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공간정보

Search Result 78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ffects of Wireless Controlled In-Pavement Flashing Light System at Pedestrian Crosswalk (횡단보도에서 무선제어가 가능한 도로표지병 도입효과)

  • Jin, Heui Chae;Lee, Jong Ho;Choi, Seok G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3
    • /
    • pp.109-115
    • /
    • 2012
  • Pedestrian safety is becoming a major priority on the nation's roadway policy. Numerous strategies have been experimented with nationwide in an attempt to reduce the accidents of pedestrian-vehicle crashes, especially in pedestrian crosswalk. We suggest the wireless controlled in-pavement flashing light system to reduce the accident at pedestrian crosswalk. We have recommended the use of wireless controlled systems as a tool to manage the In-pavement flashing light system that have retain high visibility goals for pedestrian preserving or enhancing pedestrian safety. Then we have compared this system with any other legacy systems in respect of cost and effects.

Location Model for Indoor Space (실내 공간을 위한 위치 모델)

  • Kang, Hae-Kyong;Li, Ki-Joun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1-56
    • /
    • 2007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기반으로 실내 공간 위치정보를 표현하는 위치모델을 제안한다. 실내 공간은 실외공간과 마찬가지로 유클리디언 공간, 네트워크 공간, 기호 공간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외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위치서비스의 경우, 도로 혹은 평면 공간처럼 어느 한 공간을 가정하고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실내공간에서의 위치서비스는 이 세 가지 공간을 동시에 고려해야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 논문은 세 가지 공간의 특성을 소개한 후, 각각의 공간을 위해 현재 사용되는 공간 위치모델을 간략히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내 위치모델을 위한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세 가지 공간모델을 통합하는 실내 위치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실내 공간들 간의 접근성 표현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간모델에 실내 위치모델을 위한 모델요소를 추가하는 형태로 설계되었으므로, 현재 개발된 지리정보 시스템들과의 호환성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Methodology of Identifying Crime Vulnerable Road and Intersection Using Digital Map Version 2.0 (수치지도 2.0을 이용한 범죄 취약도로 및 교차점 식별기법)

  • Kim, Eui M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4
    • /
    • pp.135-142
    • /
    • 2014
  • As interest in social safety has recently increased at the national level, the various activities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crimes are being carried out. Because the existing maps related to crimes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crim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for users, women and pedestrians who go by night could not actually grasp safe roads in advance.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he methodology that can easily extract dangerous areas due to crimes by the digital map 2.0. In the digital map 2.0, loc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center-lines of roads and building layers were used to find dangerous areas of crimes in these layers. Pavement materials and road width which are already built by the attribute information were used in the center-lines of roads. Crossing angles that roads and roads cross each other were additionally extracted and utilized. The attribute information about building types were input in the building layers of the digital map 2.0. The areas that are more the threshold values set by totaling up all the risk scores when considering pavement materials, road width, crossing angles of road, and building types in the center-lines of roads and road crossings were extracted as the dangerous areas that crimes can occur.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methodology was done by experiment. In the spatial apsect, the dangerous areas of crimes could be found by using the digital 2.0, roads, and building layers only through the experiment. In the administrative aspect to prevent crimes, additional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such as street lights and security lights in the identified areas which are vulnerable for crimes is thought to be increasing safety of dangerous areas.

Analyzing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and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by Using Space Syntax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공간구조와 공시지가 변화 분석)

  • CHO, Jung-Hun;MOON, T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43-52
    • /
    • 2016
  • Land price contains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representing the social and economic features of the city. Accordingly, land price can be utilized as an indicator, which can identify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and socioeconomic variations caused by urban developmen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change in land price by the road construction. Methodologically, it adopted Space Syntax, which can interpret urban spatial structure comprehensivel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s of road networks and land price.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integration index of Space Syntax' with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was the highest, and as integration was higher,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increased. Subsequently, using regression equation, it tried to predict the land price changes of surrounding areas, according to the new road construction in case area. As shown above, the research methods or study results have the advantage of predicting the changes in land price that can attract high concern of residents in an easy way.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relevant polices and smoothing business promotion through the enhancing residents' understanding by suggesting the change in land price in advance before the execut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A Study on the design of Database for photograph of Road Facilities (도로시설물 관리를 위한 Photo Database 설계에 관한 연구)

  • 엄우학;정동훈;김정현;김병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1
    • /
    • pp.33-40
    • /
    • 2003
  • For effective management of information about establishment and repair of road and road facilities, we built GPS-Van mapping system that CCD Cameras, GPS receivers and INS are integrated and using it surveyed test area. Suggested a scheme that possible put acquired data into photo database systematically. Prototype of roa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atabase shows us that extraction of qualitative information and management are possible through relation attribute information. And it raise cognitive faculty of user about objects using field photographs.

  • PDF

The Analysis of Parcels for Land Alternation in Jinan-Gun jeollabuk-Do based on GIS (GIS 기반 전라북도 진안군의 토지이동 필지 분석)

  • Lee, Geun Sang;Park, Jong Ahn;Cho, Gi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1
    • /
    • pp.3-12
    • /
    • 2014
  • Cadastre is a set of activity registering diverse land information in national scope land management works. A nation examine land information and register it in a cadastral book, and must update data when necessary to properly maintain the information. Currently, local governments execute work about parcels of land alternation by manual work based on KLIS road map. Therefore, it takes too much time-consuming and makes problem as missing lots of parcels of land altern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selecting the parcels of land alteration for Jinan-Gun of Jeollabuk-Do using the GIS spatial overlay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as belows. Firstly, the manual work on the parcels of land alteration was greatly improved through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number and area of parcels according to the land classification and ownership by GIS spatial overlay based on serial cadastral maps and KLIS road lines. Secondly, existing work based on KLIS road lines could be advanced by analyzing the parcels of land alternation using the actual-width of the road from new address system to consider all road area for study site. Lastly, this study can supply efficient information in determining the parcels of land alternation consistant with road condition of local governments by analyzing the number and area of parcels according to the land classification and ownership within various roadsides ranging from 3m, 5m, and 10m by GIS buffering method.

A Design of Real-time Road-Traffic Monitoring System based on GML for Mobile (모바일을 위한 GML기반 실시간 교통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 Kim Myung-Hwan;Chung Yeong-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319-321
    • /
    • 2005
  • 최근 효율적인 교통 흐름 제어 및 교통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소통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용자들에게 웹이나 지역에 설치된 VMS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위한 GIS가 OpenGIS와 같은 표준화 단체에서 제안하고 있는 구조를 따르지 않고 있으며, 지리정보의 표현도 검증 없이 자체적으로 GIS정보를 이용함으로 인해 서비스의 성능과 품질 저하는 물론 정보통합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penGIS에서 공간정보 표현에 권고되고 있는 GML을 기반으로 도로망에 구축되어진 각종 교통정보 기기로부터 ITS로 수집된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반영하여 모바일 기기 또는 웹서비스를 통해 교통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GML을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DB와 각종 교통정보 기기로부터 수집된 실시간 교통정보의 통합을 통해 모바일 기기나 웹을 통해 공통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lient/server 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시스템은 전용 공간데이터를 구축하지 않고, 표준화된 공간정보인 GML을 이용한 변환 메커니즘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 기종의 시스템에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Road Optimum Route Selection Technique using Multi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다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최선노선선정 기법 관한 연구)

  • Yeon, Sang-Ho;Lee, Jin-Duk;Lee, Jong-K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49-152
    • /
    • 2010
  • 본 논문은 지구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도로 및 철도 계획과 공사를 위한 최적노선을 선정하는 기법에 관한 새로운 연구이다. 사람과 물자를 수송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공공교통시설인 도로 및 철도를 건설하기 위하여 초기에 가장 중요한 결정이 바로 최적노선결정이므로 환경파괴를 최대한으로 감소시키고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대상 지역의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노선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3차원 지형 환경의 공간영상콘텐츠는 국토계획 및 통신설비계획, 철도건설, 시공, 입체적인 유비쿼터스 도시 구현, 안전 및 방재 등에서 많은 요구와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지리정보 기반의 2차원적인 지도정보와 시설정보를 다차원의 도시공간으로 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등고선을 이용한 DEM 방식은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철도와 같은 노선 폭이 좁고 길이가 길어서 궤적 관리가 어려운 작은 구조물의 경우에는 그 고도모델이 무시되기 쉬우므로, 레이저 측량 기술을 이용한 공간대상물에 대한 높은 정확도 취득이 크게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영상 Data를 중심으로 하는 정사보정하고 이에 매칭 할 수 있는 수치 지도 벡터와의 통합 및 전환으로 다차원 공간에서 건물 모델의 생성과 다양한 활용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이미 취득한 2차원적인 평면사진을 지상 기준점에 의하여 정밀기하보정을 하여 얻은 사진영상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동일지역에 대한 수준 측량결과인 높이 데이터를 매칭하여야 하므로, 항공기에 탑재한 센서로 모든 대상지에 대한 지형지물의 고밀도의 높이 값을 획득하여 위치보정 작업 후에 3D로 매칭할 수는 방법을 연구하여 실험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역의 지형조건, 기존 노선과의 비교, 토지이용, 지형경사, 사면방향, 지가 등을 분석하여 각각의 경중률을 고려한 후 선택된 후보노선들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최적노선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 PDF

Service Trend Analysis for Life and Culture rela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생활지리정보의 서비스 동향 분석)

  • Woo, Je-Yoon;Koo, Jee-Hee;Kim, Eui-Myoung;Ahn, Byung-I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77-82
    • /
    • 2002
  • NGIS 2단계사업(2001년${\sim}$2005년)은 국가공간자료기반 확충, 지리정보의 전 국민 유통 및 활용, GIS 산업육성 등의 목표를 가지고 추진되고 있다. 민간부분의 GIS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컨텐츠의 개발과 생활지리정보의 서비스 방향을 설정하고 법 제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지리정보의 개념을 설정하고 국내외 생활지리정보관련 사이트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민간부분의 생활지리정보서비스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하여 생활지리정보 항목을 11개로 분류하였으며, 공공부분에서는 중앙정부(건설교통부)와 지자체의 생활지리정보 현황을 분석하고 민간부분에서는 생활지리정보관련 36개 사이트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국외 사례는 미국, 일본, 영국, 스코틀랜드, 호주의 17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생활지리정보현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생활지리정보 서비스분석결과 국내의 경우는 도로/교통, 건강/의료 서비스가 우세한 반면 국외사례에서는 도로/교통뿐만 아니라 문화/관광 서비스가 상당히 많이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지리정보서비스의 방향은 공공부문에서는 기 구축된 업무시스템을 민원을 중심으로 웹서비스를 통해 생활지리정보의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고 민간부분의 생활지리정보는 기술부분과 컨텐츠부분으로 나누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Development of Digital Photogrammetry S/W for a Mobile Mapping System (차량측량시스템을 위한 수치사진측량 S/W 개발)

  • 정동훈;김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377-382
    • /
    • 2003
  • 차량측량시스템이란 차량에 2대 이상의 CCD 카메라와 위치측정장비(GPS, IMU 등)를 장치하고 도로를 운행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주변의 사진을 연속으로 촬영한 후 이를 이용하여 도로 및 도로시설물의 위치와 크기, 보존상태 등의 정보를 취득하는 새로운 측량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물의 3차원 위치결정을 위해 필요한 자료와 자료를 처리하는 각 단계를 체계화하였으며, 사용 편의성과 위치결정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측량시스템을 위한 수치사진측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