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안전성 조사분석 차량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velopment of Cognition Character Model for Road Safety Facilities on Vertical Alignment Sections (종단선형구간에서의 도로안전시설물 인지특성 모형개발)

  • Lee, Soo-Beom;Kim, Jang-Wook;Kwon, Hyuk-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3 s.81
    • /
    • pp.73-84
    • /
    • 2005
  • Highway design criteria are considering roadway safety and smooth driving maneuver. However, a certain highway alignment within design criteria often leads drivers to undesirable situation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intention of design criteria and the unintended result of drivers' cogn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often result in traffic accidents. In order to reduce accident process, highway safety facilities are installed on those roadway section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way environments and human factors has not been deeply studied in Korea. In this study. vertical roadway sections are constructed with 3-D graphical tools. This vertical roadway sections are simulated on a driving simulator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drivers' cognition on different roadway environments. Based upon the collected data from the driving simulator,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of quantification theory II have been performed in order to figure out impacting factors on the degree of roadway safety. Also, based upon quantification theory I.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way safety facilities and the degree of safety has been analyzed.

A Study on the Solution of School Zone Problems (어린이 보호구역의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남구를 중심으로 -)

  • 신동철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12-322
    • /
    • 1998
  • 본 논문은 학교 권역의 도로 및 교통요건을 조사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기준의 적용 실태와 문제점 등을 분서하며, 어린이 보호구역의 조성기준을 적정화하고 체계적인 대책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어린이 보호구역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이 지정·관리기준 및 외국의 School Zone 사례를 살펴보았다. 현재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광주시 남구의 14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별 도로 및 교통현황과 함께 적용되고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 범위 및 교통규제, 중요안전 시설물의 설치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또 연도주민의 설문을 통해 보행의 안전성과 교통사고의 위험성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12m 이하의 이면도로가 전체대상 통학로의 64.6%에 해당되며, 2차로 이상의 도로는 35.4%로서 이면도로에 접하는 초등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통규제방안으로 시행되고 잇는 것은 8개 초등학교의 시차별 주차규제와 4개 초등학교의 총 10개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설문을 통해 보행환경의 위험성을 분석한 결과 차량의 속도와 주차차량에 의한 통행 방해나 사고위험을 가장 많이 인식함에 따라 그에 따른 안전시설의 추가 설치가 뒤따라야 하겠다. 이러한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어린이나 보행자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전시설의 설치에 따른 유지 및 관리가 중요하다.

  • PDF

A Study for Measuring of Cross Slope Using Instrument Vehicle with Multiple Sensors (센서를 장착한 차량을 이용한 도로 횡단경사 측정에 관한 연구)

  • Yun Duk-Geun;Jeong Dong-Hoon;Sung Jung-Gon;Lee Sang-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8 no.2 s.28
    • /
    • pp.105-116
    • /
    • 2006
  •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method to measure cross-slope using Road Safety Survey and Analysis Vehicle(RoSSAV) with multiple sensors. Cross-slope is an important element like horizontal alignment and vertical alignment in evaluating safety of the roads. In many cases, cross-slope is different from drawings due to frequent overlay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measure cross slope at the roads which has huge traffic volume. Therefore, the algorithm, which can be used when driving the RoSSAV with CPS/INS and Laser Scanner sensors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cross-slop.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algorithm, the superelevation was measured by Laser Scanner and GPS/INS system during travelling and the result was verified by statistical verification.

  • PDF

The Road Cross Section Evaluation With The Rotational Laser Scanner (회전식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 횡단경사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Jun Seok;Yun, Duk-Geun;Sung, Jung-G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4
    • /
    • pp.71-78
    • /
    • 2010
  • The road safety depend on many road factors like vertical alignment, horizontal alignment and road cross section angle. These data are hardly to get with drawings, and the real data are differ from drawings because of road pavement overlay, etc. To get these data, so many time and cost are needed, moreover it is dangerous work in heavy traffic road. In this study we obtained the road safety data with RoSSAV(Road Safety Survey & Analysis Vehicle)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traffic flow, and make analysis of road safety with the vertical alignment, horizontal alignment and road cross section angle data. We derived the safety improvement method in Young-dong accident prone spot and described detail method in this paper.

Development of Digital Image Acquisition System for the Road Safety Survey and Analysis Vehicle (도로안전성 조사분석차량을 위한 영상취득시스템 개발)

  • Jeong, Dong-Hoon;Yoon, Chun-Joo;Sung, Jung-G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7 no.4 s.26
    • /
    • pp.163-171
    • /
    • 2005
  • Current roads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based on the design criteria and thus those were overly simplified drivers' needs. The road criteria do not suggest the desirable range of the design values but suggest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road design. Therefore, a completed road design based on the design criteria does not always guarantee the best design in terms of safety and it sometimes violates drivers' expectation. Therefore, the ROSSAV(ROad Safety Survey and Analysis Vehicle) is being developed by the KICT to evaluate road safety and increase driving safety. In this paper, the image capture system was described in detail. The image capture system is consisted of two front view cameras, two side down-looking cameras and a synchronization device. Two front view cameras were used to take a picture of road and road facilities at the driver's viewpoint. Also, two side down-looking cameras were used to capture road surface image to extract lane markings. A synchronization device were used to generate image capturing signal at the fixed distance spacing huck as every 10m. The front view images could be used to calculate and measure highway geometry such as shoulder width because every image is saved with it's locational information. And also the side down looking images could be used to extract median lane mark which representing road alignement efficiently.

  • PDF

A Study on Service Level Analysis According to Geometric Structure of Two-Lane Highway (양방향 2차로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른 서비스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Ju-Ho;Lee, Young-Woo;Lim, Chae-M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7 no.1
    • /
    • pp.47-53
    • /
    • 2004
  • 양방향 2차로 도로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도로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오르막 차로 및 양보차로 추월차로 등의 부가차로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차로 효율성의 비교 분석을 통한 연구에 의하여 기존의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가차로 중 추월차로 및 양보차로가 포함된 구간을 조사하여 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 특성을 분석하고 각 구간별로 서비스 수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기하구조별로 지점속도와 통행속도를 분석한 결과 지점속도는 통행속도보다 조사지점의 기하구조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아 변동이 심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행속도는 그 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차량별 지점속도의 비교 분석에서는 현재 차량성능의 진보로 인하여 조사구간의 설계속도에 반해 중차량 및 버스-트럭, 승용에 대한 차량별 속도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중차량에 대한 보정은 현장제한속도에 대하여 감안되어야 된다고 판단된다. (3) 모의실험모형과 현장조사에 의한 교통류특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시뮬레이션은 도로의 전구간에 대한 결과는 잘 반영하고 있으나 짧은 구간에 대하여 교통류의 연속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4) 추월가능 구간과 양보차로구간의 효율성을 비교해 보면, 추월율에서 양보차로구간이 추월가능구간보다 22.5%나 높게 나왔으며 총지체비교에서는 추월가능구간보다 5.56sec/h의 지체감소를 보이고 있다. 서비스 수준분석에서는 같은 C의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양보차로의 영향으로 양보차로 후구간의 서비스 수준이 A까지 상향되었다. 따라서 대향교통류의 영향을 받는 추월차로의 확보보다는 효율성이 좋은 양보차로구간의 보급이 많아야 되겠다.

  • PDF

도로안전시설용 시선유도봉의 신뢰성 평가법 개발

  • Gu, Hyeon-Jin;Yun, Y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131-140
    • /
    • 2011
  • 도로안전시설용 시선유도봉은 통상 도로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고 차선을 분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시선유도봉은 주로 도로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과 부딪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특히 요구된다. 종래의 시선유도봉에 대한 평가방법은 제품의 일부를 채취하여 재료의 기본 품질 성능만을 평가하였다. 그러나 현장의 도로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수요기관에서는 빈번한 사고와 민원으로 인해 제품의 평가방법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였고, 완제품 상태로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선유도봉의 주요 고장 요인이 되는 차량 충돌에 의한 재질 파손, 바퀴 압축에 의한 회복 불능, 제품 표면에 부착되는 반사시트의 박리 및 변색에 대한 고장 메커니즘 분석하고, 이러한 고장을 재현할 수 있는 신뢰성 평가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요 고장 메커니즘 분석을 위해 국내.외 평가 기준을 조사하였으며, 특히 미국 AASHTO'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ion Officials)의 NTPEP (National Transportation Products Evaluation Program)에서 수행하고 있는 내구성 평가 방법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해 국내 적용을 검토해 보았다. 또한 서울시설관리공단의 협조로 가장 주요한 고장의 요인으로 꼽히는 차량 충돌 시험을 올림픽대로 내 조각공원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험실에서 고장을 재현할 수 있는 신뢰성 평가 장비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차량 충돌과 바퀴 압축을 모사할 수 있는 신뢰성 평가 장비를 제작하였다. 시선유도봉의 신뢰성 평가는 기본적인 품질성능평가 이외에 신규로 개발된 충격시험(고온, 저온, 반사지)과 굴곡압축시험, 반사지와 재질의 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내 9개사(社) 10개 제품에 대한 신뢰성 비교평가를 실시한 결과, 제품의 내구성에 중요 척도가 되는 신뢰성 평가 기준을 설정할 수 있었고, 합리적인 제품의 가격 수준과 품질 수준에 대한 신뢰성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