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동서원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중용(中庸)의 미학으로 살핀 도동서원(道東書院)의 경관짜임 (The Landscape Organization of the Dodong-SeoWon in the Aesthetics of Moderation)

  • 노재현;신병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55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서원 중 성리학적 사유와 규범에 가장 충일(充溢)하다고 알려진 도동서원을 대상으로 인간 중심의 성리학적 우주관의 핵심인 중용의 조형 미학적 특성이 서원의 경관짜임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 가를 풀이하고자 하였다. 건축적 완성도와는 다른 관점에서, 도동서원의 경관상을 지배하고 있는 형식미와 내용미를 터잡기 길내기 건물놓기 시선모으기 담두르기 이름붙이기 꾸미기 등 총 7개의 경관짜임 항목을 기준으로 도동서원 조형에 담긴 중용의 미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형적 짜임의 일부로서 도동서원의 좌향은 자연으로서의 방위를 인간 본위의 방위로서 중화(中和)시킴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일체감을 통한 중용지도(中庸之道)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경관짜임 의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도동서원의 외적 질서와 규범을 규정짓는 핵심적 요소로는 위계성과 좌우대칭을 바탕으로 한 계층성의 원리로 이는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중용(中庸)의 정신이 관통함으로써 형성된 건물놓기와 길내기의 결합을 통한 경관짜임의 결과이다. 또한 담장두루기로 영역성을 확보하고 수직과 수평적 일체감을 이룸으로써 중용에 이르고자 한 경관짜임 또한 표출되고 있다. 그리고 서원의 중심 강당 마루에서 지각되는 수월루와 환주문의 지붕 중첩, 중정당 기둥에 의한 프레임에 의한 시각틀 형성 등을 통해 시각적 균형성과 개폐성을 유도하는 수법은 성리학적 조영 특유의 관념성을 드러내는 시선모으기의 경관짜임이다. 한편, 내용적 경관짜임의 일부로서 전신(前身)인 쌍계서원의 당호를 따른 관념적 이름붙이기, 성리학적 도(道)의 이동을 상징하는 서원명,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중정(中正), 오륜에 근거한 거인재와 거의재 등의 건물 당호(堂號) 또한 중용의 미학을 준용한 결과이다. 그리고 중정당의 기단에 표현된 일음일양(一陰一陽) 변화를 나타내는 서화(瑞花)와 오르고 내리는 세호(細虎), 그리고 네 마리의 용으로 이루어진 사물 등은 지나침과 모자람이 없는 음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중용의 예술적 표현이다. 이렇듯 도동서원은 좌우대칭과 계층화를 우선으로 한 상징 및 중용의 성리학적 질서와 규범의 정신으로 꽉 짜인 조직(組織)의 산물임이 확인된다. 그러나 도동서원이 엄정한 성리학적 세계관을 구현한 조형의 결과임은 분명하지만, 성리학적적 규범과 예법에만 충실했다면 그 평가는 그리 높지 않을 것이다. 도동서원 모든 영역에 고르게 배치된 해학적이고 독특한 석물과 돌조각 장식은 엄정해질 대로 엄정해진 서원 이미지와 외적 질서를 상쇄(相殺)시켜 '탈 엄정(脫 嚴整)'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써, 이는 또 다른 차원의 경관짜임이자 중용적 표현이라는 것은 매우 역설적이기까지 하다.

공간지각(空間知覺)에 따라 나타나는 도동서원(道東書院)의 현상적(現象的) 투명성(透明性) 표현(表現)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henomenal Transparency Expression of the Dodong-Seowon using Space Perception)

  • 황영주;김정재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117-130
    • /
    • 2003
  • Transparency orginated from a visual character of the object recognized to the backside without any obstacle is used as a word explaining the variety of an architectural character from the pre-mordern architecture. Transparency is expressed clearly without using of the material with a permeability like glass in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expression of the perceptive transparency focusing on the Dodong Seowon with the phenomenal transparency. In chapter one,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study are explained. In chapter two, general concept of transparency is inquir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formation of basic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 of phenomenal transparency is recognized. In chapter three, the aspect of phenomenal tranparency expression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s inquired. In chapter four, with the characteristics drawn from chapter three, the characteristics of Dodong-Seowon under its phenomenal tranparency are shown. In chapter five, synthetic conclusion is presented.

  • PDF

도동서원(道東書院)의 배치형태(配置形態)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Building Layout and Space Composition of Dodong-Seowon)

  • 유인호;하헌정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41-148
    • /
    • 2008
  • Most of the recent studies on Seowon have been done just in terms of classification of general kinds of building layout, so there are a few things ignored such as the way they were arranged, the compositional process of buildings etc.. Although the classification of types itself is meaningful in th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re has been some limitation in deep analysis of each styl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layout and space composition of Dodong-Seowon with the viewpoint of the process of changes of it during the time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n both the existing site layout and the measuring unite of scale applied to the original construction of each building. Hierarchical order scheme was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space proceeding from the entrance to the main space and of the building position, axis and the roof heights of buildings.

  • PDF

도동서원의 강학영역의 공간구성 (Spatial Configuration of Education Area in Do-dong Seowon)

  • 강태중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59-68
    • /
    • 2023
  • A new type of private education institute appeared starting from the 16th century, called Seowon consist of educational spaces and Jesa(a form of memorial ritual for the family's ancestors) space. Seowon Architecture is representative Confucian Architecture. Seowon is a kind of private school and it is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e. the time of establishment was from the middle of 16th century to the end of 19th century, but the famous Seowon which remains up to now had been mainly built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Seowon was built on a quiet place far from the town for Students and Scholars to concentrate on their study. and it has beautiful surrounding scenery. Seowon has a place for study in the front and a place for sacrifice at the back regardless of configuration of ground. Gangdang is a building in the place for study in which teacher and students study. It is smilar place to Myongryundang of Hyanggyo. As a plan composition, there is a wide Daechong and two rooms at the both sides. Infront of Cangdang, there are Dongjae and Seojae on the right and the left side which are student' dormitory.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fucianist ideas and topography ar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hierarchy Seowon. In light of this, A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of Education Area in Do-dong Sewon attempted to conduct an analysis by applying such backgrounds, and therefore studied the arrangement rule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Seowons.

도동서원 중정당 전면 담장의 보수를 위한 진단학적 보존 상태 분석 (A Diagnostic Analysis on the Conservation Status for the Maintenance of the Front Wall of Jungjeongdang Area of Dodong-Seowon)

  • 김규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19
  • 본 연구는 도동서원 중정당 전면 담장의 보수를 위한 진단학적 보존 상태 분석을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사진측량 및 도면화, 담장의 재료 및 보존 상태 조사, 담장의 보존 상태 분석 및 평가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측량의 경우, 각 사진을 중첩되게 촬영하여, 사진들의 왜곡을 보정한 후 합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담장의 실측 도면을 마련하였다. 둘째, 담장의 재료 및 보존 상태의 경우, 담장은 와편담 형식이며, 머리 부분의 재료는 기와와 진흙, 석회이며, 몸통 부분의 재료는 진흙과 기와이다. 진흙은 자갈, 모래, 지푸라기를 섞어 사용되었다. 기초 부분에는 부정형의 자연석과 진흙이 사용되었다. 둘째, 담장에 나타나는 손상은 기초 부분의 침식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몸통 부분에는 분해 현상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 머리 부분과 기초 부분에는 전체적으로 생물학적 파티나가 나타나고 있으며, 몸통 일부에는 지의류와 같은 식물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 머리 부분 전반에는 이물질이 쌓여 있고, 일부 기와는 깨지거나 유실되었다. 동쪽 담장의 일부 구간에는 깊은 균열이 집중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셋째, 담장의 보존 상태 분석 및 평가의 경우, 기초 부분의 침식 현상과 몸통 부분의 분해 현상은 방치할 경우 담장에 물리적 손상을 지속적으로 가할 가능성이 있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생물학적 파티나와 식물의 분포는 담장에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미학적인 문제를 고려해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깨지거나 유실된 기와는 교체가 필요하며, 동쪽 담장의 깊은 균열은 지반침하로 발생된 것으로 보이며 추가적인 손상을 막기 위해 담장 하부 지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