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지형

Search Result 538,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Terrain Classification for Road Design (도로 설계 지형 구분)

  • Kim, Yong-Seok;Cho, Won-Bum;Kim, Jin-Kug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3 no.4
    • /
    • pp.221-229
    • /
    • 2011
  • Road design needs to ensure the economic justific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nature by adapting road alignment to the natural terrain. Though current road design guideline only defines a flat and a mountainous terrain, classification including rolling terrain should be needed while considering the fact that about 25.8% of our land can be classified as rolling and the road design guideline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and Australia has a terrain classification including rolling in order to take a deep consideration on the natural environment. The study attempts to draw a criterion to classify the assumed three individual terrains in a quantitative way by using a index like the undulation of the original ground profile. The study carried out a case study based on a conceptual frame developed in the study as an approach to differentiate each terrain.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a criterion in that a flat terrain has less than 40 meters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point of original ground from 40 to 60 meters for rolling terrain, and greater than 60 meters for mountainous respectively.

Automated Modification of Irregular Shape of Building Edges Extracted from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Using Road Direction Information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건물경계의 도로방향정보 기반 선형보정)

  • Lee Jong-Yeo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73-177
    • /
    • 2006
  • 고해상도의 위성영상이 수집됨에 따라 이에서 지형지물을 자동 추출하려는 분야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지형지물을 수작업을 거치지 않고 추출하는 방법의 연구 중에서는 지형지물의 경계추출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추출된 지형지물 경계의 선형이 왜곡된 형태를 갖으며, 지형지물의 실제 경계의 형태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결과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선형이 굴곡이 있는 지형지물 중 건축물의 경계를 인접한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의 경계 형태에 가깝게 보정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context 정보로서 이것을 이용한다면 블록 내의 건축물의 경계를 보다 규칙적으로 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제를 가지고 도로로 분할된 블록 내 건축물 경계를 도로의 방향을 기반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The Application of SQL in Terrain Information Analysis for Route Design (도로 설계를 위한 지형정보 해석에 있어서 SQL의 응용)

  • Kang, Joon-Mook;Yoon, Hee-Cheon;Lee, Hyung-Seok;Lee, Sung-S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3 no.2 s.6
    • /
    • pp.29-42
    • /
    • 1995
  • Route design in topographical plane map brings many problems in efficiency and requires much time and labor by hand Recently, the active studies of efficient route design method using 3-D terrain information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 on GSIS. In order to analyze terrain information for route design efficiently, this study presents objective and overall datum by applying SQL in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database and the possibility of three-dimensional terrain information analysis, This study generates 3-D base map on topographical map of scale 1:5,000 and acquires terrain information that have various thematic map data; contour, land use, roadway, and drange. This i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QL in rout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terrain information that linked by graphic datum of completed topographical map and attributed datum of databas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produce promptly and efficiently design datum of profile annotation, cross section, and volume computations to the preliminary route for route design and apply this efficient method to route design by understanding visual DTM which is composed of the roadway and the natural scene after design.

  • PDF

Determination of Highway Design Speed Based on Reclassification of Highway Functions and Terrain Types (기능 재분류와 지형특성을 이용한 도로 설계속도 적정화 방안)

  • Shim, Kywan-Bho;Choi, Jai-Sung;Hwang, Kyu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6 s.84
    • /
    • pp.7-18
    • /
    • 2005
  • Currently, design speed selection is chosen by highway function, terrain type and area type. But some standards in classifing highway function let designer decide design speed in an arbitrary manner and too rough a highway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leads to a road function which can not reflect road design, and some ambiguity of terrain type leads to a road which can not reflect land use pattern. Highway design based on traffic volume level without considering area type can result high construction cost. This research paper provides new highway design standards which are based on the refinement of highway design speed selection procedure. The new design speed is summarized to be determined by a more detailed highway function, terrain type, and area type that were made considering South Korean characteristics. The new highway function is established by adopting highway function reclassification and design volumes and rural town center reclassification and new design standards for terrain type selection a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by analyzing South Korean GIS Data Base obtained over the national government offic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Flood inundations in Urban Areas according to Topographic Conditions (지형조건에 따른 도심지 내수침수 분석에 관한 연구)

  • Yeong Hun Son;Kye Won Jun;Min Ho Kim;Chang Deok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0-330
    • /
    • 2023
  • 이상기후로 인해 전국적으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건물 및 도로의 증가와 토지이용변화와 같이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에 배수체계의 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으로 도심지 내수침수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과 도로가 많은 도심지에서의 내수침수 분석을 위하여 2017년 7월과 2020년 8월에 침수 피해가 발생한 봉명지구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건물과 도로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이를 반영한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내수침수를 분석하기 위해 XP-SWMM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피해 발생 당시의 침수심과 침수범위가 나타난 침수범람도를 바탕으로 각 지형조건에 따른 내수침수 분석 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각 지형조건 중 건물과 도로를 반영한 지형에서의 침수심과 침수범위가 실제 피해와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좁은 골목에서의 수위와 흐름속도는 다른 지형조건에서 보다 높고 빠르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월류수는 도로를 따라 하류로 이동하여 하류부 침수심이 가중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New Terrain Type Classification to be used in Highway Design (도로설계 적정화를 위한 새로운 지형구분에 관한 연구)

  • Kim, Sang-Youp;Choi, Jai-Sung;Lee, Seung-Yong;Han, Hyung-G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8 no.4 s.30
    • /
    • pp.49-62
    • /
    • 2006
  • The republic of korea has put a great emphasis on the role of the road as widening a social infra-structural facility. Thus, vast amount of money has been invested on the road establishment. As a result, there has been fruitful outcomes in establishing the road system of the nation especially for the flat road with ease. However, in order to have more systematic and sustainable road system, we should turn our attention to more painful and high-cost regions such as mountainous districts and those are to be developed eff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the road is an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in making a decision for the road planning. Nevertheless, current road planning criterion has no such clarified and objective judging standard for figu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ad out and, as a result, speed planning can be decided incorrectly. our research ha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estim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ad and aimed to make it organized and sorted according to the height, slope, and the vehicle's spe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r research made use of GIS data and classified the road into 9 different area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the slope. Also, road classification being matched to the data of vehicle's speed, it has been shown that thos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reas have made an influence on vehicle's speed. Second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imilarity between geographical classification and, vehicle's speed of sorted group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the slope, conclusively we have classified as flat, rolling region and mountain. Since our research has made use of vehicle's speed for National Highway, it is not applicable to different functional highways. However, for the highway to be established hereafter, it can be a standard for reflecti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 PDF

Failur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Road Slopes in Kawangwon-Do (강원도 산악지형 도로사면 붕괴특성 및 유지관리)

  • 이승호;황영철;이재기;김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b
    • /
    • pp.79-88
    • /
    • 2000
  • 국내의 지질 및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도로 개설에 따른 절개 사면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런 절개 사면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자료를 갖추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강원도는 산악지형이 많고 영동지방과 중부지방을 연결하는 도로에 대규모 절개사면들이 자리잡고 있어 매년 크고 작은 사면활동이 발생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강원도 산악지형에서 발생한 사면파괴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대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지방도 사면의 관리현황과 유지관리방법 그리고 대책수립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조사된 자료로부터 산악지형 지방도 사면의 특징을 파악하여 나아가서는 적절한 사면안정대책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 PDF

Flood Analysis on Surface Detail of Inundation Risk Area (지형 해상도에 따른 침수위험지역 침수해석 분석)

  • Tak, Yong Hun;Park, Mun Hyun;Kim, Young D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3-113
    • /
    • 2016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지역에서는 호우에 의한 침수피해가 더욱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인구와 건물이 밀집한 도시지역은 불투수율이 높아 호우 발생시 홍수 위험도가 커지고 있으며, 침수에 의한 사유재산뿐만 아닌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도시는 건물과 건물 사이로 도로 네트워크가 복잡하게 설계되어있다. 이러한 건물과 도로들은 투수성이 떨어지며, 지하공간과 건물들이 발달하여 유역지표면의 가하학적 형상이 매우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도시지역은 저류 및 침투능이 부족하고, 지역의 특성에 따라 내수배제시설이 부족하여 우수관망에 대한 우수배제의 의존도가 높으며, 호우에 의한 침수와 관거 월류에 의한 침수피해 발생시 우수는 도로를 따라 저지대로 흐르며 침수지역이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도시지역의 침수를 예측하기 위한 침수해석에는 지형의 높낮이, 형상을 고려한 예측이 필요하다. 특히 건물 및 도로망이 복잡한 지역일수록 지형이 정교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지형이 적절히 고려되지 않은 침수해석은 침수예상지역을 다소 과대 또는 과소하게 나타낼 수 있고, 침수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건물과 도로가 밀집된 도시지역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하여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이는 곧 인명과 재산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침수피해가 있었던 도림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형자료의 해상도에 따른 침수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수관망과 도시지역의 유출모의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SWMM 모형을 활용하여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10m DEM, 1:1,000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지형상세도의 변화에 따른 침수모의를 실시하였다.

  • PDF

Analyses on Sunshine Influence of Road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로의 일조영향 분석)

  • Lee, Hyung-Seok;Kim, Jung-Sik;Park, Joon-Kyu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419-425
    • /
    • 2005
  • 산악지역을 관통하는 도로의 경우 그 특성상 절토 후 도로를 시공하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때로는 매우 긴 구간에 일조가 적게 나타나 음영이 오래 지속되는 곳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도로의 노선계획시 예상되는 일조영향을 평가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지역을 선정하고 수치지형자료의 변환을 통하여 3D 지형 메쉬데이터를 작성하고 동일좌표체계의 도로선형자료를 반영하여 정확한 도로모델링을 생성하므로써 도로의 각 지점별 일조영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도로노면상의 음영시간을 계산하고 일영이 도로 전체에 어느 정도 유지되는지를 가시적으로 모델링화하여 계절별 시간대별로 도식화하므로써 판단자의 시각적 분석을 가능케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