per road types resulted in V/C ratio and this result is inferred to be used on predicting accident cost when road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are performed. Because data using this paper are limited in only province of Jeollabuk-Do, this paper has a limitation of revealing standards of all regions (nation).

3자 투자 방식에 의한 대북 도로 민자 사업을 제안하며

  • Jo, Yun-Ho
    •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2
    • /
    • pp.17-22
    • /
    • 2011
  • 남북 쌍방의 정치 협상이나 현황에 의미를 두지 말고 제 3 세계 주관사를 초청하여 서울 신의주 간 고속도로 민자 사업을 계획, 시공 및 관리하자는 주장은 이상에 불과할 수 있다. 남북 간 정경 분리 원칙을 내세우지만 간단한 미풍에도 흔들리고 있는 것이 개성공단의 현실이다. 필자는 거창한 통일 관련 학자는 아니지만 도로를 사랑하는 사람으로 도로인에 남북 화합의 지휘자가 되라고 권한다. 통상 사업 초기, 기획의 미비로 드는 추가 비용을 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대기업들은 예방비용에 미리 투자함으로써 품질은 높이고 비용은 줄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대북 인프라 사업은 예방비용에 투자하는 것과 같다. 북한에 투자하는 SOC 사업은 비용은 파악하기 쉬운 반면, 그것이 가지고 올 이익은 장기적이고, 위험도가 크며, 또한 편익을 정량화하는 것이 어려운 특성이 있어 반대 여론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조건 없는 남북 경협을 주장하는 것이 아닌 이상 남북 양 정부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제 3자 방식의 민자를 통한 도로 사업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어떠한 SOC 사업보다 타당성이 있다. 도로 건설 불가론이란 거대 여론앞에 풍전등화의 두려움에 떨고 있는 건설인들에게 북한 도로 시장이라는 커다란 선물 보따리를 정부가 앞장 서 풀어주길 기대한다.

Development of Classified Congestion Functions (도로유형별 지체함수 정립에 관한 연구)

  • 강호익;박창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17-131
    • /
    • 1998
  • 지체함수는 교통량과 속도의 관계를 단조 증가함수로 단순화하여 교통수요예측의 교통배정모형에 사용되게 된다. 이 지체함수를 구하는 방법은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교통배정을 통해 구해지는 추정 링크통행량과 실측 교통량을 비교해 가면서 정산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교통량-속도 관계로부터 직접 구하는 방법이다. 첫째 방법은 구해진 O/D 통행량표의 부정확성과 모형에 내재하는 오류가 이 지체함수에 포함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량-속도 관계로부터 직접 도로유형별 지체함수를 구하여 교통배정에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정입하였다. 교통망 전체에 대하여 단일 지체함수를 적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교통량 변화에 따른 통행시 간의 변화가 보다 둔감한 고급도로에 변화는 고급도로일수록 둔감하게 나타나며, 교통배정에 도로유형별 지체함수를 적용할 경우 단일 지체함수 적용시에 비하여 고급도로에 더 많은 교통량이 배정되게 된다. 본 연구의 결과, 교통망상에서 보다 현실적인 도로유형별 분담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이 정립됨으로써, 지금까지 교통배정에 있어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되어 왔던 고속도? 등 고급도로의 실제 타당성을 반영할 수 있게 되어 도로의 기능적 배차구조가 확립된 효율적인 교통망을 구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babilistic & Economic Factors in Highway Geometric Design : A Climbing Lane Example (확솔 및 경제요소를 고려한 도로선형 설계)

  • 정천수;음성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8 no.2
    • /
    • pp.109-118
    • /
    • 1990
  • 본 고는 도로선형 설계에 확율 및 경제요소를 반영시키는 방법과 그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접근방법은 도로사용자 비용과 도로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 등을 포함하는 총비용을 예상비용함수로 나타내어 이 비용함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최적 도로선형 설계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고는 이 개념에 의한 최적 설계방법을 등반차선(Climbing lane)의 설계에 적용하였다. 즉, 오르막길의 경사 및 거리에 따른 등반차선의 최적 위치를 찾기 위해 우선 오르막길에서의 승용차와 트럭의 속도분포를 찾아내고 예상예비함수를 등식화하여 그 최적해를 구함으로써 등반차선의 최적 위치를 구하였다. 현재 등반차선의 설계과정(AASHTO, 1984)은 트럭 주행능력에 따른 가정과 트럭과 승용차의 최대 속도 차이를 임의로 선택하여 등반차선의 최적 위치를 찾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기존 등반차선 설계방법과 새로운 설계방법을 상호 비교하면서 새로운 방법의 타당성과 그에 따른 설계이점들을 증명하였다.

  • PDF

A Study on Automated Extraction of Road in Color-Printed Maps (칼라지도영상으로부터 도로 영역의 자동 추출에 관한 연구)

  • 김성영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3 no.3
    • /
    • pp.1-5
    • /
    • 1998
  • In this paper, it was Proposed to extract road area automatically in general road guide map. Line tracing proposed in 〔1〕 was used basic extraction method, but by choosing starting pixel automatically iterative user interaction could be removed in this paper. this was possible by classifying and analysis color of each roa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was proved through experiments with various color printed ma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