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로선형

검색결과 536건 처리시간 0.03초

교차로의 특성을 고려한 도로선형최적화 (Alignment Optimizat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Intersections)

  • KIM, Eungcheol;SON, Bongsoo;CHANG, Myungsoon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09-12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의 비용 및 특성을 고려한 도로선형최적화 모형을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s)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기존의 도로선형최적화 모형은 교차로 특성을 고려하지 못해서 실제 적용에 심대한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도로선형에 교차로 건설의 필요가 있을 경우, 민감(Sensitive)하고 지배적인(Dominating) 교차로 비용 항목들 즉, 토공비용, 보상비, 포장비, 사고비용, 지체 및 연료소모비용 등의 산정이 시도되었다. 또한 비교적 우수한 도로선형 대안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탐색과정 중에서 비효율적으로 강제 퇴화시키는 단점 보완을 위한 교차로 국소 최적화 방법(Local Optimization of Intersections)이 개발되어 기존 모형을 보완하였다. 공간상의 도로선형은 매개변수적 묘사(Parametric Representation)를 통하여 구현하였으며 벡터운영(Vector Manipulation)을 통해 교차로비용 산정의 근간인 교차점과 다른 중요점들의 좌표를 찾을 수 있었다. 개발된 교차로 비용산정 모형이 보다 정밀하게 교차로 비용을 산정함이 증명되었으며 궁극적으로는 기존의 최적화 모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또한, 새로이 제시된 교차로 국소 최적화 방법이 최적대안 탐색과정의 유연성을 증대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교차로의 유지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제시된 교차로 국소 최적화 방법은 추후 단일노선이 아닌 도로망 최적화시의 기초를 제시함은 주목할 만 하다. 두개의 예제에서 도출된 최적노선 및 교차로 비용 등의 검토 결과, 도로상의 교차로 건설비용은 도로선형 최적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이며 민감한 비용 항목임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도로선형최적화 모형이 교차로 비용을 반드시 검토 및 평가할 수 있어야 함을 반증한다.

RTK GPS/GLONASS 조합에 의한 도로의 평면선형 적용 분석 (An Analysis of Application for Road Horizontal Alignment by the Combined RTK GPS/GLONASS)

  • 이종출;서동주;노태호;장호식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2년도 창립 2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 /
    • pp.93-102
    • /
    • 2002
  • 도로상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의 많은 부분이 도로의 선형불량에 기인된다. 이러한 도로의 개량설계를 위하여서는 도로의 선형을 정확히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도로의 설계도와 주요점의 좌표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이 연구되고 있는 인공위성중 RTK GPS/GLONASS의 조합에 의하여 획득된 3차원 자료를 기존 설계도의 제원을 근거로 하여 위치정밀도를 비교하며, 이렇게 재현된 도로의 선형을 평가함으로써 인공위성을 이용한 도로의 선형정보체계를 보다 효율적이고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한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고속도로 선형조건별 교통사고 위험도 평가모형 개발 (호남고속도로를 중심으로)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by Freeway Geometric Types)

  • 강정규;이성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63-175
    • /
    • 2002
  • 교통사고의 원인은 도로, 차량들의 물리적 요인과 인적요인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중 차량과 관련해서는 수많은 신기술들이 개발되었고 또 개발 중에 있으며 인적요인에 관해서는 최근 국내에서도 중요한 연구들이 수행 중에 있으나 그 결과를 실용화하는데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도로요인에 관한 그 동안의 연구가 국도 등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오히려 도로의 위계상 최상위 위치에 있는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미진한 것처럼 비쳐지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미국은 도로 안전도 증진을 목표로 IHSDM(Interactive Highway Safety Design Module)이라는 통합설계모듈의 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기초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평가모듈의 개발에 필수적인 것이 도로설계대안별로 교통안전도를 계량적으로 평가하는 모형의 개발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는 도로요인 중 특히 도로선형과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밝혀내기 위해 도로선형의 변화(선형개량, 도로확장)가 비교적 적었던 호남고속도로를 대상으로 고속도로의 선형요소와 교통사고와의 미시적인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도로를 직선부, 곡선부. 완화곡선부 등으로 1차 구분하였으며 이들 구간의 선형요소와 지난 5개년('96년∼'00년) 간의 교통사고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모형산정에 이용하였다. 또한 도로선형 요소 중 특히 교통사고와 관계가 큰 것으로 분석된 몇몇 요소들을 이용해 고속도로 선형조건별 안전도평가모형을 구축하였다.

GIS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도로중심선 평면선형 평가 (Evaluation on the Horizontal Alignment of Road Centerline using GIS Programming)

  • 김동기;최세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8
    • /
    • 2012
  • 도로의 평면 선형은 도로의 안정성과 교통 용량과 관계가 깊다. 도로의 효율적인 유지 관리와 기준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위해서는 도로의 평면 선형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Lidar자료나 GPS를 이용한 도로의 평면 선형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넓은 지역에서의 평면 선형 곡선 반경을 분석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도로중심선을 이용하여 곡선 반경이 도로 구조 시설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도구를 GIS 상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ESRI^{(R)}$ $ArcObject^{TM}$와 프로그래밍 언어인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을 사용해 도로의 평면선형을 자동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설계 구현하였다.

동적 GPS 관측에 의한 도로의 평면선형 분석 (A Analysis of Highway′s Horizontal Alignment Using Kinematic GPS Surveying)

  • 이종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45
    • /
    • 2001
  • 장래 도로설계는 첨단정보이용이 편리해야하고, 자동차 항법체계(CNS : Car Navigation System)에 맞추어 차량유도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선형설계가 필요하다. 이렇게 되면 기존도로의 개량설계를 위하여 기존 도로의 선형을 정확히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 도로의 설계도와 주요점의 좌표가 필요하게 된다. 기존 도로의 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적(Kinematic) GPS측량으로 도로선형 Data를 짧은 시간에 손쉽게 취득하였고, 이 Data를 이용하여 도로의 평면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관측된 도로선형 Data는 실용적인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었으며, 선형분석도 실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3차원 입체선형을 고려한 도로시거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3-Dimensional Sight Distance Model for Highway Alignments)

  • 박제진;최주용;하태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08
  • 도로기하설계의 기준이 되는 요소에는 시거(視距), 차량의 안정성, 운전자의 안락감, 배수, 경관 등이 있으며, 이 중 선형 결정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요소는 시거이다. 도로와 그 위를 주행하는 운전자의 관찰 행위는 분명히 입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행의 도로설계는 과정상 여러 가지 제약조건으로 인해 평면과 종단을 분리하여 2차원적으로 시거를 분석하여 설계시 적용하여 왔다. 입체시거의 계산이 까다롭고 2차원적인 시거가 실제의 입체시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도 그 원인에 포함된다. 하지만 최근의 도로안전에 관한 연구에서 도로일관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일관성 평가를 위해서는 안전요소들의 안전여유(safety of margin)를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거에 관한 정확한 안전여유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입체시거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임의의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도로선형에서 입체시 거를 계산할 수 있는 모형을 유도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제시되는 모델을 이용하여 도로선형을 가정한 후 시거분석을 실시해 보았으며 2차원적 시거와의 단순비교를 통하여 두 경우의 시거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3차원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기준을 정량화 하거나 입체시거 분석이 요구되는 도로안전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수치영상을 이용한 도로선형정보체계 구축 (Construction of Road Alignment Information System Using Digital Imagery)

  • 서동주;이종출;박운용;차성렬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3년도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88
    • /
    • 2003
  • 최근 수치영상은 사진측량의 기본원리를 이용하여, 각종 첨단 산업분야에 그 응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가장 중요한 국가시설물인 도로 경우에기존도로의 설계자료나 수치지도가 없는 지역인 경우가 많아 그 자료들을 획득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또한 도로자료 획득시 도로에 교통량의 증가로 종래 측량방법으로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사진측량에 의한 도로선형정보체계 구축방법을 제시 하고자한다. 먼저 수치사진측량에서 취득된 자료들을 객체 지향적인 언어인 Delphi를 이용하여 도로평면선형정보와 도로종단선형정보를 구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도로평면선형정보는 기발표된 연구보다 IP값은 약 X,Y방향으로 약 2m정도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곡선반경(R)은 약 2.5m정도의 정확도향상이 있었다.

  • PDF

RTK GPS/GLONASS 조합에 의한 도로의 평면선형 정확도 분석 (An Analysis of Accuracy for Road Horizontal Alignment by the Combined RTK GPS/GLONASS)

  • 노태호;장호식;이종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9-37
    • /
    • 2002
  • 도로상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의 많은 부분이 도로의 선형불량에 기인된다. 이러한 도로의 개량설계를 위하여서는 도로의 선형을 정확히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도로의 설계도와 주요진의 좌표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이 연구되고 있는 인공위성 중 RTK GPS/GLONASS의 조합에 의하여 획득된 자료를 기존 설계도의 제원을 근거로 하여 위치정밀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관측된 도로선형 자료는 5cm 범위 내에 포함되었으며, 이렇게 재현된 도로의 선형을 평가함으로써 인공위성을 이용한 도로의 선형정보체계를 보다 효율적이고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한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2차로 도로선형 설계일관성 평가기준 개발 (Development of Model for Highway Design Consistency Evaluation)

  • 이수일;이수범;김정현;김장욱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2007년도 제55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06-31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평면선형 설계일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및 모형을 개발하였다. 도로선형 설계 일관성은 운전자의 기대와 도로 기하구조의 일치성에 달려 있기 때문에 일관성 평가지표는 운전자의 행태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새로운 평가지표의 개발과 도로 선형조건에 따른 평가지표들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파악하여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간격과 속도편차를 새로운 평가지표로 제안하였다. 제안된 평가지표는 신설도로뿐만 아니라 기존도로의 선형일관성 평가로 도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TK GPS를 이용한 도로선형 위험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isk Factor on Highway Alignment Using RTK GPS)

  • 장호식;서동주;이종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7-76
    • /
    • 2002
  • 최근에는 도로의 교통수요 증가와 자동차 문화의 확산으로 도로의 안전성과 편리성, 신속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TK GPS를 이용하여 기시공된 도로의 중심선 관측값을 획득한 후 최소제곱법으로 도로 선형의 설계제원인 IP IA R을 산출해 내었다. 이런 설계 제원을 이용해 도로선형의 위험요소를 ${\ukcirner}$도로 구조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lrcorner}$ 에 준해서 분석하였다. RTK GPS를 이용함으로써 도로 선형 위험요소를 신속히 분석할 수 있었다. 기존도에서 선형개량의 필요여부를 판단할때나, 교통사고율이 높은 구간에서 선형에 관련된 사고원인을 분석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