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로공사

검색결과 984건 처리시간 0.029초

도로점용공사장 교통관리방안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the Road Work Zone)

  • 김종민;이상용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19-133
    • /
    • 2003
  • 도로는 교통기능 외에 여러 시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사회 인프라구축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서울시뿐만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도로점용공사는 매년 전국적으로 수만 건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매년 발생하는 도로점용공사의 차로과다 점용, 교통시설물 설치 부적절, 보행자 안전무시, 공사안내표지 부적절, 공사구간에서의 불법 주.정차 등의 문제점이 계속하여 발생.지적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관련 규정이 미흡하여 도로점용공사 시행자의 불법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서울시의 경우 시스템적 접근방법인 관련조례에 의해서 수행되기보다는, 교통자문회의로 운영되고 있으며, 관련 인원 및 법적 제재조치가 미약하여 도로점용공사의 효과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서울시 및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로점용공사로 인한 보행자와 운전자의 통행권 확보와 안전상의 문제 등을 하루빨리 인식하여 도로점용공사에 따른 도로공사장 교통관리 규정을 법규화 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도로점용공사에 따른 관련법 및 적용대상, 관련보고서 검토, 서울시를 사례로 한 공사중 교통처리방안 운영실태 및 문제점의 진단을 통하여 향후 도로공사장 교통관리 규정의 운영적 및 제도적 측면의 개선방안과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표물량을 활용한 도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프레임워크 (Cost Estimation Model Framework of Road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Quantity of Standard Work)

  • 곽수남;김두연;한승헌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07-612
    • /
    • 2007
  • 사업 초기 단계에서의 정확한 공사비 예측은 각각의 대안을 비교하여 향후 공사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예산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사업 초기 단계에는 공사비 산정 기준이 모호하고 가용 정보가 부족함에 따라 공사비 예측에 한계가 나타난다. 더욱이 현행 공사비 산정모델이 단위 길이당 공사비를 활용한 선형적이고 단순한 모델을 활용함에 따라 예측의 정확도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사비 산정모델의 한계를 개선하고 사업 초기 단계에서 가용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공사비 산정 모델의 Framework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을 분석하였으며, 기존 도로공사의 공사비 분석자료를 토대로 노선선정 등 사업초기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도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의 Framework를 제시하였다.

  • PDF

측량 분야의 리스크 식별을 위한 리스크 체크리스트 개발 -도로 공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sk Check List and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for Survey in Road Construction)

  • 곽준환;박형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01-904
    • /
    • 2008
  • 측량은 건설 공사 전반에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측량이 건설 공사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측량의 리스크 식별 및 관리에 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공사의 시공 시 수행되는 측량에 관한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를 목적으로 건설 공사 중 도로 공사에 수행되는 측량을 대상으로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리스크 관리는 리스크 식별, 분석, 대응의 3단계로 수행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 식별 및 분석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도로 공사의 측량 리스크 체크리스트 작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리스크 인자의 식별에는 도로 공사 시방서, 측량법, 도로 공사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식별된 리스크를 바탕으로 도로 공사의 측량 관련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작성될 체크리스트는 측량 관련 전문가 집단의 면담 조사를 통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여 측량 리스크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